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단종애사-충의편 상세페이지

단종애사-충의편작품 소개

<단종애사-충의편> 비운의 왕 단종이 태어나서 영월에서 사망할 때까지의 연대기소설(年代記小說).

이광수(李光洙)가 지은 역사소설로 1928년 11월 30일부터 1929년 12월 1일까지 ≪동아일보≫에 총 217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작가 이광수는 <작자의 말>(동아일보 1928.11.24.)에서 정사(正史)와 야사(野史)를 중심으로 작자의 환상을 빼고 사실 그대로 써서 실재 인물을 문학적으로 재현시키기에 애썼으며, 다른 소설보다 더 많은 정성과 경건한 마음으로 썼다고 말하고 있다.

<단종애사>는 단종의 탄생과 성삼문(成三問)·신숙주(申叔舟)에 대한 고명, 그리고 수양대군(首陽大君)과 권람(權擥)의 밀의(密議)의 고명편(顧命篇)과, 수양대군과 한명회(韓明澮)가 김종서(金宗瑞)와 안평대군(安平大君)을 비롯한 수많은 사람을 죽여 등극의 기반을 마련하는 실국편(失國篇), 정인지(鄭麟趾) 등이 단종의 선위를 전하여 세조가 등극하고 사육신이 죽음으로 충의를 바치는 충의편(忠義篇), 노산군(魯山君)이 영월에서 죽음을 당하는 혈루편(血淚篇)의 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1441년(세종 23) 7월 23일 진시(辰時) 경복궁 안에 있는 동궁이 거처하는 자선당(資善堂)에서 단종이 태어난다. 병약한 문종이 죽자 단종이 등극하지만 한명회의 계책대로 수양대군의 등극을 위한 정리 작업이 시작되어 김종서와 그 아들이 죽고, 단종을 옹위하는 수많은 사람이 죽음을 당하여 세조가 등극하고 단종은 상왕으로 남게 된다.

병자옥사가 있은 뒤 상왕은 노산군으로 강봉되고 곧 서인으로 폐출되었다가 영월로 귀양을 가게 된다. 도사 왕방연(王邦衍)이 한양을 떠나 청령포(淸?浦)에 단종을 가두고 떠나기 전날 “천만리 머나먼길에 고운님 여의옵고/이마음 둘데없어 냇가에 앉았으니/저물도 내안 같아야 울어밤길 예놋다.”라고 읊은 시조는 간장을 끊고도 남는다.

정축 10월 24일 왕방연이 사약을 가지고 왔으나 단종이 없어서 울고만 있는데, 유시(酉時)에 공생(貢生)이 활줄로 단종의 목을 매어 한 많은 숨을 거두게 된다.

공생은 문을 나가다 피를 토하여 죽고, 노산군의 시체는 금강에 띄운다. 밤에 영월의 호장(戶長) 엄흥도(嚴興道)가 몰래 시체를 건져 싸두었다가 관에 넣어 평토장(平土葬)을 하고 돌을 얹어 표를 하여둔다.

이 작품은 세종과 문종을 모시던 수구파와 세조를 옹위하던 개혁파 사이의 다툼에서 희생된 단종의 슬픈 생애를 예리한 필치로 쓴 작품이다.



출판사 서평

오래전에 나온 책을 다시 펴내는 일, 또 새롭게 읽어야 할 이유!
그것은 역사가 곧 우리의 현재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단종이 수양대군(세조)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영월로 유배되어 사망한, 조선 왕조 500년 역사상 가장 슬프고 애달픈 대목을 다루고 있습니다. 권력의 광기와 피비린내, 내치와 외치의 전략과 음모가 한데 뒤엉겨 있고, 그런 치세와 처세 속에서도 죽음으로서 지킨 인정과 의리가 펄펄하게 살아 있어 말 그대로 파란만장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근현대사에서도 계속 이어지고 있으니까요.

이러한 이유로 근대문학을 재조명하고, 새롭게 읽기를 권하고자 유니북스에서 전자책으로 다시 펴내고 있습니다

이 책을 전자책으로 다시 펴낼 때 몇 가지 특이사항을 두었습니다.
이 책은 연재 당시 문체 그대로가 아닙니다. 현대의 독자들이 읽기 편하도록 맞춤법과 띄어쓰기는 대부분 현대어로 고쳤고, 작가가 의도적으로 표현한 것들과 시대를 드러내주는 용어들은 그대로 두었습니다. 또한 다소 생소한 어휘들은 읽기 편하도록 주석대신 단어 옆에 초록색으로 설명을 달았습니다. 연재 당시 한자로 쓰였던 단어는 한글로 수정하였고, 의미상 필요할 경우 그 옆에 초록색 한자로 병기하였으며, 원문을 살려야 할 내용들(시, 시조, 교서 등)은 한자를 그대로 표기하였고 옆에 한글로 독음을 달아두었습니다.

이 책은 궁중의 법도와 술책이 있고, 전략과 음모가 있으며, 치세와 처세가 있습니다. 또한 인정과 의리가 살아있는 모든 역사 드라마의 원형입니다.


저자 프로필

이광수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892년 3월 4일 - 1950년 10월 25일
  • 학력 1919년 와세다대학교 철학
    1910년 메이지가쿠인대학교 중학
  • 경력 1939년 조선문인협회 회장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
    동아일보 편집국 국장
  • 데뷔 1917년 매일신보 소설 '무정'

2017.05.2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
시인, 소설가, 평론가, 언론인. 호는 춘원. 평북 정주 출생.
중학 시절 기독교와 톨스토이의 인도주의 사상과 무저항주의에 영향을 받고, 청교도의 생활을 흠모하였다. 1910년 단편 ‘어린 희생’, ‘무정’ 등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인 창작활동을 전개했고, 남강 이승훈의 초청으로 오산학교에서 교편생활을 하였다. 1917년 장편 ‘무정’을 발표. 계몽주의적, 이상주의적,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작품 창작으로 초기에는 대단한 호응을 얻었다. 1919년 <조선청년독립단선언서>를 기초하였고. 상해 임시정부의 기관지 <독립신문> 주필로 활동하다가 1921년에 귀국하여 언론 활동을 함. 1922년 <민족개조론>을 발표하면서부터는 현실성 없고 자기비하적이기까지 한 민족주의자로서 비판 받음. 수양동우회 활동에 참여하는 등 문학 이외의 사상과 행동에서도 민족주의적 색채를 지녔는데, 이는 <마의태자>, <단종애사>, <이순신>, 등의 역사소설에 까지 영향을 끼쳤고, 소설집 <개척자>, <재생>, <마의태자>, <혁명가의 아내> 등과 수필집 <금강산유기>, <돌베개> 등을 남겼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 때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목차

1. 저자소개 - 이광수
2. 책소개
3. 비운의 왕 단종에 대하여
4. 일러두기
5. 단종애사 - 충의편
6. "단종애사" 집필 무렵의 춘원 연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다른 출판사의 같은 작품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