■ ‘북에는 소월, 남에는 영랑’이라는 말이 있듯
민족의 가슴속에 영원히 살아 있는 두 시인의 아름다운 시 100편!
-
이 책은 읽는 동안 한국의 대표 서정시인인 소월과 영랑의 시 세계를
하나씩 알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두 시인의 시 세계는 서로 포개지기도 엇갈리기도 한다. 예컨대 소월의 본명이 김정식(金廷湜)이고, 영랑의 본명은 김윤식(金允植)으로 비슷한 발음을 공유하는 것은 우연의 일치라고만 보기 어렵다. 세심히 조탁한 시어로 민족의 정한을 노래한 점도 비슷한 점이다. 그러나 소월이 민중의 언어와 신앙을 수용해 슬픔의 극치를 보여주었다면 영랑은 대체로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정서를 유지했다는 점에서 다르다.
또 같은 경성 하늘 밑에서 수학한 적이 있는 두 시인이지만 후기 시로 갈수록 주제의식과 제재 면에서 차이가 선명해지는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 <프롤로그> 중에서
최세라 시인의 깊이 있는 시 해설을 통해서 소월과 영랑의 새로운 면을 엿본다.
■ 소월과 영랑은 그때 왜 그런 시를 썼을까를 하나씩 풀어보는 시 해설!
이 책을 엮은 최세라 시인은 <프롤로그>에서 소월과 영랑이 “같은 경성 하늘 밑에서 수학한 적이 있는 두 시인이지만 후기 시로 갈수록 주제의식과 제재 면에서 차이가 선명해지는 것도 눈여겨볼 만하다. 무엇보다 이 책은 소월과 영랑의 시를 즐기도록 만들어졌다.”고 얘기한다. 또한 엮은이는 “시를 읽는 행위는 고역이 되어서는 안 된다. 시를 읽는 일은 기다려지는 일이다. 기쁘고 기대되는 일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소월과 영랑의 시를 때로는 즐겁게 때로는 격정적으로 읽을 수 있는 모든 사람을 위한 책이다. 부디 이 책이 소월과 영랑의 가장 내밀한 목소리를 들으려는 기대에 부응하기 바란다.”고 얘기한다.
두 시인의 대표 시는 우리에게 친숙한 반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시는 제대로 감상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1900년대 초반의 상황을 머리로 이해할 수 있을 뿐 그 시대에 직접 몸담고 산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21세기를 사는 현대인과 달리 그 시절엔 미비한 교통 ‧ 통신수단 탓에 한 번 헤어진 인연은 다시 이어지기 어려웠다. 편지만 드물게 오가는 상황이기에 소식을 듣기 어려웠고, 어디로 가서 사는지 알 수 없어서 찾아갈 수도 없었다. 소월의 기다림은 이러한 형편에서 비롯된 경우가 많았다. 영랑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일본 제국주의자들의 잇단 회유와 모진 협박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한 것이었다. 곳곳에 감시자가 있는 상황에서 모란을 가꾸며 우리말을 조탁해 낸 그 세월은 얼마나 많은 눈물과 설움으로 가득 차 있었을 것인가. 그런 어려움 속에서도 영랑은 끝까지 창씨개명과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우리말로 시를 써 나갔다.
이 책은 소월과 영랑의 각 50편씩을 주제별로 4개의 장(1. 시의 가슴에 살포시 젖는 물결 같이, 2. 사랑은 한두 번만 아니라, 그들은 모르고, 3. 화요히 나려비추는 별빛들이, 4. 산허리에 슬리는 저녁 보랏빛)으로 나눠 편집했다. 엮은이 최세라 시인의 감상평을 통해 두 시인의 해당 시의 시작 배경과 시인의 생을 엿볼 수 있는 점이 이 책의 강점이라 하겠다.
작가 소개
지은이_ 김소월, 김영랑
김소월金素月, 1902~1934
1902년 평안북도 구성에서 태어나 정주에서 자랐다. 본명은 김정식(金廷湜)이고 아호는 ‘흰 달’이라는 뜻의 소월이다. 오산학교 시절 스승 김억을 만나 시적 재능을 인정받았으며, 1920년에는 <낭인의 봄>, <그리워>, <춘강> 등의 시를 문예지 <창조>에 발표하면서 시인으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한 해인 1922년 잡지 <개벽>에 대표시 <진달래꽃>을 발표했다. 1923년 일본 동경상과대학에 입학했으나 관동대진재로 인해 중퇴했다. 1925년 시집 《진달래꽃》을 출간했다. 1934년 성탄절 하루 전날에 생을 마쳤다. 1939년 스승인 김억이 시 모음집인《소월시초》를 발간했고, 1977년 <문학사상>에 미발표 작품들이 게재되었다. 1981년에는 금관 문화훈장이 추서되었으며, 1999 년에는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에 의해 ‘20세기를 빛낸 한국의 예술인’에 선정되었다.
김영랑金永郞, 1903~1950
1903년 전라남도 강진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윤식 (金允植)이고, 아호는 금강산의 제일봉인 영랑봉에서 따온 영랑이다. 1917년 휘문 의숙에 입학했으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 강진에 내려가 독립만세 운동을 주도하다 검거되어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20년 일본으로 유학해 영문학을 전공하던 중 관동대진재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1930년 박용철, 정지용 등과 함께 시 전문지 <시문학> 창간을 주도해 순수 서정시를 추구했다. 1935년 《영랑시집》을, 1949년 《영랑시선》을 출간했다. 초중반기에는 언어의 음악성과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서정시를 썼지만, 후기에 들어서는 일제에 대한 저항적인 시, 좌우로 나뉜 조국의 참상에 대한 비판적인 시를 발표했다. 1950년 북한군이 쏜 유탄에 목숨을 잃었다. 2008년 금관문화훈장을, 2018년에는 건국포장을 추서 받았다.
■ 엮은이 _ 최세라
이 책의 엮은이 최세라(崔世羅) 시인은 시집 《복화술사의 거리》와 《단 하나의 장면을 위해》 (2020년 문학나눔 도서보급 사업 선정도서)를 출간했다. 최근 펴낸 세 번째 시집 《콜센터 유감》 (2021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수혜도서)에는 다양하게 비정규직 노동을 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 그들의 내면 의식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또한 스무 살 나이에 꼭 알아야 할 것들을 딸에게 들려주는 마음으로 《갓 God 스물-스무 살 사용 설명서》를 펴내기도 했다.
* 연락처 : clickpink@daum.net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