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의종금감 정골심법요지 87, 88, 89, 90권 상세페이지

의종금감 정골심법요지 87, 88, 89, 90권

  • 관심 0
셀렉트
리디셀렉트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소장
전자책 정가
9,800원
판매가
9,800원
출간 정보
  • 2020.08.03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7.7만 자
  • 0.5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66121333
ECN
-
의종금감 정골심법요지 87, 88, 89, 90권

작품 정보

의종금감 정골심법요지 87, 88, 89, 90권
정골심법요지는 왕긍당 이후 골절 치료의 일차적인 계통을 세운 책으로, 정골도문, 기구도문, 인체골격구조, 각 부위별 골절 손상시의 병리 및 내, 외용약의 변증논치 등을 기술하고 있어 골과입문지서로 평가되며, 이는 상과질환의 진단, 치료에 대한 한방고전적 서적일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새로운 형태의 질환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지침서가 될 수 있고 한방 물리법과에서 응용하는 각종 치료방법에 대한 원리적인 문헌으로 인식
예시문
夫手法者, 謂以兩手安置所傷之筋骨, 使仍復於舊也。
손을 쓰는 방법은 양손을 손상된 근육과 뼈에 두고 예전으로 회복하게 함이다.
但傷有重輕, 而手法各有所宜。
단지 손상은 중상과 경상이 있어서 손쓰는 방법이 의당함이 있다.
其痊可之遲速, 及遺留殘疾與否, 皆關乎手法之所施得宜, 或失其宜, 或未盡其法也。
*残障[cánzhàng]장애(자)
生理殘障의 원문은 殘疾이다.
殘疾cán‧ji] 残废 1. 불구가 되다. 2. 불구자. 신체장애자. 병신. 廢疾者.:몸에 병이나 탈이 남아 있는 일
완전히 낫는데 느리고 빠름과 불구를 남길지 여부는 모두 수법의 시행하는 의당함과 관련이 있고 혹은 의당함을 잃거나 혹 아직 그 방법을 다하지 못했다.
蓋一身之骨體, 旣非一致, 而十二經筋之羅列序屬, 又各不同, 故必素知其體相, 識其部位, 一旦臨證, 機觸於外, 巧生於內, 手隨心轉, 法從手出。
대개 한 몸의 뼈와 몸은 이미 일치하지 않고 12경근이 나열하는데 순서와 소속이 있고 또 각자 다르니 그래서 반드시 평소 몸과 모습을 알고 부위를 인식하고 하루 아침에 증상에 임하고 밖에서 접촉을 살피고 안에서 교묘함이 생겨 손이 마음을 따라 돌면 방법은 손을 따라 나온다고 했다.
或拽之離而復合, 或推之就而復位, 或正其斜, 或完其闕, 則骨之截斷, 碎斷、斜斷, 筋之弛、縱、卷、攣、翻、轉、離、合, 雖在肉裏, 以手捫之, 自悉其情, 法之所施, 使患者不知其苦, 方稱爲手法也, 況所傷之處, 多有關於性命者.

작가 소개

오겸 [吳謙]청대(淸代)의 이름 난 의사이다. 자(字)는 육길(六吉)이다. 안휘성(安徽省) 흡현(歙縣) 사람이다. 1736년[건륭(乾隆) 연간] 이후에 벼슬이 태의원판(太醫院判)에 이르고 유유탁(劉裕鐸)과 함께 청대의 중요한 종합 의학 총서(叢書)인 《의종금감(醫宗金鑑)》을 맡아 엮었는데 의학 각과, 모두 15종을 포괄하였다.
그 가운데 《정정상한론주(訂正傷寒論注)》 · 《정정금궤요략주(訂正金匱要略注)》2종은 오겸이 손수 엮은 것이다. 전서(全書)는 임상 실제를 중시하고 도(圖) · 설(說) · 방(方) · 론(論)을 빠짐없이 갖추었으며 많은 수의 가결(歌訣)을 덧붙였는데 일찍이 태의원 교본(敎本)으로 쓰였다. 내용이 풍부하고 배열 순서가 뚜렷하며 논술이 간단 명료하고 골라 놓은 방제가 괜찮아 뒷세상에서 매우 중시하고 세상에 널리 퍼지어 전한다.
(한의학대사전)
번역 한의사 홍성민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과학일반 베스트더보기

  • 마침내 특이점이 시작된다 (레이 커즈와일, 이충호)
  • 수면의 뇌과학 (크리스 윈터, 이한음)
  • 한국전문소생술 (대한심폐소생협회)
  • 무엇도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카를로 로벨리, 김정훈)
  • 세상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리처드 도킨스, 김동광)
  • 블랙홀 (브라이언 콕스, 제프 포셔)
  • 코스모스 (칼 세이건, 홍승수)
  •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챗 GPT (정진호, 박상길)
  • 특이점이 온다 (레이 커즈와일, 김명남)
  • 우울할 땐 뇌 과학 (알렉스 코브, 정지인)
  • 한번에 배우는 무선통신과 레이다 (장병준)
  • 우리가 지혜라고 부르는 것의 비밀 (딜립 제스테, 스콧 라피)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김승욱)
  • 개정판 | 부분과 전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유영미)
  • 개정판|맛의 원리 (최낙언)
  • 느끼고 아는 존재 (안토니오 다마지오, 고현석)
  • 까면서 보는 해부학 만화 (압듈라, 신동선)
  • 더 브레인 (데이비드 이글먼, 전대호)
  • 과학을 보다 3 (김범준, 지웅배)
  • 스테로이드 인류 (백승만)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