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시와 살다 상세페이지

시와 살다작품 소개

<시와 살다> “운명이야 어떤 자리에서 어떻게 손을 내밀든
시 때문에 나는 가난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이생진 구순 특별 서문집
첫 시집 『산토끼』부터 서른여덟 번째 시집 『무연고』까지
시집과 시화집, 시선집, 산문집, 편저 48편
1955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시인의 행보를 망라하다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로 40년 넘게 꾸준히 사랑받으며 2001년 제주특별자치도 명예도민이 된 시인. 성산포 오정개 해안에 세워진 ‘그리운 바다 성산포’ 시비공원의 시인. 『먼 섬에 가고 싶다』로 윤동주 문학상을 수상하고 『혼자 사는 어머니』로 상화 시인상을 수상한 시인. “섬사람들은 미역 캐고, 나는 시를 캔다.”고 말하는 이생진 시인이다.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바다 시인’으로 1955년 첫 시집 『산토끼』를 비롯하여 그동안 출간된 시집만도 38편, 그 밖에도 시선집 3편, 시화집 4편, 산문집 2편을 펴냈다. 그동안 시 또한 연필에서 펜으로, 만년필에서 볼펜으로, 워드, 이제는 컴퓨터로 쓰게 된 세월의 흐름. 시가 곧 시인의 삶 그 자체이며 그야말로 ‘시와 산’ 시인이 올해 구순을 맞았다. 이생진 구순 특별 서문집 『시와 살다』는 구순이 된 지금도 열정적으로 시를 쓰고 낭송하는 시인 이생진의 삶 그 자체를 담아낸 서문집이다.
섬을 떠돌며 시를 써온 시인은 자신의 시를 ‘발로 쓴 시’라고 말한다. 책상머리에 앉아 쓰는 시보다 걸어 다니며 쓰는 시가 더 시답다는 것이다. ‘발로 쓴 시’는 지금 읽어 보아도 그때 그 실감이 난다고 한다. 평생 쓴 일기와 화첩, 메모지를 빠짐없이 간직하고 있을 만큼 시인은 “기록하는 습관은 뇌신경을 깨우는 값진 보물”이라고 말한다. 시인은 작품의 서문과 후기에는 그 책의 내용과 의도를 충실히 담아야 한다고 생각해 48편 모든 작품에 서문 또는 후기를 써왔다. 그때 그 책을 내던 그 순간의 느낌과 감정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기록이 『시와 살다』 한 권 책에 묶였다. 『시와 살다』는 이생진 시인의 자서전과도 같은 작품이다. 이생진 시인은 “나는 자서전을 쓰지 않을 것이다. 자서전이 필요 없다. 이 책이 내 자서전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와 살다』는 단순히 시인이 그동안 펴낸 작품의 서문과 후기를 모은 문집에 그치지 않는다. 그의 작품에는 그의 삶뿐만 아니라 우리의 역사가 있고, 우리 자연의 아름다움이 있다. ‘언어나 기교에 신경 쓰지 않고 옹달샘에 고이는 물을 퍼내어 쓰듯’ 쓴 시인의 시혼(詩魂). 그 이면에는 시인의 삶 그리고 삶의 질곡까지 기쁨으로 맞아들이는 시에 대한 고마움, 시인이 느낄 수 있는 행복이 넘쳐흐른다. 이생진 시인의 시만큼이나 담백하고 쉬우며 보편적이고 아름다운 그때 그 기록이 독자를 섬으로, 바다로, 고독한 행복 속으로 데려간다.


출판사 서평

첫 시집 『산토끼』부터 서른여덟 번째 시집 『무연고』까지
시집과 시화집, 시선집, 산문집, 편저 48편!
1955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이생진 시인의 행보를 망라하다

섬, 바다, ‘그리운 바다 성산포’가 떠오르는 시인 이생진. “섬사람들은 미역 캐고, 나는 시를 캔다.”고 말하는 이생진 시인이 올해 구순을 맞았다. 1955년 첫 시집 『산토끼』가 출간된 지도 63년이 되었지만, 시인이 시를 알게 된 때가 열여섯 살이었고 구순이 된 올해 신작 시집 『무연고』를 펴냈다. 그동안 출간된 시집만도 38편, 그 밖에도 시선집 3편, 시화집 4편, 산문집 2편을 펴냈다. 그사이 변해버린 세월은 연필에서 펜으로, 만년필에서 볼펜으로, 워드, 이제는 컴퓨터 없이는 시를 쓰지 못하게 했을 정도니 시가 곧 시인의 삶 그 자체이며 그야말로 ‘시와 산’ 인생이다. 이생진 서문집 『시와 살다』는 2018년 구순을 맞이한 시인의 시(詩) 인생을 돌아보는 작품이다.

시에게서 버림받는 일 그보다 더 큰 벌이 어디 있겠니. 나에게서 시를 빼앗기는 일 그보다 더 큰 재앙이 어디 있겠니. 시야, 너는 참 고맙다. 너는 하늘이 만들어준 내 평생의 날개다. 너는 내 어머니가 만들어준 영원한 양식이다.
_『자기』 후기에서

섬을 떠돌며 시를 써온 시인은 자신의 시를 ‘발로 쓴 시’라고 말한다. 책상머리에 앉아 쓰는 시보다 걸어 다니며 쓰는 시가 더 시답다는 것이다. ‘발로 쓴 시’는 지금 읽어 보아도 그때 그 실감이 난다고 한다. 방학이 되면 수첩과 화첩, 메모지를 가지고 섬으로 갔고, 평생 쓴 일기와 화첩, 메모지를 빠짐없이 간직하고 있을 만큼 시인은 “기록하는 습관은 뇌신경을 깨우는 값진 보물”이라고 말한다. 그런 시인이기에 그의 작품 속 서문과 후기는 더욱 중요하다. 시인은 작품의 서문과 후기에는 그 책의 내용과 의도를 충실히 담아야 한다고 생각해왔으며, 그에 따라 48편 모든 작품에 빠짐없이 서문 또는 후기를 써왔다. 하여 시인의 서문(머리말)은 서문다우며, 후기(맺음말)는 후기답다. 그때 그 책을 내던 그 순간의 느낌과 감정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기록이 『시와 살다』 한 권 책에 묶였다.


“운명이야 어떤 자리에서 어떻게 손을 내밀든
시 때문에 나는 가난하지 않았다.”
시가 곧 삶인 구순 시인의 인생 여로

『시와 살다』는 이생진 시인의 자서전과도 같은 작품이다. 이생진 시인은 “나는 자서전을 쓰지 않을 것이다. 자서전이 필요 없다. 이 책이 내 자서전이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그의 작품 속에 그의 인생이 담겼을 뿐만 아니라, ‘시’가 그리고 ‘문학’이 시인의 삶에 그만큼 큰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생진 시인의 시에 대한 열망과 열정은 모든 작품에서 드러나지만, 특히 시인의 첫 시집 『산토끼』부터 『녹벽』(1956)과 『동굴화』(1957)를 거쳐 네 번째 시집 『이발사』(1958)까지는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1969년 마흔에 정식으로 등단하기 14년 전, 시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문학을 하기 위한 몸부림”을 쳤다. 시가 좋아, 시집을 내고 싶었던 시인은 1955년에 출간된 한하운의 시집 『보리피리』를 뜯어 살펴보고 출판 원지에 한 자 한 자 자필로 시를 쓰고 등사판으로 밀었으며, 표지를 만들어 재단하고 그림을 그려 넣고 제본하는 과정을 거쳐 해마다 200부씩 시집을 만들었다. 이렇게 손수 만든 시집은 문학에 관심이 있는 선후배들에게 보내고 평을 들었다.
등단 전후로 출간한 시집 『나의 부재』(1963), 『바다에 오는 이유』(1972), 『자기』(1975), 『그리운 바다 성산포』(1978), 『산에 오는 이유』(1984) 다섯 권 또한 자비로 500부씩 출간했다. 당시 출간된 시집의 편집과 도안은 시인이 직접 했다. 이 시집에는 시인의 영혼이 담겨 있었다. 그 가운데 시인의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원고를 정리하러 성산포에 갔다가 성산포, 수마포 해변과 일출봉과 우도에 매료되어 밤에도 여관방을 들락날락하다가 얻은 시”다. 1975년 10월 윤강로, 신협, 이신봉, 신용대와 함께 동인지 『다섯 사람의 분수』에 실었다. 그리고 1978년 자비로 500부를 출간한 지 9년 만에 동천사에서 펴낸다고 하여 시인은 어찌나 반가웠던지 인세는 생각도 않고 앞으로 자신이 내게 될 시집은 거저 내달라고 했다. 이후 2008년 우리글로 옮겨온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지금까지도 쇄를 거듭하고 있다.
6ㆍ25전쟁 당시 징병되어 제주도 육군 제1훈련소에서 3년간 복무하면서 시작된 제주도와의 인연은 여덟 번째 시집인 『그리운 바다 성산포』로 이어졌으며, 남제주군에서 명예군민증을, 제주도에서 명예도민증을 받았고, 성산포 오정개 해안에 ‘그리운 바다 성산포’ 시비공원이 건립되었다. 그렇기에 시인은 제주를 자신의 고향이라 말한다. 하지만 시인은 자신이 『그리운 바다 성산포』의 시인으로만 남고자 하지 않았고, 제주와 성산포만 가슴에 담아두지도 않았다. 교사 생활을 하던 때에도 방학이면 등짐을 꾸렸고, 33년 동안 월급의 일부를 부인 몰래 경비를 따로 모았으며, 1993년 교사 생활을 마감한 뒤로는 한 달에 한 번은 섬으로 갔다.
3,000여 개 우리나라 섬 가운데 1,000여 곳을 다녀왔을 정도로 시인은 평생을 바다와 섬으로 향하며 『그리운 바다 성산포』 이후 시집을 서른 권을 냈다. 특히 시인 자신이 시 쓰기에 가장 왕성한 때라고 느낀 예순에서 여든까지 20년간 곤충 시집 『내 울음은 노래가 아니다』(1990), 『섬마다 그리움이』(1992), 평화로운 주택을 침범한 살인강도, 사형수와 집행리의 고민을 다룬 『불행한 데가 닮았다』(1994), 우이동에서 살며 알게 된 산의 고마움을 그린 『서울 북한산』(1994), 겨울날 홍도로 달려가 쓴 『동백꽃 피거든 홍도로 오라』(1995), 먼 섬 마라도를 그린 『먼 섬에 가고 싶다』(1995), 만재도를 그린 『하늘에 있는 섬』(1997), 자연에 취하고 인물에 감동하고 역사에 눈을 돌리는 섬 『거문도』(1998), 섬에 있는 또 다른 섬, 등대를 그린 『외로운 사람이 등대를 찾는다』(1999), 『그리운 섬 우도에 가면』(2000), 여서도와 청산도, 대모도와 소모도를 돌며 쓴 『혼자 사는 어머니』(2001), 황진이에 관한 『그 사람 네게로 오네』(2003), 김삿갓에 관한 『김삿갓, 시인아 바람아』(2004), 변해 가는 세상 모습을 담은 『인사동』(2006), 독도에 대한 그리움이 담긴 『독도로 가는 길』(2007), 반 고흐를 그린 시집 『반 고흐, ‘너도 미쳐라’』(2008) 등을 펴냈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 10년간은 또 가고 싶은 섬 우이도에서 쓴 『우이도로 가야지』(2009), 고향 서산과 실미도, 무의도를 그린 『실미도, 꿩 우는 소리』(2011), 시인의 지나간 이야기를 담은 『골뱅이@ 이야기』(2012), 섬사람들의, 자신의 삶의 질곡을 기록한 『섬 사람들』(2016), 십 수 년 전부터 다녀온 맹골수역의 여러 섬에 관한 『맹골도』(2017) 그리고 구순 길목에서 쓴 일기와도 같은 『무연고』(2018) 등을 내며 첫 시집을 출간한 지 벌써 6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활발하게 시작(詩作)을 이어가며 꾸준히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시집은 나에게 바다가 보이는 창문 같아서 자꾸 여닫게 된다.
누가 내 시집을 읽고 그 자리에 버린다 해도 시는 시집詩集에 들렀다 가는 것이 도리이다.
_『실미도, 꿩 우는 소리』 후기에서

이생진 구순 특별 서문집 『시와 살다』는 단순히 시인 한 사람이 그동안 펴낸 작품의 서문과 후기를 모은 문집에 그치지 않는다. 제목 그대로 시와 살아왔으며, 살고 있고, 생의 종점에 이를 때까지 시와 함께할 그의 삶 그 자체이다. ‘아름다운 곳을 아름답다고 말하는 것은 시인의 몫’이며 이런 능력을 가진 시인은 행복한 존재라고 말하는 이생진 시인. 그의 시에는 그의 삶뿐만 아니라 우리의 역사가 있고, 우리 자연의 아름다움이 있다. ‘언어나 기교에 신경 쓰지 않고 옹달샘에 고이는 물을 퍼내어 쓰듯’ 쓴 시인의 시혼(詩魂). 그 이면에는 시인의 삶 그리고 삶의 질곡까지 기쁨으로 맞아들이는 시에 대한 고마움, 시인이 느낄 수 있는 행복이 넘쳐흐른다. 이생진 시인의 시만큼이나 담백하고 쉬우며 보편적이고 아름다운 그때 그 기록이 독자를 섬으로, 바다로, 고독한 행복 속으로 데려간다.

시 속에서는 너도 나요, 나도 너다.
_『섬 사람들』 후기에서


저자 프로필

이생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29년 10월 1일
  • 학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학
    국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데뷔 1969년 현대문학 시 '제단'
  • 수상 2002년 윤동주 문학상
    2001년 상화 시인상

2014.11.1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이생진李生珍
(1929~ )

서산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바다와 섬을 좋아했다. 해마다 몇 차례씩 섬으로 여행을 다니며 우리나라 섬의 정경과 섬사람들의 애환을 시에 담아내어 ‘섬 시인’, ‘바다 시인’으로 불린다. 1955년 첫 시집 『산토끼』를 펴내기 시작해 1969년 「제단」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이후 지금까지 시집 38편, 시선집 3편, 시화집 4편, 산문집 2편 등을 펴냈다. 1978년에 펴낸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바다와 섬과 사랑을 노래한 국내 시의 백미白眉”로 꼽히며 40년 넘게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다. 구순 특별 서문집 『시와 살다』는 이제까지 출간된 시집과 시화집, 시선집, 산문집과 편저를 망라하여 서문과 후기를 모은 문집이다.
1996년 『먼 섬에 가고 싶다』로 윤동주 문학상, 2002년 『혼자 사는 어머니』로 상화尙火 시인상을 수상했다. 2001년 제주자치도 명예도민이 되었고, 2009년 성산포 오정개 해안에 ‘그리운 바다 성산포’ 시비공원이 만들어졌으며, 2012년 신안 명예군민이 되었다.

목차

머리말

첫 번째 시집 『산토끼』
두 번째 시집 『녹벽』
세 번째 시집 『동굴화』
네 번째 시집 『이발사』
첫 번째 편저 『아름다운 천재들』
다섯 번째 시집 『나의 부재』
두 번째 편저 『나는 나의 길을 가련다』
여섯 번째 시집 『바다에 오는 이유』
일곱 번째 시집 『자기』
여덟 번째 시집 『그리운 바다 성산포』
아홉 번째 시집 『산에 오는 이유』
열 번째 시집 『섬에 오는 이유』
열한 번째 시집 『시인의 사랑』
열두 번째 시집 『나를 버리고』
열세 번째 시집 『내 울음은 노래가 아니다』
열네 번째 시집 『섬마다 그리움이』
열다섯 번째 시집 『불행한 데가 닮았다』
열여섯 번째 시집 『서울 북한산』
열일곱 번째 시집 『동백꽃 피거든 홍도로 오라』
열여덟 번째 시집 『먼 섬에 가고 싶다』
열아홉 번째 시집 『일요일에 아름다운 여자』
첫 번째 시화집 『숲 속의 사랑』
첫 번째 산문집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스무 번째 시집 『하늘에 있는 섬』
스물한 번째 시집 『거문도』
스물두 번째 시집 『외로운 사람이 등대를 찾는다』


첫 번째 시선집 『시인과 갈매기』
두 번째 산문집 『걸어다니는 물고기』
스물세 번째 시집 『그리운 섬 우도에 가면』
스물네 번째 시집 『혼자 사는 어머니』
두 번째 시화집 『제주, 그리고 오름』
스물여섯 번째 시집 『그 사람 내게로 오네』
스물일곱 번째 시집 『김삿갓, 시인아 바람아』
두 번째 시선집 『저 별도 이 섬에 올 거다』
스물여덟 번째 시집 『인사동』
스물아홉 번째 시집 『독도로 가는 길』
서른 번째 시집 『반 고흐, ‘너도 미쳐라’』
서른한 번째 시집 『서귀포 칠십리길』
서른두 번째 시집 『우이도로 가야지』
세 번째 시화집 『시와 그림으로 만나는 제주』


서른세 번째 시집 『실미도, 꿩 우는 소리』
네 번째 시화집 『시가 가고 그림이 오다』
세 번째 시선집 『기다림』
서른네 번째 시집 『골뱅이@ 이야기』
서른다섯 번째 시집 『어머니의 숨비소리』
서른여섯 번째 시집 『섬 사람들』
서른일곱 번째 시집 『맹골도』
서른여덟 번째 시집 『무연고』

연보


리뷰

구매자 별점

5.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3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