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꿋꿋한 주석 병정(The Brave Tin Soldier)»은 아동 문학사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작품입니다. 그동안 민담에서 영감을 받아 동화를 써 오던 안데르센이 자신의 순수한 상상으로 쓴 최초의 창작 동화이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안데르센의 새로운 시도는 아동 문학의 흐름을 바꾸는 신호탄이 되었고, 그 후 많은 동화 작가들에게 크나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특히 «꿋꿋한 주석 병정(국/영/원문)»은 영문과 국문을 단락별로 비교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별도의 국문, 영문, 원문도 실어 언어별로도 안데르센을 즐기실 수 있습니다.
► 디지털로 만나는 수준 높고 다양한 클라식 일러스트레이션
<이것이 안데르센이다> 시리즈에는 ‘일러스트 황금기’ 시대의 그림들을 엄선하여 실어 여러 삽화가의 그림을 함께 감상하며 안데르센의 문학적 표현을 한층 돋보이게 했습니다. 이 시리즈로 안데르센의 진짜 매력을 고스란히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오직 전자책(e-Book)으로만 만날 수 있습니다.
► 작품 속으로
하지만 다른 병정들이 두 다리로 서는 것만큼이나 튼튼히 서 있었고, 그런 모습이 그를 오히려 더욱 특별해 보이게 만들었어요.
so they made him to stand firmly on one leg, and this caused him to be very remarkable.
dog stod han ligesaa fast paa sit ene, som de andre paa deres to, og det er just ham, som bliver mærkværdig.
- «꿋꿋한 주석 병정» 중에서
‘내가 찾던 신붓감이야. 하지만 그녀는 궁전에 사는 지체 높은 분인데, 나는 고작 스물다섯 명이 상자 하나에서 같이 살잖아.’
“That is the wife for me,” he thought; “but she is too grand, and lives in a castle, while I have only a box to live in, five-and-twenty of us altogether.”
»Det var en Kone for mig!« tænkte han; »men hun er noget fornem, hun boer i et Slot, jeg har kun en Æske, og den ere vi fem og tyve om!
- «꿋꿋한 주석 병정» 중에서
도깨비가 말했어요. “주석 병정, 네 것이 아닌 건 바라지도 마.”
“Tin soldier,” said the goblin, “don’t wish for what does not belong to you.”
»Tinsoldat!« sagde Trolden, »vil Du holde dine Øine hos Dig selv!«
- «꿋꿋한 주석 병정» 중에서
가엾은 주석 병정은 급하게 떨어지는 종이배에서 꿋꿋하게 버틸 수밖에 없었어요. 전혀 겁먹지 않았다는 듯 눈 한 번 깜박이지 않았죠.
…the poor tin soldier could only hold himself as stiffly as possible, without moving an eyelid, to show that he was not afraid.
den stakkels Tinsoldat holdt sig saa stiv han kunde, ingen skulde sige ham paa, at han blinkede med Øinene.
- «꿋꿋한 주석 병정» 중에서
불꽃은 주석 병정을 뜨겁게 달궜어요. 주석 병정에게는 무척이나 지독한 열기였죠. 하지만 그 열기가 진짜 불 때문인지, 아니면 불같은 사랑 때문인지 그는 알 수 없었어요.
The flames lighted up the tin soldier, as he stood, the heat was very terrible, but whether it proceeded from the real fire or from the fire of love he could not tell.
Tinsoldaten stod ganske belyst og følte en Hede, der var forfærdelig, men om det var af den virkelige Ild, eller af Kjærlighed, det vidste han ikke.
- «꿋꿋한 주석 병정»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