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 변화하는 한국 대중문화 지형도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예술/문화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 변화하는 한국 대중문화 지형도

컬처룩 미디어 총서 013
소장종이책 정가24,000
전자책 정가10%21,600
판매가21,600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 변화하는 한국 대중문화 지형도 표지 이미지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 변화하는 한국 대중문화 지형도작품 소개

<문화연구의 렌즈로 대중문화를 읽다 : 변화하는 한국 대중문화 지형도>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 대중문화를 문화연구의 시각으로 들여다보다

대중문화는 우리에게 즐거움과 위안을 주고 감성과 상상력의 주요 원천이기도 하다. 이러한 대중문화는 변화하는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대중문화물의 생산 과정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대중문화가 상업성 같은 특정한 이해관계를 추구하면서 빚는 논란과 갈등은 어떻게 읽어내야 하는가? 대중문화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쉽게 소비되므로 친근하고 ‘만만하게’ 여겨지는 주제이면서 대중문화가 포괄하는 다양한 영역과 빠른 변화 때문에 진단과 분석이 쉽지 않은 분야이기도 하다. 이 책은 대중문화 현상과 문화산업의 변화를 오랫동안 연구해 온 저자들이 대중문화 지형 내 핵심 장르를 중심으로 그 현상을 분석하고 문화산업 내 주요 쟁점을 세밀하게 짚어낼 뿐만 아니라 특정 장르를 넘어서 관찰되는 새로운 문화 징후와 주목해야 할 담론을 다각적으로 탐구한다.


출판사 서평

일상 속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중문화 영역 내 핵심 장르들을 중심으로 진단과 논점을 세밀하게 풀어 가는 1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낙호의 “웹툰의 사회학과 청년문화”는 웹툰이 오늘날 주류화될 수 있었던 다층적인 맥락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어떠한 향유와 복합적인 문화적 특징들이 형성되었는지를 꼼꼼하게 탐색한다. 김수아의 “힙합의 문화 정치”는 힙합이라는 특정한 미국 대중음악의 장르와 문법이 어떻게 한국에서 변용되고 수용되었는지에 주목한다. 김수정의 “리얼리티 쇼의 사회문화적 발현”은 이제는 한국의 텔레비전 영역에서 확고하게 자리 잡은 리얼리티 쇼의 확장된 특성과 함의를 진단하면서, 이 특정한 문화 양식 속에 신자유주의가 추동하는 지배적 가치와 욕망이 어떻게 녹아드는지를 밀도 있게 풀어낸다. 홍석경의 “멀티플랫폼 시대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미디어 문화적 접근”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 텔레비전 드라마의 미디어 문화를 살펴보기 위한 방안으로, 재현과 담론 작용 그리고 산업적인 측면을 유기적으로 포함하는 입체적인 고려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김영대의 “하위문화로부터 탈한류 담론의 가능성까지”는 미국 내 K팝 담론과 수용 방식의 변화된 양상을 북미 최대 K팝 축제인 케이콘과 방탄소년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탐색한다. 윤태진의 “한국의 ‘게임 문화’”는 대중적으로 매우 큰 관심을 생성하지만 지적인 측면에서는 주로 모색의 과정 속에 놓인 게임 문화연구의 구현과 진전된 숙고를 위해 짚어 보아야 할 일련의 쟁점과 문제의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2부는 대중문화 지형 내 특정 장르를 넘어서 관찰되는 새로운 문화 현상의 징후와 문화산업의 주요 쟁점과 흐름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우선 이상길의 “대중문화산업의 상징경제”는 대중문화의 영역을 체계적으로 탐구할 대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하면서, 이를 위해 ‘상징경제’라는 특정한 해석의 틀을 제시한다. 이종임의 “문화 권력의 지형과 국내 문화산업 탐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디어 생태계의 위상과 현실 속에서 문화산업의 주요한 변화 양상을 집약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서 추적한다. 원용진과 김지만의 “사회적 장치로서의 아이돌”은 아이돌이라는 매우 가시적인 현상을 국가의 정책, 지배적 미디어 담론, 기업 담론과 글로벌 경영 담론과 절합되어 등장한 신자유주의적 징후이자 ‘사회적 장치’의 생산물로 조명한다. 이설희의 “BJ/크리에이터의 유명인 ‘되기’”는 소셜 미디어 환경 속에서 늘어나는 ‘마이크로셀러브리티’ 현상에 주목하면서, 이 같은 현상이 어떻게 후기 자본주의 소비 사회와 연동되어 구성되는지를 분석한다. 박진우의 “문화산업과 미디어 노동”은 그간 학계에서 다소 간과되었던 미디어 노동과 비물질 노동의 문제에 주목하면서, 미디어 노동의 현실과 경험 그리고 ‘창의성’ 담론과 연동되는 측면을 사려 깊게 조명하고 쟁점화하는 작업을 시도한다.


저자 프로필

김낙호

  • 경력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2024.01.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김낙호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김수아 |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김수정 |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김영대 | 음악평론가/문화연구자박진우 |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원용진 |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윤태진 |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이기형 |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동후 | 인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상길 |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이설희 | 용인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이종임 | 숙명여자대학교 미디어학부 강사홍석경 |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목차

서론: 문화연구의 렌즈로 읽어낸 대중문화의 변화들 - 이기형 이동후
1 웹툰의 사회학과 청년문화 - 김낙호
2 힙합의 문화 정치 - 김수아
3 리얼리티 쇼의 사회문화적 발현: 자기 계발의 논리와 정서적 평등주의의 이중주 - 김수정
4 멀티플랫폼 시대의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미디어 문화적 접근 - 홍석경
5 하위문화로부터 탈한류 담론의 가능성까지: 케이콘과 방탄소년단을 중심으로 - 김영대
6 한국의 ‘게임 문화’: 그 정경과 쟁점 - 윤태진
7 대중문화산업의 상징경제: 국내 연예 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길
8 문화 권력의 지형과 국내 문화산업 탐구 - 이종임
9 사회적 장치로서 아이돌 - 원용진 김지만
10 BJ/크리에이터의 유명인 ‘되기’ - 이설희
11 문화산업과 미디어 노동 - 박진우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컬처룩 미디어 총서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