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상욱

    이상욱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2001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철학 박사
    199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박사
    199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학 석사
    1991년 서울대학교 물리학 학사
  • 경력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엔칭연구소 방문학자
    2001년 영국런던정경대학교 철학과 객원조교수

2014.11.0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 이화여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로 동서비교철학과 한국철학의 주제들을 연구하면서 다양한 범위와 주제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마테오 리치와 주희 그리고 정약용』 『서학, 조선 유학이 만난 낯선 거울』 『숙종 시대 문명의 도전과 지식의 전환』 등의 연구서를 썼고, 『8개의 철학지도』 『나를 공부할 시간』 같은 교양서를 썼다./을지대 교양학부 교수. 이화여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대 프랑스철학, 기술철학, 정보철학, 포스트휴머니즘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베르그손의 잠재적 무의식』 『시몽동의 기술철학』 『현대 프랑스 철학사』(공저)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에코그라피』(공역) 『포스트휴먼 지식』(공역) 등이 있다./유원대 AI소프트웨어학과 석좌교수. 한양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에서 인공지능으로 공학 석사와 공학 박사를 받았다. 유원대(구. 영동대) 교수로 30년을 지내고 현재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인공지능 연구와 관련 인문융합 연구를 한다. 주요 공저서로는 『유교적 마음모델과 예교육』 『논어와 로봇』 『인공지능의 존재론』 『인공지능의 이론과 실제』 『인공지능의 윤리학』 『인공지능의 인간학』 『미래는 AI의 것일까?』 『내가 만난 루만』 『인문코딩』 등이 있다./성신여대 창의융합교양대학 교수. 서강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로버트 브랜덤의 추론주의 의미 이론을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포스피어 휴머니티를 위한 정보철학’ 연구단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했다. 여러 권의 철학 전문서 및 인문 교양서적을 우리말로 옮겼다. 옮긴 책으로 『AI 윤리의 모든 것』 『정보철학 입문』 『낭만주의의 뿌리』 『비트겐슈타인과 세기말 빈』 『난파된 정신』 『로마 황제처럼 생각하는 법』 『분노란 무엇인가』 『편견』 『좌절의 기술』 『그리고 나는 스토아주의자가 되었다』 『우주의 끝에서 철학하기』 등이 있고, 저서로는 『비판적 사고와 토론』(공저)이 있다./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학술연구교수. 이화여대에서 영문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당신은 왜 인간입니까』 『인류세 시나리오』 등이 있으며, 번역서로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포스트휴먼 지식』(공역) 등이 있다./이화여대 이화인문과학원 교수. 포스트휴먼 융합인문학 협동과정 주임교수. 서강대에서 경영학과 철학을 전공하고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 분야는 심리철학, 인공지능의 철학, 정보철학, 트랜스휴머니즘, 포스트휴머니즘 등이다. 저서로 『호모사피엔스의 미래: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푸른 요정을 찾아서: 인공지능과 미래 인간의 조건』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공저)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공저) 등이 있다./한양대 철학과 교수.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영국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유네스코과학기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 『과학은 이것을 상상력이라고 한다』 등이 있으며, 공저서로 『과학으로 생각한다』 『욕망하는 테크놀로지』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 『과학은 논쟁이다』 『인공지능의 존재론』 『인공지능의 윤리학』 『인공지능 시대의 인간학』 『포스트휴먼으로 살아가기』 등이 있다./인천대 인천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서울대 철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에 관한 연구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법학연구원, 서울시립대 도시인문학연구소 등에서 연구교수로 근무했고, 서울대, 서울과학기술대, 경찰대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인권, 도시 공동체, 인공 소통, 인공지능의 편향성 등을 주제로 여러 연구성과들을 발표하였다. 최근에는 생활도시, 돌봄윤리, 가상인격 등을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단독 저서로는 『도시 인간 인권』 『괴물과 함께 살기: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루만까지 한 권으로 읽는 사회철학』 『가족과 국가 이후의 공동체』, 공저서로는 『초연결의 철학』 『인공지능의 편향과 챗봇의 일탈』 등이 있다.

<인공지능 시대의 철학자들 : 정보철학이 던지는 열 가지 질문> 저자 소개

이상욱 작품 총 6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