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홍성욱

    홍성욱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61년 11월 22일
  • 학력 199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박사
    1986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과학사 석사
    198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물리학 학사
  • 경력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MIT Dibner 연구소 연구원
    2003년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과학기술사철학과 부교수
  • 수상 1996년 IEEE 종신회원상
    1992년 슈만상

2024.03.11.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 : 브누아 시마 (Benoist Simmat)

경제 전문 기자이자 저술가로 활동 중이다. [누벨 에코노미스트 Nouvel Economiste], [주르날 뒤 디망슈 Journal du Dimanche]에서 일했으며, [렉스프레스 L’Express], [리베라시옹 Liberation], [롭티멈 L’Optimum] 등 여러 신문과 잡지에 경제 기사를 썼다. 지은 책으로는 『위대하고 찌질한 경제학의 슈퍼스타들』, 『악마의 와인 In Vino Satanas』, 『와인 전쟁 La Guerre des vins』 등이 있다.


그림 : 필리프 베르코비치 (Philippe Bercovici)

프랑스 만화가. 프랑스 만화 잡지 [스피루] 편집장. 저서로는 『하얀 옷의 여자들』 『로빈슨과 조에』 『보스』 등이 있다. 경영, 유머, 전기 등 다양한 장르의 책에 그림을 그린다.

역 : 김모

더 잘 읽는 사람, 번역가로 살고자 뒤늦게 소르본 대학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파리에서 번역과 라틴어를 공부하며 좋은 책을 찾아 옮기고 있다. 옮긴 책으로 『만화로 배우는 의학의 역사』(2019), 『침묵 공장』(2022)이 있다.

감수 : 홍성욱

물리학을 전공하던 학부생 시절 물리 공부는 안 하고 마르크스, J. D. 버날, T. S. 쿤의 저서를 잡다하게 읽다가 과학사를 시작했다. 과학의 역사 자체에 흥미가 있었다기보다는, 과학의 역사를 공부함으로써 어떻게 더 괜찮은 사회를 만들 수 있는가라는 문제와 왜 자연은 수학을 통해 이해되는가라는 문제에 대한 답을 얻으려 했다. 돌이켜보면 첫 번째 문제는 정책의 문제고 두 번째는 철학의 문제인데, 정작 정책과 철학은 입문하지도 못했다. 그 뒤로 흥미로운 문제를 좇아 공부하다 보니 관심의 초점이 과학사에서 기술사로, 과학기술사에서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STS1)로, STS1에서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2)로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인간 이후의 포스트휴먼과 휴머니즘 이후의 포스트휴머니즘에 매력을 느끼고 포스트휴먼 시대를 연구하고 있다.

과학기술학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교수를 거쳐 2003년부터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과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난 3년간 서울대-한신대 포스트휴먼연구단에 소속되어 포스트휴먼 시대의 인간과 문명에 관한 논의에 참여했다. 지은 책으로는 『크로스 사이언스』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 『그림으로 보는 과학의 숨은 역사』 등이 있고, 공저로는 『미래는 오지 않는다』 『슈퍼휴머니티』 『4차 산업혁명이라는 유령』 등이 있다. 휴머니스트에서 펴내는 과학기술학 총서인 STS collection 시리즈를 기획하고 있다.

<만화로 배우는 불멸의 역사> 저자 소개

홍성욱 작품 총 25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