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나무를 품은 선비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역사

나무를 품은 선비

사계절 나무에 담긴 조선 지식인의 삶
소장종이책 정가16,000
전자책 정가30%11,200
판매가11,200

나무를 품은 선비작품 소개

<나무를 품은 선비> 한 그루 나무에 깃든 조선시대 지식인의 삶과 철학

조선시대 성리학자의 삶이 서린 공간은 우리나라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널리 알려진 곳을 제외하고는 상당수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다. 저자 강판권 교수는 조선 선비들의 정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헌뿐 아니라 그들이 살았던 현장에 직접 방문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들의 정신이 그들이 산 공간과 그 공간을 채우고 있는 나무에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조선 선비들이 살았던 성리학 관련 공간을 직접 찾고, 그 내용을 글과 사진으로 남겨놓았다.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심은 이건창 생가 앞 탱자나무를 통해 저자는 나라를 걱정한 이건창과 그의 할아버지 이시원의 모습을 떠올린다. 조임도가 자신의 보금자리 주변에 심은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 풍경을 보며 그만의 무릉도원을 상상해본다. 이러한 현장의 기록은 나무가 오래 전 죽은 줄 알았던 조선 지식인들을 우리 곁에 소환하는 매개가 되어준다는 것을 증명한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늘 자신이 사는 공간에 나무를 심어놓고, 손수 관찰하고, 공부했다. 그가 어떠한 삶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가까이하는 나무가 달랐다. 성리학자의 정신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했던 조식은 만년에 선비정신을 상징하는 매실나무를 심었다. 중국의 화가 엄릉처럼 유유자적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기를 바랐던 조덕린은 엄릉의 삶을 상징하는 오동나무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파직당한 뒤 칩거하던 조성한은 ‘진정한 선비로 살아가겠다’는 의미로 집 앞에 회화나무 두 그루를 심고 집 이름도 쌍괴당이라 지었다. 이처럼 조선 선비들은 나무를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가꾸고 드러내려 노력했다. 이 책은 각각의 조선 지식인이 어떠한 나무를 자기수양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살펴본다.


출판사 서평

나무가 이루어준 조선 성리학자와의 조우

조선시대 성리학자의 삶이 서린 공간은 우리나라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지만, 널리 알려진 곳을 제외하고는 상당수가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다. 저자 강판권 교수는 조선 선비들의 정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헌뿐 아니라 그들이 살았던 현장에 직접 방문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들의 정신이 그들이 산 공간과 그 공간을 채우고 있는 나무에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조선 선비들이 살았던 성리학 관련 공간을 직접 찾고, 그 내용을 글과 사진으로 남겨놓았다.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심은 이건창 생가 앞 탱자나무를 통해 저자는 나라를 걱정한 이건창과 그의 할아버지 이시원의 모습을 떠올린다. 조임도가 자신의 보금자리 주변에 심은 소나무, 국화, 매화, 대나무 풍경을 보며 그만의 무릉도원을 상상해본다. 이러한 현장의 기록은 나무가 오래 전 죽은 줄 알았던 조선 지식인들을 우리 곁에 소환하는 매개가 되어준다는 것을 증명한다.

나무에게 스스로를 다스리는 법을 배우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늘 자신이 사는 공간에 나무를 심어놓고, 손수 관찰하고, 공부했다. 그가 어떠한 삶을 추구하느냐에 따라 가까이하는 나무가 달랐다. 성리학자의 정신을 드러내기 위해 노력했던 조식은 만년에 선비정신을 상징하는 매실나무를 심었다. 중국의 화가 엄릉처럼 유유자적하며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하기를 바랐던 조덕린은 엄릉의 삶을 상징하는 오동나무를 소재로 시를 지었다. 파직당한 뒤 칩거하던 조성한은 ‘진정한 선비로 살아가겠다’는 의미로 집 앞에 회화나무 두 그루를 심고 집 이름도 쌍괴당이라 지었다. 이처럼 조선 선비들은 나무를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가꾸고 드러내려 노력했다. 이 책은 각각의 조선 지식인이 어떠한 나무를 자기수양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살펴본다.

나무에게 서로 사랑하는 법을 배우다

나무는 조선 선비들에게 자기수양만을 가르쳐주지 않았다. 타인을 사랑하고 그들과 함께하는 법 또한 알려주었다. 나무는 그들에게 부모를 향한 지극한 효심과 나라를 향한 변치 않는 단심丹心, 백성을 향한 애틋한 애민愛民의 정신을 심어주었다. 조선시대 최고의 식물전문가 강희안은 나무를 비롯한 식물로부터 관료로서 천하를 다스리는 통치수단을 배우려 했다. 조선을 대표하는 문장가 신흠은 자신의 공간에 박태기나무를 심어 형제간의 우애를 다졌다. 지식인의 표상으로 평가받는 김종직은 차나무로 차밭을 만들어 백성들의 세금 문제를 해결해 다도茶道의 정신을 실천했다. 이 책은 조선 선비들이 나무의 생태를 통해 어떻게 사랑의 가치를 구현했는지 살펴본다.

천년 동안 한곳에 살고 있는 나무는 분명 우리의 위대한 스승이다!

나무를 매개로 하는 성리학자와의 조우는 가슴을 설레게 하지만 늘 유쾌한 것은 아니다. 종종 방치되고 있는 옛 공간과 마주해야 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서해가 심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소호헌의 은행나무가 잘려 나간 모습, 조선 최고의 문장가 이건창의 무덤이 안내문 하나 없이 방치된 현장, 아파트 건설이 한창인 서유구의 생가터를 보여준다.

성리학 관련 공간과 나무는 역사 속 지식인들의 모습을 바로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생태적 인문 현장이다. 조선 지식인들이 심은 나무와 그들이 살던 공간에 그들의 정신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러한 공간들이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시나브로 사라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공간에 대한 관심과 복원을 주장한다.


저자 프로필

강판권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61년
  • 학력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학 박사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계명대학교 사학과 학사
  • 경력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
  • 수상 2011년 제22회 간행물문화대상 저작상부문

2014.11.0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 : 강판권

1961년 경남 창녕의 화앙산 북쪽 기슭 농촌에서 농군의 아들로 태어나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농사일을 거들며 자랐다. 산에서 나무를 하다가 결을 따라 자르지 않으면 나무는 쉽게 잘리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고, 잘려진 나무의 결과 무늬의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그 때부터 세상 모든 것을 나무를 통해 생각하게 되었고 그런 그를 그는 스스로 '나무 환자'라고 부른다.
1981년 계명대 사학과에 입학했고 대학원에서는 중국 청대사를 전공했다. 당시 그가 쓴 그의 논문들의 제목은 「청대 안휘성 휘주부의 숲과 생태환경 변화」, 「숲과 문명: 인문학자의 시선」 등으로, 역사학을 전공했지만 역사를 환경과 인간의 생태와 함께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연구해왔다. 1999년에는 중국의 농업경제사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계명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금은 자신만의 학문세계를 만들기 위해 나무 공부에 미쳐 있으며, 나무로 역사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건축, 조경, 미술, 사진 분야에도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는 『어느 인문학자의 나무세기』, 『공자가 사랑한 나무, 장자가 사랑한 나무』, 『차 한잔에 담은 중국의 역사』, 『청대 강남의 농업 경제』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미국의 중국 근대사 연구』, 『1587, 만력 15년 아무 일도 없었던 해』,『조선을 구한 신목, 소나무』등이 있다. 그 중 『공자가 사랑한 나무, 장자가 사랑한 나무』는 민음사의 2003년 '올해의 논픽션상' 역사와 문화 부문을 수상한 바 있다.

목차

머리말 | 나무가 이루어준 고금古今 성리학자의 조우

제1부 한 해의 시작을 알리는 봄나무에게 선비정신을 배우다
끊임없이 피고 지는 매화의 지속성 남명 조식의 매실나무
여행으로 지친 나그네를 위로하는 나무 장유와 산수유·수유
목련꽃으로 자신만의 문장을 표현하다 이건창과 목련
인정받지 못한 조선시대 최고의 역관 이상적과 살구나무
붉은 해당화처럼 자유롭고 싶었던 화가 장승업과 해당화

제2부 생기로 가득 찬 여름나무에게 지속성을 배우다
배롱나무와 함께 지킨 자식 된 도리 조임도와 배롱나무
조선시대 화가가 본 중국의 풍경 이계호와 포도나무
파직당한 뒤 회화나무 두 그루를 심다 조성한과 회화나무
남산에 구기자 보며 백성을 생각하다 조팽년과 구기자나무
형제의 우애를 위해 나무를 심다 신흠과 박태기나무

제3부 바람을 견딘 가을나무에게 스스로 서는 법을 배우다
버드나무에게 배운 정신력으로 나라를 지키다 곽종석과 버드나무
요절한 학자가 남긴 나무 한 그루 서해와 은행나무
일상문화의 가치를 알아본 농업전문의 서유구와 단풍나무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는 학자의 의지 조덕린과 오동나무
조선시대 최고의 식물전문가 강희안과 석류나무
부모를 향한 마음을 붉은 홍시에 담다 박인로와 감나무

제4부 변함없이 고고한 겨울나무에게 지조를 배우다
스님의 곧은 도를 상징하는 나무 지엄스님과 소나무
선비들이 추구하는 맑은 정신의 상징 이광진과 백송
저렇게 사시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 윤선도와 대나무
차나무의 강직함을 닮으려던 성리학자 김종직과 차나무
세상 모든 일은 힘쓰는 데 달렸다 김득신과 잣나무

참고문헌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