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연암 척독 상세페이지

연암 척독작품 소개

<연암 척독> 척독, 지극히 짧은 편지
이 책은 《연암집》 제5권 〈영대정잉묵(映帶亭賸墨) 척독(尺牘)〉에 수록된 작품들로, 연암 박지원의 나이 35세 때인 1772년 10월에 엮은 것들이다. 서문에서 친지와 벗들에게 썼던 이전 편지의 부본(副本)을 모아 소집(小集)을 만들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실제 척독의 작성 시기는 1772년 이전으로 보인다.
척독이란, 종래 학계에서 문예성을 가진 극히 짧은 편지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척독은 발신자와 수신자의 소통을 위한 사적으로 주고받는 편지라는 점에서 실용문이지만 동시에 문학 예술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문학 작품이기도 하다. 척독은 서(書)에 비해 비교적 짧으며, 서(書)가 도식적인 틀에 갇혀 있다면 척독은 문예적 미와 예술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다르다.

척독, 보다 문예 취향적인 편지
〈영대정잉묵 척독〉의 서문을 보면, 당대 문사들은 편지글을 문학으로 인정하지 않았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삼가 말씀드립니다(右謹陳)’와 같은 상투적인 표현 때문이라고 했다. 연암은 편지가 상투적인 형식을 갖추고 있다는 점은 인정했지만, “붓을 잡은 사람들이 간행한 책을 보면 모두가 맛없는 음식을 가득 펼쳐 놓은 것처럼 장황하게 늘어놓기만 했을 뿐인데, 무엇 때문에 굳이 공문서의 서두에 사용하는 말이나 상투적으로 사용하는 말에 상심하는지 모르겠다”라고 지적했다. 연암의 척독은 보다 문예 취향적인 편지로, 간찰(簡札)과 서(書)의 성격을 공유하고 있다. 척독은 의도를 가지고 창작하는 문예적 글쓰기로 온갖 문예적 장치나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의적이고 함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에 비해 일반적인 편지는 문예적인 작품과는 무관하게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전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척독, 가장 솔직한 글
연암은 문학, 예술, 취향 등 다양한 주제로 척독을 썼는데, 이 짧은 편지글에는 상대에 대한 그리움과 정서적인 감동, 충고와 격려, 작문에 대한 견해 등 연암의 솔직한 감정과 사상이 진솔하게 드러나 있다. 연암의 척독은 자서를 제외하면 총 50편으로, 연암의 교유 관계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경쾌하고 함축적이면서도 절묘한 감정을 드러내는 연암 특유의 참신한 문체도 맛볼 수 있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박지원(朴趾源, 1737∼1805)
연암(燕巖) 박지원은 737년 2월 5일(1세)에 반남(潘南) 박씨 아버지 사유(師愈)와 어머니 함평(咸平) 이씨 사이에서 2남 2녀 중 막내로, 한양 서쪽 반송방(盤松坊) 야동(冶洞)에서 태어났다. 자는 중미(仲美)ㆍ미중(美仲), 호는 연암(燕巖)ㆍ연상(煙湘)이다. 어려서부터 글 솜씨가 뛰어났으나 17세 무렵부터 우울증으로 고생했으며, 학문에 매진했으나 과거에는 뜻을 보이지 않았다. 홍대용, 이덕무, 유득공 등과 깊은 교우를 맺었고 박제가, 이서구 등을 제자로 삼아 북학론을 주장했다. 1780년 삼종형인 박명원을 따라 북경에 다녀와서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지었다. 1786년, 50세의 나이에 친구 유언호의 천거로 선공감감역(繕工監監役)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평시서주부(平市署主簿),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 안의현감(安義縣監) 등을 역임했다. 1793년 정조에게 문체반정의 주동자로 지목되기도 했다.
1805년 가회방(嘉會坊) 재동(齋洞) 집의 사랑에서 사망했고 1900년 김택영(金澤榮)이 편찬한 《연암집》이 간행되었으며, 1901년에는 김택영이 편찬한 《연암속집》이 간행되었다.

박상수(朴相水)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국사편찬위원회, 온지서당, 중국 어언문화대학교 등에서 한문과 고문서, 초서와 중국어를 공부했고, 단국대학교 한문학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전문위원, 단국대학교 강사, 한국한문학회 출판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지금은 전통문화연구회, 고전번역연구소, 국사편찬위원회, 구초회에서 한문 번역과 탈초·강의를 하고 있다.
번역서와 탈초 자료로, 《간찰(簡札) 선비의 일상》, 《고시문집(古詩文集)》, 《구소수간(歐蘇手簡)》, 《다천유고(茶泉遺稿)》, 《동국명현유묵(東國名賢遺墨)》, 《동작금석문집(銅雀金石文集)》, 《류성룡, 전란(戰亂)을 헤치며》, 《문장의 법칙》, 《미국 와이즈만 미술관 한국 문화재 도록》, 《방산유고(芳山遺稿)》, 《붓 끝에 담긴 향기(香氣)》, 《사문수간(師門手簡)》, 《사상세고(沙上世稿)》, 《서포일기(西浦日記)》, 《습재집(習齋集)》, 《신식 비문척독(備門尺牘)》, 《심원권 일기》 1∼3, 《아언각비(雅言覺非)》, 《오가보첩(吾家寶帖)》, 《왕양명 집안 편지》, 《율곡 친필 격몽요결》, 《조선 말 사대부 27인의 편지, 우경 안정구 선생 간찰집》, 《주자, 스승 이통과 학문을 논하다》, 《중국의 음식디미방, 수원식단》, 《초간독(草簡牘)》, 《퇴계 편지 백 편》, 《한문 독해 첩경 문학편》, 《한문 독해 첩경 사학편》, 《한문 독해 첩경 철학편》, 《항전척독(杭傳尺牘)》, 《허균 척독(許筠尺牘)》 등 다수가 있다.

목차

자서(自序)
경지(京之)에게 보내는 답장
경지에게 보내는 답장[두 번째]
경지에게 보내는 답장[세 번째]
중일(中一)에게 보내는 편지
중일에게 보내는 편지[두 번째]
중일에게 보내는 편지[세 번째]
창애(蒼厓)에게 보내는 답장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두 번째]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세 번째]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네 번째]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다섯 번째]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여섯 번째]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일곱 번째]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여덟 번째]
창애에게 보내는 답장[아홉 번째]
설초(雪蕉)에게 보내는 편지
치규(穉圭)에게 보내는 편지
중관(仲觀)에게 보내는 편지
어떤 사람에게 보내는 편지
중옥(仲玉)에게 답하다
중옥에게 답하다[두 번째]
중옥에게 답하다[세 번째]
중옥에게 답하다[네 번째]
북쪽 이웃의 과거 급제를 축하하다
사강(士剛)에게 보내는 답장
영재(泠齋)에게 보내는 답장
영재에게 보내는 답장[두 번째]
아무개에게 보내는 답장
성지(誠之)에게 보내는 편지
석치(石癡)에게 보내는 편지
석치(石癡)에게 보내는 편지[두 번째]
석치에게 보내는 편지[세 번째]
석치에게 보내는 편지[네 번째]
어떤 사람에게 보내는 편지
아무개에게 보내는 편지
아무개에게 보내는 편지[두 번째]
군수(君受)에게 보내는 답장
중존(仲存)에게 보내는 편지
경보(敬甫)에게 보내는 편지
경보에게 보내는 편지[두 번째]
원심재(遠心齋)에게 보내는 편지
초책(楚幘)에게 보내는 편지
성백(成伯)에게 보내는 편지
성백에게 보내는 편지[두 번째]
종형(從兄)에게 올리는 편지
종형에게 올리는 편지[두 번째]
대호(大瓠)에게 보내는 답장
대호에게 보내는 답장[두 번째]
대호에게 보내는 답장[세 번째]
담헌(湛軒)에게 보내는 답장


해설
지은이 연보
옮긴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