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한국의 근현대 미술) (김영나)
Seowon (서원)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cs (이상해)
Palaces of Korea (한국의 궁궐) (김동욱)
Korean Landscape Painting (한국의 산수화) (이성미)
Modern Korean Ink Painting (한국의 근대수묵화) (정형민)
Maedeup: The Art of Traditional Korean Knots (매듭) (김희진)
Seasonal Customs of Korea (한국의 세시풍속) (David E. Shaffer)
Buddhist Sculpture of Korea (한국의 불상) (김레나)
Buddhist Architecture of Korea (한국의 사찰) (김성우)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f Korea (한국의 전통공연예술) (전경욱, 민은영)
Confucian Ritual Music of Korea (한국의 제례음악) (송혜진, 박인옥)
Korean Ceramics (한국의 도자기) (강경숙)
Korean Folk Dance (한국의 민속무용) (이병옥)
Korean Court Dance (한국의 궁중무용) (이흥구)
Modern Korean Ink Painting (한국의 근대수묵화)
작품 정보
Modern Korean Ink Painting (한국의 근대수묵화)
This book seeks to define how the term “modern” should be applied to Korean art, while exploring its evolution over roughly a hundred years, from the opening of Korea’s ports to outside trade in 1876 through the 1980s. The purpose of this book, with its detailed explanations and related images, is to further understanding of how Korean art and the times it represented are closely related.
이 책은 한국 미술에 “모던”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정의되는 지를 탐구한다. 또한 1876년 개항기로부터 1980년대까지 약 100여 년 동안 한국의 현대 미술이 어떻게 진화되었는 지를 보여준다. 상세한 해설과 관련 이미지들이 수록된 이 책은 한국 미술이 갖는 시대적 연관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