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두셴카 상세페이지

두셴카작품 소개

<두셴카> 보그다노비치의 운문 소설 ≪두셴카(Душенька)≫는 푸시킨의 작품에 커다란 영향을 준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두셴카의 모험≫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이 장편 서사시는 1778년에 첫 번째 부분만 출판되었고, 5년 후인 1783년에 비로소 전체가 완성되었다. 완성된 작품은 간단하게 ≪두셴카≫라고 불렸고, ‘고대 설화에 대한 자유 형식의 시’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두셴카≫는 신화를 기초로 만들어진 유사 서사시(Mock Epic)라 할 수 있다. 에로스 신의 사랑에 대한 옛 신화를 익살스럽게 희화화한 작품이다. 러시아 18세기에 쓰인 소위 “유머” 시들 중 가장 인상적인 작품이다. 여주인공의 이름은 라퐁텐(La Fontaine)이 쓰고 드미트리예프 마모노프가 1769년에 러시아어 번역판을 출판한 ≪프시케와 큐피드의 사랑≫의 주인공 프시케(Psyche)로부터 따온 것이다.
보그다노비치의 ≪두셴카≫는 창작품이 아니라 아풀레이우스 원작의 ≪황금 당나귀≫에 나오는 에피소드를 개작한 라퐁텐의 ≪프시케와 큐피드의 사랑≫(1669)을 다시 그 나름대로 번안한 것이다. 라퐁텐은 큐피드와 프시케의 사랑에 함축된 고대 그리스 신화의 철학적 기반을 배제하고 에로스적인 파불라만을 남긴 채 서사의 흐름을 살롱의 소희극 형식으로 재창조했다. 보그다노비치는 라퐁텐의 기법을 배워 본인 서사시의 특징적인 자질로 삼았다. 이 작품에서 그는 ‘고상하고 영웅적인 것’을 지양하고, 러시아 민속시의 익살스러우면서 아이러니한 모티프를 폭넓게 차용했다. 구어체에 가까운 단순하고 경쾌한 문체 또한 작품의 익살스러운 분위기와 잘 어울렸다. 보그다노비치의 서사시는 장기간 돌풍과도 같은 성공을 누렸다.
≪두셴카≫에는 주목할 만한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로 작품의 형식이다. 의사 서사시를 쓰는 대다수의 유럽인들은 전통적인 서사시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알렉산더격이라고도 불리는 약강 6보격을 지키지 않는 17세기 러시아 시인은 상상할 수도 없었다. 보그다노비치는 참신하게도 이 약강 6보격을 따르기를 완전히 거부하고, 알렉산드르 수마로코프가 확립한 전통과 수마로코프 이후의 픽션으로부터 영감을 얻었다. 약강격을 적용한 시구의 길이와 리듬이 제각각 다르다는 것이야말로 이 시의 원작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다.
또 한 가지 특징은 작품에서 짙게 드러나는 러시아색이다. 보그다노비치는 대중에게 친숙한 운문 구조를 택하고 러시아의 구비 설화로부터 모티프와 인물을 따왔다. 예를 들어 러시아 동화에 나오는 머리가 여러 개 달린 뱀인 고리니치, 불로불사의 마법사인 코셰이, 아프로디테가 두셴카를 보내 뱀을 찾아오라고 시키는 것, 그 물로 몸을 씻으면 몸이 낫는 마법의 샘물과 시체를 씻으면 살아나는 마법의 샘물 등이 있다. 게다가 두셴카는 러시아 동화에서 전통적으로 등장하는 농민들이 입는 의복인 사라판을 걸치기도 한다. 이 외에도 러시아의 당대 현실을 상세히 묘사한 부분이 많다.


저자 프로필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Ippolit Bogdanovich

  • 국적 러시아
  • 출생-사망 1744년 3월 1일 - 1803년 1월 6일
  • 학력 모스크바대학
  • 경력 1788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문서국 문서국장
    러시아대사관 사무관
    페테르부르크로 외무성 통역관

2016.06.16.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시인 이폴리트 표도로비치 보그다노비치(Ипполит Фёдорович Богданович)는 1744년 우크라이나의 가난한 귀족 집안에서 태어났다. 열 살 무렵 모스크바로 보내졌고, 이후 최고 재판소의 부속 수학 전문학교에서 수학했다. 시, 음악, 그리고 연극에 관심을 보였던 보그다노비치는 미하일 헤라스코프(М. М. Херасков)와 가까워지게 되었고, 그의 승인을 받아 모스크바 대학에 입학했다.
1760∼1762년 보그다노비치는 헤라스코프가 발간하던 문예지 ≪유익한 유흥≫에 동참했고, 여기에 여러 편의 자작시를 문예지에 실었다. 이 시기 그는 파닌, 다슈코바 등의 인사들과 교제를 나누었다. 특히 다슈코바의 후원을 받아 ≪보잘것없는 습작≫이라는 문예지를 발간했다. 그러나 이 문예지는 약 6개월 정도 발행되었다가 이내 폐간되었다.
1766년 페테르부르크로 넘어가 외무성에서 통역관으로 일했고, 드레스덴 주재 러시아 대사관에서 약 3년 동안 사무관으로 근무했다. 그 후 러시아로 돌아와 외무성에서 계속 근무했다. ≪저녁≫, ≪러시아 문학 애호가들의 지침서≫, ≪월간 신작들≫ 등의 문예지에 공동 편집진으로 참여했고, 서정시, 송시, 시편이나 목가시를 번역해 기고했다.
보그다노비치는 프랑스 계몽주의 사상을 전파하면서, 이내 18세기의 가장 유명한 저술가 중 한 명이 되었다. 그가 편집한 문예지인 ≪보잘것없는 습작≫은 볼테르나 엘베시우스의 저술들을 매번 번역해 지면에 실었다. 이 문예지 1호에 그는 <신분 평등에 대한 연설>이라는 시와 볼테르의 <리스본 지진에 대한 시>를 실었다. 이들의 작품들은 인류에 대한 사랑을 표방하면서 관념론적 낙관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1765년 그는 교훈적 서사시의 전통을 이어 가며 세 편의 단시로 이루어진 서사시 ≪더없이 큰 행복≫을 출판했다. 이 작품은 인간의 기본권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며 가장 기본적인 보편적 행복은 물질적 평등과 사유 재산의 부재에서 비롯한다고 주장했다.
보그다노비치는 1773년에 ≪리라≫라는 시집을 출간한다. 이 시집에는 국민의 행복이 자유에서 나온다고 생각한 프랑스 작가 마르몽텔 작품들의 번역본과 보그다노비치 본인의 자작시들이 포함되었다. 그는 <꿀벌과 호박벌(Пчёлы и шмель)>이라는 우화에서 일을 하지 않고 즐기기만 하는 귀족들을 수벌(게으름뱅이)에 비유하며 비판했다. 그러나 푸가초프의 난 이후로는 그의 저작에서 사회 개혁적 모티프가 사라졌다. 그는 자신이 견지하던 자유사상에서 한발 물러서며, 궁중 시인으로서의 자리를 지켰다.
1780년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문서국에서 근무한다. 1775∼1782년에는 정부 기관지인 ≪상트페테르부르크 통보≫를 발행했다. 1785년에는 예카테리나 2세의 칙령에 따라 ≪러시아 격언들≫이라는 작품집을 출간했다. 그러나 이 작품집에서 러시아 민속 문학은 정부 차원에서의 애국심을 고취하는 수단으로 변질되었고, 민중의 신앙심과 정중함을 입증하는 사례로서 사용될 뿐이었다. 보그다노비치는 격언의 슈제트를 바탕으로 희곡과 서정적인 희극인 <두셴카의 기쁨>을 썼지만, 독자층으로부터 아무런 반향도 불러일으키질 못했다. 1786년에는 투만스키와 공동으로 문예지 ≪세계의 거울≫을 편찬한다. 1788년에는 문서국장의 자리를 맡는다. 1796년에 퇴임한 후 쿠르스크로 이전한다. 그곳에서 그는 1803년 1월 6일(18일) 쿠르스크에서 생을 마감한다.

목차

서문
클로에의 미덕에 대한 노래

제1권
제2권
제3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