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궁전의) 후원에서 인공적인 것은 정원을 둘러싼 벽과 땅이 썩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여기저기에 놓은 몇 개의 돌 뿐이다…… 거기에 들어서면 감탄의 소리를 지르면서 이 창조되지 않은 창조물과 만나게 된다.' (본문 중에서)
What a Joseon garden looked like can be seen from the back garden of Chilgung Palace at the foot of Bugak Mountain in Seoul. This back garden is not really a garden at all; it is just a section of the skirt of the mountain that has been walled in and included within the grounds of Chilgung. The only thing artificial here is the wall that circumscribes the garden and some stones placed here and there for soil erosion control. And yet it is a splendid garden. Entering it, cries of admiration greet this uncreated creation. Not the sort of admiration for the skill of an architect or an expert in landscaping trained thoroughly in the modern sense. For the perfection of beauty and naturalness, explanations are superfluous; one feels such perfection intuitively.
'(일본의 예술 평론가) 故 야나기 무네요시는 조선 자기의 세계를 아름다움과 추함이 생기기 이전의 세계라고 정의했다. 다나까 도요따로는 "조선의 자기는 만들었다기보다는 태어난 것이다."라고 말했다.' (본문 중에서)
"Simple and ordinary", were the words of the late Muneyoshi Yanagi, the famous art connoisseur, who fell in love with Korean art, when he was shown the best tea bowl in Japan, called Kizaemon-Ido, a 16thcentury rice bowl of Joseon Korea. Yanagi defined the world of Joseon potters as the world before beauty and ugliness. Go Yu-seop called it "planned planlessness".
본 도서가 외국인을 위한 한국학 입문서(한영대역판)로서 꾸준한 사랑을 받아와 초판 2쇄에 이어, 어느덧 개정판을 펴내게 되었습니다. 그간 미흡했던 내용을 수정 증보하였습니다. 또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칼라 사진을 대거 삽입하였습니다.
용어사전 또한 영한 대역으로 교체하여 외국학생들이 보고 익히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였습니다. 아래는 간략한 책 소개입니다.
[소개글]
This book is a perfect guide to study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foreigners and advanced learner. Author has worked in Korean studies over 30 years and has organiz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very systemically.
Also this book is a compil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resources accumulated while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 course that has been offered over 14 years since 1997 as a graduate exam exemption subject for foreign stud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한국어와 한국문화는 한국어개관부터 한국사, 미술, 음악, 문학, 전통문화, 철학, 경어법에 이르기까지의 한국에 대한 거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여 꼭 필요한 핵심을 서술함으로써 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일목요연한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또한 고조선 이래 현재까지 주변국(중국, 일본, 미국 등)과의 역사적인 교류와 영향 및 차이점을 기술하여 폭넓은 시각에서 한국을 이해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30년이 넘는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꾸준한 보완을 거듭하여 태어난 [한국어와 한국문화]는 철저한 고증을 거친 자료들을 엄선하여 기술하였습니다. 부록으로 한영 대역의 용어사전을 첨부하여 한국어 증진에도 많은 도움을 줄 서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