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보드’ 개발자는
★ 어떻게 하루 200만 뷰의 서비스를 이틀 만에 개발하고
★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수익까지 창출할 수 있었을까?
일 200만, 누적 2억 뷰의 웹 서비스 ‘코로나보드’ 개발자가 코로나보드의 자동 크롤링 파이프라인, 운영, 수익화의 모든 것을 알려드립니다. 갑자기 많은 사용자가 접속해도 장애 없이 안정적으로 서비스하는 웹 서비스를 설계하려면 많은 경험이 필요합니다. 저자는 대기업에서 대규모 트래픽을 감당하는 서비스를 개발한 경험을 살려 코르나보드를 개발했고, 노하우를 이 책에 녹였습니다. 완성도 높은 사이드 프로젝트를 원하는 분, 취준생, 풀스택 개발자로 거듭나고 싶은 분께 최고의 선택이 될 겁니다.
껍데기만 따라 만들어서는 제대로 실력을 갖출 수 없습니다. 실제 동작하는 제대로 된 웹 서비스를 처음부터 끝까지 개발하면서 실력을 키워보세요!
* 이 책에서 만들 ‘코로나보드’ 방문해보기 : https://coronaboard.kr
* 선수지식 : HTML, CSS, 자바스크립트(리액트까지 알면 더 좋습니다)
★ 자동 크롤링 기능을 갖춘 웹 서비스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 개발 기술과 운영 노하우를 알아보고
★ ‘코로나보드’를 만들어봅니다.
이 책은 학습 흐름을 끊지 않기 위해 개발 환경부터 미리 구축해놓은 후, 웹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배우고 나서 코로나보드 클론 사이트를 개발합니다. 그저 따라 하는 방식이 아니라, 코로나보드 아키텍처 구성 노하우를 설명하고 나서 구현에 필요한 지식을 1부 ‘백엔드에서 서비스 준비하기’, 2부 ‘프론트엔드로 사용자에게 다가가기’에서 실무 관점에서 깊이 있게 다룹니다.
3부에서는 오토 크롤링 파이프라인을 장착한 코로나보드를 만듭니다. 4부에서는 AWS로 배포하고, 5부에서는 검색 엔진에 알리고, 구글 애널리틱스로 사용자를 분석하고, 구글 애드센스와 쿠팡 파트너스로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웹 서비스를 기획하고 구현하고 운영하는 전반적인 지식을 갖출 수 있습니다.
[고민타파 5문 5답]
〉 무언가 남다른 노하우가 부족하다고 느끼나요?
‘현실 세계 서비스 개발 노하우를 얻게 돼요.’ 갑자기 많은 사용자가 접속해도 장애 없이 안정적으로 서비스하는 동시에 서버 비용이 최소화되게 설계하려면 많은 경험이 필요합니다. 서비스 사용자에게 같은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운영 비용이나 고가용성, 성능, 사용 기술이 다릅니다. 또한 구현하는 데 드는 시간과 노력도 천차만별입니다. 이 책은 쾌속으로, 그리고 개발과 운영비를 줄여서 일 200만 뷰를 감당하는 안정성 높은 서비스를 만드는 다양한 노하우를 알려줍니다. 웹 서비스를 만드는 노하우를 얻을 수 있어요.
〉 취준생이라 아직 경력란에 쓸 내용이 없나요?
‘경력란을 채울 제대로 된 사이드 프로젝트를 얻을 수 있어요.’ UI 클론코딩만 해서는 제대로 된 프로젝트로 인정받기 어려워요. 제대로 된 서비스를 구현해야 이력이 됩니다. 이 책으로 필요한 기술을 하나하나 익혀 가면서 나만의 완성도 있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세요. 그러면 경력란에 채울 수 있는 개인 프로젝트 이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겁니다.
〉 운영 중인 서비스 유지비가 부담되나요?
‘운영비를 최소화하면서 수익화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어요.’ 같은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서비스마다 비용이 천차만별입니다. 요구사항을 만족하면서도 운영비가 최소화되도록 서비스를 구성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웹사이트에 구글 애드센스와 쿠팡 파트너스 두 가지 광고를 적용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로 사용자 행동을 분석해 웹사이트를 개선하고 방문자 수를 늘려보세요. 어느 순간 운영비보다 광고 수익이 커져, 운영비 걱정을 잊게 될 겁니다.
〉 무엇을 더 익혀야 성장할 수 있는지 모르겠나요?
‘직접 A부터 Z까지 만들며 풀스택 개발자로 거듭날 수 있어요.’ 백엔드, 프론트엔드로 구분지어 내 영역만 알면 성장에 한계가 있습니다. 모든 영역에서 전문가가 될 수는 없지만 주력 아닌 영역을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아야 더 나은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엉뚱한 요구사항을 만들지 않으므로 원활한 협업도 가능하답니다.
〉 크롤러를 만들었는데 수동 조작하시나요?
‘자동 크롤링되는 파이프라인을 익힐 수 있어요.’ 크롤러는 수동으로 실행해서는 의미가 없습니다. 주기적으로 자동 실행되어 수집한 데이터가 시스템에 자동으로 반영될 때 효용성이 더 큽니다. 이 책은 크롤링, 저장, 데이터 업데이트를 반복하는 지속 가능한 자동화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타깃 독자]
HTML/CSS/자바스크립트 그다음 공부를 준비하는 초보자
실용적인 예제로 웹 서비스 개발에 입문하려는 초급 개발자
아직 웹 서비스 개발 경력이 없는 취준생
풀스택 개발자가 되고 싶은 프론트엔드/백엔드 현업 개발자
웹 서비스 개발 및 운영 팁을 얻고 싶은 웹 서비스 개발자
[크롤링을 해도 되나요?]
이 책은 크롤링 실습에 사용할 웹 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크롤링을 실습하면서 혹시나 대상 사이트가 개편되지 않을까 혹시 법적인 문제가 될까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웹 크롤링 자체는 불법이 아닙니다). 단순한 크롤러가 아닙니다. 오토 크롤링 파이프라인을 개발하며 자동으로 크롤링을 수행하고, 크롤링한 데이터를 서비스에 반영하는 방법까지 알려줍니다.
[이 책의 특징]
크롤링 전용 사이트 제공 : 크롤링 전용 사이트를 제공합니다. 그래서 공부하면서 사이트 개편을 염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법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실전 웹 서비스 프로그래밍 : 데이터를 자동으로 크롤링하고 웹 페이지에 반영하는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웹 서비스를 만들어 AWS를 기반으로 배포합니다. 배포 후 검색 최적화, 구글 애널리틱스를 사용한 트래픽 분석까지 실제로 웹 서비스를 개발하는 모든 지식을 알려줍니다.
운영비 절감 아이디어 제공 : 서버 설정, HTTPS, 도메인 설정 등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비용을 아끼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그러면서도 일 200만 뷰 트래픽에도 끄떡없는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이끌어줍니다.
웹 서비스 지식이 없어도 OK : HTML・CSS・자바스크립트를 익혔다면 웹 서비스 지식이 없더라도 나만의 웹 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알려드립니다.
5단계로 익히는 서비스 개발 : 환경 구축 후 백엔드, 프론트엔드, 웹 서비스 구현(코로나보드), 배포, 운영 및 광고를 5단계로 익힙니다.
유용한 도구가 가득 : 개츠비, 부트스트랩, 구글 테이블, 노드JS, 익스프레스, MySQL, AWS, 클라우드플레어, 구글 애드센스, 구글 애널리틱스, 그래프 시각화(이차트, 구글차트) 등 생산성을 돕는 다양한 도구를 사용합니다.
2가지 광고 수익 창출 서비스 사용 : 구글 애드센스와 쿠팡 파트너스 광고를 적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이 책의 구성]
1단계 : 백엔드에서 서비스 준비하기
백엔드에서는 프론트엔드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조회 및 가공해 응답합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데이터 종류나 사용 방식에 적합한 데이터 저장소를 선택하고 저장한 뒤, 저장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프론트엔드에 전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2단계 : 프론트엔드로 사용자에게 다가가기
프론트엔드는 백엔드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줍니다. 기본적인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을 리액트와 개츠비로 구축하고, 다양한 화면 크기에도 최적화되어 보이도록 반응형 레이아웃을 적용하고, 데이터를 그래프로 시각화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3단계 : 〈PROJECT〉 코로나보드 만들기
앞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코로나보드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하는 클론 웹사이트를 컴포넌트 단위로 구현합니다. API와 구글 시트 등의 데이터 저장소로부터 웹사이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와서 UI 컴포넌트에 전달하고, 부트스트랩과 CSS를 이용하여 UI 컴포넌트에 디자인을 적용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컴포넌트들을 조합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웹사이트를 완성합니다
4단계 : 〈PROJECT〉 배포하고 운영하기
이제까지 개발한 코드들은 개발 환경에서만 동작했습니다. 이번 단계에서는 실제 사용자가 접속해서 볼 수 있도록 AWS(Amazon Web Service)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조합하여 운영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5단계 : 〈PROJECT〉 운영하며 광고 수익내기
서비스를 론칭한 후에는 사이트를 검색 엔진에 알리고 사용자를 모으고 분석하여 서비스를 수익화하는 방법도 살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