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첫 애니메이션 인문교양 시리즈 ‘애니고고학’
- 애니메이션과 그 역사를 통해 다양한 인문지식을 얻자!
세계 문화사를 보면 ‘아버지’의 칭호를 받은 인물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아버지란 표현은 한 분야의 최고를 뜻하는 가장 좋은 찬사이다. 그렇다면 일본 애니메이션의 진정한 아버지는 누구일까? 바로 ‘마사오카 겐조’일 것이다. 그에게 애니메이션의 아버지란 칭호를 붙이는 것에 이의를 제기할 업계 관계자나 연구가들은 거의 없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이 산업화로 진입함에 있어서 그가 시도하고 일군 결과들이 그만큼 크고 중요했기 때문이다.
대학에서 일어일문학 전공했다. 현재 디지털콘텐츠회사 ‘돌도래’ 의 대표로, 출판과 영상 분야에서 크리에이터 겸 연구가로 활동 중이다. 홍길동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던 중 실존인물 홍길동이 일본 오키나와로 갔다는 설을 접하고 『홍길동전』의 속편을 구상하였다. 베스트셀러 역사전집 『어린이 삼국유사/삼국사기』를 기획하고 썼으며, 『빨강머리 앤』 탄생 100주년을 기념한 루시 모드 몽고메리의 자서전 『내 안의 빨강머리 앤』(랜덤하우스) 등 다수의 책을 펴냈다. 국내 미야자키 하야오 연구에 있어서도 독보적 존재이다. 관련된 저서로는『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아니메를 이끄는 7인의 사무라이』『토토로, 키키, 치히로 그리고 포뇨를 읽다』『미야자키 하야오는 이렇게 창작한다!』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