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한국의 근현대 미술) (김영나)
Seowon (서원)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cs (이상해)
Palaces of Korea (한국의 궁궐) (김동욱)
Korean Landscape Painting (한국의 산수화) (이성미)
Modern Korean Ink Painting (한국의 근대수묵화) (정형민)
Maedeup: The Art of Traditional Korean Knots (매듭) (김희진)
Seasonal Customs of Korea (한국의 세시풍속) (David E. Shaffer)
Buddhist Sculpture of Korea (한국의 불상) (김레나)
Buddhist Architecture of Korea (한국의 사찰) (김성우)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f Korea (한국의 전통공연예술) (전경욱, 민은영)
Confucian Ritual Music of Korea (한국의 제례음악) (송혜진, 박인옥)
Korean Ceramics (한국의 도자기) (강경숙)
Korean Folk Dance (한국의 민속무용) (이병옥)
Korean Court Dance (한국의 궁중무용) (이흥구)
Korean Ceramics (한국의 도자기)
작품 정보
Korean pottery may not be ornate, nor is it imposing in size, but it is distinguished by its infinite embrace of nature. Through a continued mutual exchange with China, Korea developed a ceramics style that captured the Korean spirit. The uniqueness of Korean ceramics stems from the austere humility of the earthenware, the jade-green color of Goryeo celadon, the wit of Joseon buncheong ware and the refined beauty of Joseon white porcelain.
한국의 도자기는 장식적인 면이나 크기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을 품은 듯한 독특한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중국과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하여 한국은 한국의 정신을 담은 도자기 스타일을 발전시켰다. 한국도자기의 독창성은 투박한 멋이 담긴 토기, 옥 빛을 닮은 고려청자, 위트 넘치는 조선의 분청사기, 그리고 세련된 아름다움의 표본인 이조 백자 등에서 잘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