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 공정무역, 왜 필요할까? (아드리안 쿠퍼,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 테러, 왜 일어날까? (헬렌 도노호,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 중국, 초강대국이 될까? (안토니 메이슨,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4 이주, 왜 고국을 떠날까? (루스 윌슨,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5 비만, 왜 사회문제가 될까? (콜린 힌슨, 김종덕)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 자본주의, 왜 변할까? (데이비드 다우닝, 김영배)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 에너지 위기 어디까지 왔나? (이완 맥레쉬, 박미용)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8 미디어의 힘, 견제해야 할까? (데이비드 애보트, 이윤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9 자연재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길은? (안토니 메이슨, 선세갑)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0 성형수술, 외모지상주의의 끝은? (케이 스티어만, 김아림)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1 사형제도, 과연 필요한가? (케이 스티어만, 김혜영)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2 군사 개입, 과연 최선인가? (케이 스티어만, 이찬)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3 동물실험, 왜 논란이 될까? (페이션스 코스터, 김기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4 관광산업, 지속 가능할까? (루이스 스필스베리, 정다워)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5 인권, 인간은 어떤 권리를 가질까? (은우근, 조셉 해리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6 소셜 네트워크, 어떻게 바라볼까? (로리 하일, 강인규)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7 프라이버시와 감시, 자유냐 안전이냐? (캐스 센커, 이주만)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8 낙태, 금지해야 할까? (재키 베일리글, 정여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9 유전 공학, 과연 이로울까? (피트 무어, 서종기)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0 피임, 인구 조절의 대안일까? (재키 베일리글, 장선하)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1 투표와 선거, 과연 공정할까?
작품 정보
대의 민주주의에서는 투표와 선거를 통해 당선된 사람을 반드시 우리의 대표자로 인정해야 한다.
vs
투표와 선거의 과정이 공정하지 않았을 수도 있으므로 그 결과를 무조건 신뢰할 수는 없다.
2000년 미국 대선에서 앨 고어와 조지 부시가 맞붙었습니다. 당시 두 후보는 팽팽한 접전을 펼쳤지만 전자 개표기를 이용해 개표하는 과정에서 많은 표가 제대로 집계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결국 법원의 판결로 부시가 미심쩍은 승리를 거두게 되었어요.
투표와 선거는 민주주의 국가에 살고 있는 시민들의 중요한 권리이자 의무입니다. 우리는 투표와 선거를 통해 공동체를 이끌 대표자를 선출합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람들은 인종, 성별, 재산에 관계없이 저마다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지요.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선거권을 얻기 위해 싸워 온 덕분입니다.
현재의 선거 제도는 일반 국민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할까요? 아니라면 어떤 모습으로 바뀌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