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180 흉복문1 상세페이지

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180 흉복문1작품 소개

<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180 흉복문1> 고금도서집성의부전록 (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은 중국 청나라 장정석(蔣廷錫) 등의 편찬으로 1723년에 간행된 의서.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의 일부분이다.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부터 청나라 초기의 문헌까지 의학문헌 100여 종을 분류하여 편찬한 것으로, 고전 의서에 대한 주석, 각과 질병의 변증논치(辨證論治) 및 의학과 관련 있는 예문(藝文), 기사(記事)와 의학자의 전기(傳記) 등을 포괄한다. 전 520권이며, 기초이론, 분과 치료, 논술과 처방 등 내용이 풍부하며, 서술이 체계적이고 전면적이다. 영인본이 나와 있다.
이 책의 정식 명칭은 [欽定古今圖書集成]으로 황제가 친히 명령하여 고금의 모든 도서를 모아 만들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대략 康熙 연간에 陳夢雷(1651~1723) 등이 편찬하기 시작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한 채 중단되었다가 蔣廷錫(1669~1732) 등이 이어받아 근 50년 만인 雍正4년 1726년에야 완성하였다.전서의 총 권수 1만 권, 1억6천만여자로 현존하는 중국 최대 규모의 백과전서이다. 목록만 해도 40권에다가 經史子集의 문헌 3523종이 포괄되어 있다. 역사정치, 문화예술, 과학기술, 제자백가 등 상고시대로부터 淸初까지 동양문화 전반에 걸친 다양한 내용을 수록하였는데, 天文을 기록한 曆象彙篇, 지리·풍속의 方輿彙篇, 제왕·백관의 明倫彙篇, 의학·종교 등의 博物彙篇, 문학 등의 理學彙篇, 과거·음악·군사 등이 들어있는 경제휘편의 6휘편으로 크게 나뉘어 진다.
이를 다시 32典 6,109部로 세분하였고 각 부는 彙考·총론·도표·列傳·藝文·選句·紀事·雜錄 등으로 구분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이른바 ‘의부전록’은 바로 이『고금도서집성』중의 일부로 정확히는 博物彙篇 藝術典(2917~2928冊)에 들어있다. 초간본은 武英殿聚珍版 구리활자판인데 매우 희귀하며, 이 책이 조선에 들어오게 된 과정도 상당히 극적이다. 1776년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규장각을 세워 학술자료를 모으게 하고 박제가, 이덕무와 같은 능력 있는 북학파 학자들을 檢書에 등용하는 학예진흥책을 벌였다. 당시 사은부사로 북경에 갔던 徐浩修(1736~1799)는『古今圖書集成』전질을 구해오라는 특명을 받고 떠났다. 하지만 그는 이 책을 구하려고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대단한 귀중본으로 좀처럼 구할 수 없었다. 결국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서 마침내 중개인을 앞세워 翰林院에 뇌물을 주고서야 기어코 銅活字初印本 1질을 구할 수 있었다. 정조는 너무 기뻐서 책의 장정을 새로 잘 고쳐서 창덕궁 규장각의 皆有窩에 소장케 하였다. ‘개유와’란 ‘모든 것이 다 있는 집’이라는 뜻이니 그 기상을 찬탄할 만하다.
또 규장각은 애초에 訥齋 梁誠之(1414~1482)가 세조 재위초기에 설립을 奏請한 바 있으나 실행되지 못했던 것인데 정조대에 이르러서야 이룩되었다. 『의방유취』의 교정 책임자였을 뿐만 아니라 지역보건의료제도의 설비, 軍陣醫 확대를 주창하여 의서 출판과 의료정책 측면에서도 큰 족적을 남겼던 양성지의 국가도서관리제도 계획안이 실현되어 마침내 『도서집성』의 수장으로까지 이어진 것은 기막힌 인연이라 할 수 있다. 현재 이용되는 流布本은 1884년 上海圖書集成局에서 간행된 것으로 오류가 많고 1890년 上海同文書局이 영인한 것에는 고증이 첨부되어 있어 비교적 정확하다고 한다. 색인으로는 일본 문부성에서 펴낸 [고금도서집성분류목록]이 있고 L. 자일스가 [An Alphabetical Index]를 대영박물관에서 간행한 바 있다. 또『古今圖書集成續錄初稿』가 만들어지기도 했으며, 국내에도 이들 다양한 판본과 참고서가 수장되어 있어 참조할 수 있다.실용적인 목적이 뛰어나서였는지 전서와는 별도로 의학부분은 훨씬 더 많이 인쇄되었는데, 초인본을 축쇄영인한 것이 있고 표점과 교정을 가한 연활자본 등 몇 종의 편집본이 나온 바 있으나 교감이 정확치 않고 임의로 산삭한 부분이 있어 고증이 필요하다는 것이 사계의 衆評이다. 또 이들 후대의 편집본을 펴내면서 ‘의부전록’ 혹은 ‘의부전서’라는 이름이 붙여졌지만 다소 적절치 않은 이름으로 원서명을 고려한다면 ‘고금도서집성醫部’가 정확한 표현이다.

[예시문]
*古今圖書集成醫部全錄卷一百八十
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180권

胷腹門
흉복부

黃帝素問
황제내경 소문

金匱真言論
금궤진언론

南風生於夏,病在心,俞在胷脅,故仲夏善病胷脅。
남쪽 풍은 여름에 생기니 병이 심에 있고 수혈은 가슴과 옆구리에 있으므로 둘째 여름에는 잘 가슴과 옆구리에 있다.

[ 註 俞者,經氣之所注也。此言臟氣實則病氣,臟氣虛則病臟也。]
주석 수는 경기가 모이는 곳이다. 이는 5장기가 실하면 기가 병들고, 5장기가 허하면 장이 병든다.

陰陽別論
음양별론

三陰三陽俱搏,心滿腹發盡,不得隱曲,五日死。
3음3양이 모두 얽히면 마음이 그득하며 복부가 다 발생하며 은곡을 하지 못하며 5일에 죽는다.

[ 註 三陰三陽者,五行之氣也。陰陽二氣,俱搏擊而不和,故盡五行之數終而死也。
주석 3음3양은 오행의 기이다. 음기 양기 2기는 모두 얽혀 때리며 부조화하므로 5행의 수를 다하면 죽는다.
心滿,陽搏於上也。
심만은 양이 위에서 침이다.
不得隱曲,陰搏於下也。
은곡을 못함은 아래에서 음이 침이다.
腹居身半之中,陰陽相交者也。
복부는 몸의 반에 있어서 음과 양이 서로 교차한다.
腹發盡者,陽盡發於上,陰盡發於下,而無陰陽中見之和也。]
배가 다하면 양이 위에서 다 발하며 음이 아래에서 다 발하니 음양중에 견해의 화해가 없다.
一陽發病,少氣、善欬、善泄,其傳爲心掣,其傳爲隔。
1양이 발병하여 기가 적고 잘 기침하며 잘 설사하며 전수하여 심장이 당기면 전해져 막힘이 된다.
[ 註 一陽者,少陽之氣病也。
주석 1양이란 소양의 기병이다.
食入於胃,濁氣歸心,脾胃受傷而爲泄,故心虛而掣痛矣。
음식이 위에 들어가서 탁기가 심장에 들어가면서 비위가 손상을 받으면 설사하므로 심허로 당기고 아프다.
《靈樞經》曰:脾脈微急爲膈中。又曰飲食不下,膈塞不通,邪在胃脘。
영추경에 비맥은 약간 급하면 격중이 된다. 또한 말하길 음식이 내려가지 못하며 흉격이 막혀 통하지 못하면 사기가 위완에 있다.
此皆少陽之木邪干土。]
이는 모두 소양의 목의 사기가 토를 간섭함이다.

刺熱篇
자열편

心熱病者,先不樂,數日乃熱,熱爭則卒心痛。
심열병은 먼저 즐겁지 않고 수일에 열이 나며 열이 다투면 갑자기 심장이 아프다.
[ 註 此內因之熱,外感之風寒,外內交爭,熱干神臟,故卒然煩痛也。]
주석 이는 내인의 열이며 외감의 풍한이며 외부와 안에 서로 다투어 열이 신장을 간섭하므로 갑자기 번만하면서 아프다.
肝熱病者,小便先黃,腹痛脅滿。
간열병은 소변이 먼저 황색이며 복통과 옆구리가 그득하다.
[ 註 肝脈環陰器,抵小腹而上脅肋,故腹痛脅滿。]
주석 간맥은 음기를 돌고 소복에 이르러 위로 옆구리와 갈비에 가므로 복통과 옆구리가 그득하다.
脾熱病者,腹滿泄。
비열병은 복부가 그득하고 설사한다.
[ 註 腹乃脾土之郛 郛(外城 부; ⾢-총10획; fú)
郭也。]
주석 복부는 비토의 테두리이다.

腹中論
복중론

帝曰:人有身體髀股胻皆腫,環臍而痛,是爲何病?
황제가 말하길 사람의 신체가 넓적다리와 정강이가 모두 붓고 배꼽을 돌아서 아프면 어떤 병이 됨인가?
岐伯曰:病名伏梁,此風根也,其氣溢於大腸而著於肓,肓之原在臍下,故環臍而痛也。不可動之,動之爲水溺濇之病。
기백이 말하길 병명은 복량이며 이는 풍근이며, 기가 대장에 넘쳐서 황에 붙으면 황의 근원은 배꼽 아래에 있으므로 배꼽 둘레가 아프다. 움직이지 않아야 하니 움직이면 소변이 깔깔한 병이 된다.
[ 註 此論邪留氣分而爲伏梁也。
주석 이 논의는 사기가 기분에 머물러 복량이 된다.
氣行於肌腠之間,是以身體股胻皆腫。
기가 살갗 사이에 운행하므로 신체의 넓적다리와 정강이가 모두 붓는다.
風爲陽邪,傷人陽氣,此風邪傷氣而留於臍腹之間,故曰此風根也。
풍은 양의 사기가 되니 사람의 양기를 손상하여 이는 풍사가 기를 손상하여 배꼽과 복부 사이에 머무르므로 이를 풍근이라고 부른다.
大腸謂大腸之外,空郭之間,風邪之氣充溢於大腸之外,而留著於膏肓,肓之原出於脖胦 脖(배꼽 발; ⾁-총11획; bó)
胦(배부를 앙; ⾁-총9획; yāng)
,正在臍下,故遶臍而痛也。
대장은 대장의 밖에 빈 테두리 사이이니 풍사의 기가 대장의 밖에 차고 넘치며 고황에 머물러 붙으니 황의 원은 발앙에서 나오니 바로 배꼽 아래에 있어서 그래서 배꼽 둘레가 아프다.
不可動者,不可妄攻以動之也。
움직이지 못하면 망령되이 공격하여 움직이게 하면 안된다.
蓋風邪之根,留於臍下,動之則風氣淫佚而鼓動其水,水溢於上,則小便爲之不利矣。]
풍사의 근본은 배꼽 아래에 머무르니 움직이면 풍기가 넘치고 잃어서 물을 고동하니 위에 물이 넘치며 소변이 불리하게 된다.

舉痛論
거통론

帝曰:願聞人之五臟卒痛,何氣使然?
황제가 말하길 원컨대 사람의 오장이 갑자기 아픔은 어떤 기가 그렇게 한 것입니까?
岐伯對曰:經脈流行不止,環週不休。寒氣入經而稽遲,泣而不行,客於脈外則血少,客於脈中則氣不通,故卒然而痛。
기백이 대답하길 경맥이 유행함을 그치지 않으며 두루 쉬지 못합니다. 한기가 경락에 들어감에 늦으면 깔깔해서 운행하지 못하며 맥의 외부에 침입하여 혈이 적어지며 맥중에 침입하면 기가 통하지 못하니 그래서 졸연히 아프다.
帝曰:其痛或卒然而止者,或痛甚不休者,或痛甚不可按者,或按之而痛止者,或按之無益者,或喘動應手者,或心與背相引而痛者,或脅肋與少腹相引而痛者,或腹痛引陰股者,或痛宿昔而成積者,或卒然痛死不知人,有少間復生者,或痛而嘔者,或腹痛而後泄者,或痛而閉不通者,凡此諸痛,各不同形,別之奈何?
황제가 말하길 통증이 혹은 졸연히 멎고, 혹은 통증이 심하여 쉬지 못하며, 혹은 아픔이 심하여 누르지 못하며, 혹은 눌러도 통증이 멎으며, 혹은 누르면 무익하며, 혹은 숨차고 움직이면 손을 반응하며 혹은 심장과 등이 서로 당겨서 아프며, 혹은 옆구리와 갈비와 소복이 서로 당기면서 아프며, 혹은 복통이 음부와 넓적다리까지 당기며, 혹은 통증이 예전에 있고 적이 생성하며, 혹은 졸연히 통증으로 죽어도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며, 혹은 조금 쉬어도 다시 생기며, 혹은 아프면서 구토하며, 혹은 복통인 뒤에 설사하며, 혹은 통증으로 막혀 통하지 못하며, 이런 통증은 각각 형체가 같지 않으니 다른것은 무엇입니까?
岐伯曰:寒氣客於脈外則脈寒,脈寒則縮踡,縮踡則脈絀 絀(물리칠, 꿰매다 출; ⽷-총11획; chù)
急,絀急則外引小絡,故卒然而痛。得炅則痛立止。因重中於寒,則痛久矣。
기백이 말하길 한기가 맥의 밖에 침입하며 맥이 차면, 맥이 차면 수축해 오그리며, 오그리면 맥이 물리치며 급하니, 맥이 물리치며 급하면 밖에 소락을 당기며, 그래서 갑자기 아프다. 밝음을 얻으면 통증이 곧 멎으며 한기에 거듭 적중되며 통증이 오래된다.
[ 註 莫子晉曰:太陽,日中之火也。
주석에 막자진이 말하길 태양은 해 속의 불이다.
太陽主諸陽之氣,陽熱之甚者也,此受天之寒邪,得吾身之陽氣以化熱,故痛立止。]
태양은 여러 양의 기를 주관하니 양열이 심한 것이니 이는 하늘의 한사를 받음이며 내 몸의 양기를 얻어서 열로 변화하니 그래서 통증이 곧 멎는다.
寒氣客於經脈之中,與炅氣相薄則脈滿,滿則痛而不可按也。
한기가 경맥중에 침입하며 밝은 기가 서로 엷고 맥이 그득하니 그득하면 통증으로 누를 수 없다.
寒氣稽留,炅氣從上,則脈充大而氣血亂,故痛甚不可按也。
한기가 넘어가니 밝은 기가 위로부터 맥이 충만해 커지며 기와 혈이 혼란하므로 통증이 심하여 누를 수 없다.
[ 註 榮血行於脈中,陽氣行於脈外,寒邪在脈,與陽氣相搏,則血氣淖 淖(진흙, 젖다 뇨{요}; ⽔-총11획; nào,chuò)
澤而脈滿矣,脈滿故痛而不可按也。
주석 영혈이 맥 속을 운행하며 양기가 맥의 외에 운행하며 한사가 맥에 있으니 양기가 서로 치며, 혈기가 윤택하며 젖으며 맥이 그득하니 맥이 그득하면 그래서 아프며 누를 수 없다.
寒氣稽留於脈中,陽氣惟升而從上,血氣不能相將而循行,則亂矣。]
한기가 맥 속에 머무르면 양기가 상승하여 위를 따르며 혈기가 서로 장차 순행하지 못하니 혼란스럽게 된다.
寒氣客於腸胃之間,膜原之下,血不得散,小絡急引,故痛。
한기가 위장의 사이에 침입하여 막원의 아래에 있으면 혈이 흩어지지 못하며 소락이 급하게 당겨지므로 아프게 된다.
按之則血氣散,故按之痛止。
누르면 혈기가 흩어지므로 누르면 통증이 멎는다.
[ 註 寒氣客於腸胃膜原之間,則內引小絡而痛。氣爲陽,經絡爲陰。
주석 한기가 위장의 막원의 사이에 침입하며 안으로 소락을 당기면 아프다. 기는 양이 되며 경락은 음이 된다.
如邪客於脈外之氣分而迫於經絡爲痛者,或得炅,或按之而痛止,蓋寒邪得氣而易散也。
만약 사기가 맥외의 기분을 침입하여 경락을 핍박하여 통증이 되거나 혹은 밝음을 얻고 혹은 누르면 아픔이 멎으면, 한사가 기를 얻어서 쉽게 흩어짐이다.
如邪入於經絡而爲痛者,甚則不可按,或雖按之無益,蓋陰分之邪難散也。
만약 사기가 경락에 들어가서 통증이 되며 심하면 누를 수 없거나 혹은 비록 눌러도 무익하면 음분의 사기가 흩어지기 어렵게 된다.
此邪在膜原之氣分,牽引小絡而痛,故按之即止。]
이는 사기가 막원의 기분에 있어서 소락을 견인하여 아프므로 누르면 중지한다.
寒氣客於俠脊之脈則深,按之不能及,故按之無益也。
한기가 협척의 맥에 침입하여 깊으며 누르면 도달하지 않으므로 누르면 무익하다.
[ 註 俠脊之脈,伏衝之脈也,伏衝之脈上循背裏,邪客之則深,按之不能及,故按之無益也。]
주석 협척의 맥은 복충의 맥이니 복충의 맥은 위로 등 안을 따르니 사기가 침입하면 깊어지며 누르면 이르지 못하니 그래서 누르면 무익하게 된다.

寒氣客於衝脈,衝脈起於關元,隨腹直上,寒氣客則脈不通,脈不通則氣因之,故喘動應手矣。
한기가 충맥에 침입하면서 충맥이 관원에서 일어나며 배 곧장 위를 따르며 한기가 침입하면 맥이 통하지 않고 맥이 통하지 않으면 기가 그에 기인하므로 숨참이 움직여 손에 반응한다.
[ 註 夫衝脈之循於背者,注於經,其浮而外循於腹者,至胷中而散於脈外之氣分。
주석 충맥이 등에 따르며 경락에 주입되며 부맥이면서 밖으로 배에 따르니 가슴 속에 이르면 맥의 밖의 기분에 흩어진다.
故脈不通則氣因之而喘動應手,謂脈逆於胷之下,而氣因病於胷之上。
그래서 맥이 통하지 않고 기가 그로 기인하여 숨참이 손에 반응하니 맥이 가슴 아래에 상역하며 기가 가슴 위의 병에 기인한다.
喘動應手者,人迎氣口喘急應手也。]
숨차며 움직임이 손에 반응하면 인영맥과 기구맥의 숨참이 급하게 손에 반응한다.
寒氣客於背俞之脈,則脈濇,脈濇則血虛,血虛則痛。
한기가 배수의 맥에 침입하며 색맥이며 색맥이면 혈이 허하니 혈허하면 아프다.
其俞注於心,故相引而痛。
수혈이 심에 주입되므로 서로 당겨 아프게 된다.
按之則熱氣至,熱氣至則痛止矣。
누르면 열기가 이르니 열기가 이르면 통증이 멎는다.
[ 註 背俞之脈者,足太陽之脈也。
주석 배수의 맥은 족태양경맥이다.
太陽之脈循於背,而五臟六腑之俞皆在太陽之經,故臟腑血氣皆注於俞,故寒客之則脈濇而血虛,血虛則痛矣。
태양의 경맥은 등에 순행하니 5장6부의 수혈이 모두 태양경맥에 있으므로 5장6부의 혈기가 모두 수혈에 모이니 그래서 한기가 침입하면 색맥이면서 혈허하니 혈허하면 아프게 된다.
夫心主血脈,五臟六腑之俞皆注於心,故相引心而痛。
심은 혈맥을 주관하며 오장육부의 수혈이 모두 심에 모이므로 서로 심장을 당겨서 아프게 된다.
心爲陽中之太陽,與太陽之氣,標本相合,是以按之則熱氣至而痛止矣。]
심은 양중의 태양이 되며 태양의 기와 함께 표본이 서로 합하니 그래서 누르면 열기가 이르고 통증이 멎는다.
寒氣客於厥陰之脈,厥陰之脈者,絡陰器,繫於肝,寒氣客於脈中,則血濇脈急,故脅肋與少腹相引痛矣。
한기가 궐음의 맥에 침입하면 궐음의 맥은 음기를 둘러싸며 간에 연계되니 한기가 맥중에 침입하니 혈이 깔깔하며 맥이 급하니 그래서 옆구리와 갈비는 소복과 서로 당기며 아프다.
[ 註 肝主血,故寒氣客於厥陰之脈,則血濇脈急。肝脈布脅肋,循陰器,故脅肋與少腹相引而痛。]
주석 간은 혈을 주관하므로 한기가 궐음의 맥에 침입하면 혈이 깔깔하고 맥이 급하다. 간맥은 옆구리와 갈비에 퍼져서 음기를 돌고, 그래서 옆구리와 갈비는 소복과 서로 당겨서 아프게 된다.
厥氣客於陰股,寒氣上及少腹,血濇在下相引,故腹痛引陰股。
궐기가 음부와 넓적다리에 침입하여 한기가 위로 소복에 이르면 혈이 깔깔하고 아래로 서로 당기니 그래서 복통과 음고를 당기게 된다.
[ 註 厥陰之脈上抵少腹,下循陰股,故腹痛引陰股。蓋言經氣上下相通,故邪正相引而爲痛。]
주석 궐음의 맥이 위로 소복에 이르며 아래로 음고에 따르니 그래서 복통으로 음고가 당기게 된다. 경기가 상하로 상통하면 그래서 사기와 정기가 서로 당겨 아프게 된다.
寒氣客於小腸膜原之間,絡血之中,血濇不得注於大經,血氣稽留不得行,故宿昔而成積矣。
한기가 소장의 막원의 사이에 침입하여 낙혈의 중간에 혈이 깔깔하여 대경에 주입하지 못하며 혈기가 머물러 운행하지 못하니 그래서 머지 않은 옛날에 적이 생성한다.
[ 註 蓋邪在於外內之絡脈者,必轉入於大經而後乃代謝,如血氣稽留於絡脈,則宿昔而成積矣。宿昔,稽留久也。大經,臟腑之大絡也。]
주석 사기가 외부 안의 낙맥에 있으면 반드시 전변하여 대경에 들어간 이후에 대사하니 만약 혈기가 낙맥에 머무르면 머지 않은 옛날에 쌓이게 된다. 숙석은 머무름이 오래됨이다. 대경은 5장6부의 대락이다.
寒氣客於五臟,厥逆上泄,陰氣竭,陽氣未入,故卒然痛,死不知人,氣復反則生矣。
한기가 오장에 침입하면 궐역하여 위로 배설하고 음기가 고갈하면 양기가 아직 들어오지 않으므로 갑자기 아프며 죽어서 사람을 알지 못하니 기가 다시 돌아와 살게 된다.
[ 註 寒氣客於五臟,臟陰之氣,厥逆於上而從上泄,則陰氣內竭,陽熱之氣未入於內,則裏氣虛傷,故卒然痛死不知人,陰陽之氣復反於內則生也。]
주석 한기가 오장에 침입하면 장음의 기는 위에 궐역하여 위를 따라서 배설되며 음기가 안에 고갈하면 양열의 기가 아직 안에 들어가지 않으며 리기가 허로 상하므로 갑자기 통증으로 죽어 사람을 알지 못하니 음양의 기가 안에 돌아와 회복되어 살게 된다.
寒氣客於腸胃,厥逆上出,故痛而嘔也。
한기가 위장에 침입하면 궐역하여 위로 나와서 그래서 아프고 구토한다.
[ 註 寒氣客於腸胃之間,從胃上出,故痛而嘔。]
주석 한기가 위장 사이에 침입하면 위를 따라서 위로 나오므로 아프면서 구토한다.
寒氣客於小腸,小腸不得成聚,故後泄腹痛矣。
한기가 소장에 침입하면 소장이 모여 생성하지 못하므로 뒤에 설사와 복통이 된다.
[ 註 此言寒氣客於小腸之間,轉入於腸內,故不成積聚而爲後泄腹痛也。]
주석 이는 한기가 소장 사이를 침입하여 장 안을 돌아 들어가므로 적취를 생성하지 못하고 뒤에 설사 복통이 된다.
熱氣留於小腸,腸中痛,癉熱焦渴,則堅乾不得出,故痛而閉不通矣。
열기가 소장에 머무르면 장 속이 아프며 단열로 타고 갈증나며 단단하고 건조하여 나오지 못하므로 아프며 폐색하여 통하지 못한다.
[ 註 熱氣者,寒氣稽留而化熱也。
주석 열기란 한기가 머물러 열로 변화함이다.
小腸爲赤腸,乃心臟之腑,故感火氣而化熱。
소장은 적장이 되어 심장의 부이므로 화기에 감하여 열로 변화한다.
小腸主液,腸中熱則液消而爲癉熱矣。
소장은 액을 주관하므로 장 속의 열이 액이 소모되어 단열이 된다.
液消熱燥則受盛之物堅乾而不得出,故痛閉不通矣。]
액이 소모되고 열이 건조하여 받은 음식물이 단단하고 건조하여 나오지 못하므로 통증으로 막혀 통하지 못한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저자 - 진몽뢰
진몽뢰 (陳夢雷)는 중국 청나라 때 사람. 자(字)는 칙하(則霞), 또는 성재(省齋)이며 복건성(福建省) 민후(閩侯) 태생. 강희(康熙) 연간에 진사가 되어 편수(編修) 등의 관직을 역임하다가 나중에 무고를 당해 하옥(下獄)되고 유배되었다. 10여 년 후에 풀려났는데, 옹정(雍正) 초년(初年)에 다시 귀양을 갔으며, 귀양지에서 죽었다. 『도서집성·의부전록(圖書集成·醫部全錄)』 등의 편수를 주재하였다.

저자 - 장정석
강희제 (康熙帝) 때의 진몽뢰 (陳夢雷) 가 시작한 것을 옹정제 (雍正帝) 때의 장정석 (蔣廷錫) 이 이어받아 1725 년에 완성

역자 - 홍성민
튼살 흉터를 치료하는 하루 두 끼 식사 창안자 이미지한의원 www.imagediet.co.kr 02-336-7100 원장

목차

판권 페이지
황제소문
금궤진언론
음양별론
자열편
복중론
거통론
궐론
기병론
표본병전론
맥해편
기교변대론
오상정대론
육원정기대론
지진요대론
기궐론
병능론
영추경
사기장부병형편
壽夭剛柔篇 수요강유편
師傳篇 사부론
脹論 창론
寒熱病篇 한열병편
玉版篇 옥판편
經脈篇 경맥편
經筋篇 경근편
營氣篇 영기편
衛氣篇 위기편
百病始生篇 백병시생편
骨度篇 골도편
熱病篇 열병편
四時氣篇 사시기편
癲狂篇 전광편
厥論 궐론
백병시생편
癰疽篇 옹저편
扁鵲難經 편작난경    腹痛 복통
金?要略 [ 漢 張機] 금궤요략 한나라 장기
?中諸病 가슴의 여러 병
腹中諸病 배 속에 여러 병
少腹諸病 소복의 여러 병
제계 배꼽동계
腸癰 장옹
中藏經 [ 漢 華?] 중장경 한나라 화타
滿痛諸證 그득한 통증과 여러 증상
腸鳴 장명
臍突 배꼽 돌출
臍下重 배꼽 아래가 무거움
脈訣 [ 晉 王叔和] 맥결 진나라 왕숙화
千金方 [ 唐 孫思邈] 천금방 당나라 손사막
?腹諸病 가슴과 복부의 여러 병
試?內生癰法 흉부 안의 옹이 생김을 시험하는 방법
腸癰
仁齋直指方 [ 宋 楊士瀛] 인재직지방 송나라 양사영
복통
복피통
瘡瘍全書 [ 金 竇漢卿] 창양전서 금나라 두한경
井疽發 정저발
穿心冷瘻 천심냉루
蜂窩發? 봉와발흉
發?毒 발두독
?癰 두옹
肋?癰 늑두옹
臍癰 배꼽옹
九發 구발
小腸癰 소장옹
盤腸癰 반장옹
胃脘癰 위완옹
心肝癰 심간옹
濟生方 [ 宋 嚴用和] 제생방 송나라 엄용화    心痛 심통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고금도서집성 의부전록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