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설명이나 수식이 필요없는 씨네아스트 안드레이 타르콥스키의 다큐멘터리 《타르콥스키, 기도하는 영혼》(2022) 시나리오집 출간에 이어, 1999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로제타〉), 2005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더 차일드〉), 2008년 칸 영화제 각본상(〈로나의 침묵〉), 2011년 칸영화제 심사위원대상(〈자전거 탄 소년〉)등 을 수상하며 세계적인 거장의 반열에 오른 다르덴 형제의 시나리오가 알마에서 출간된다.
벨기에에서 나고 자란 두 형제 감독은 사회에서 불안정하게 살아가는 사람이나 눈에 띄지 않는 어두운 존재 등을 주인공으로 삼아 사회적인 주제를 다룬다. 대부분 영화의 스토리는 실제 사건에서 모티브를 가져오기에 현실적인 면이 강하게 부각된다. 영화를 제작하는 현장을 직접 보지 못하는 게 아쉬울 만큼 영화의 장면은 현실감이 생생하다. 그러나 벨기에는 이곳에서 멀고, 그들의 영화 현장은 다가가기 힘들다. 그 대신 시나리오를 통해 그들의 영화가 어떻게 탄생하는지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영화를 직접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나리오집을 읽는 것은 영화를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이다. 특히 영화 장면과 시나리오가 다른 부분을 찾아가며, 왜 이 부분은 다르게 표현했는지 상상하고 곱씹어보면 다르덴 형제가 영화를 통해 말하고 싶어 했던 주제 의식이 좀 더 선명해진다. 무엇이 중요했고, 달리 표현하면서 어떤 효과를 획득했는지 찾아내는 작업은 시나리오를 읽지 않으면 알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다르덴 형제의 다큐적 화법은 시나리오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그렇기에 다르덴 형제의 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시나리오집을 읽는 것은 그들의 창작의 뿌리를 보는 것과 다름없다.
벨기에 리에주 지방 산업도시인 세랭에서 태어났다. 장 피에르는 배우가 되기 위해 다니던 브뤼셀의 방송예술연구소Institut des Arts deDiffusion에서 극작가이자 시인, 감독인 아르망 가티를 만나면서 연출에 관심을 갖게 됐다. 철학을 공부하던 뤽은 형을 따라 아르망 가티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장 피에르와 뤽은 1975년 다큐멘터리 제작사 데리브Dérives를 설립하고, 벨기에 세랭 지역민들을 담아낸 다큐멘터리를 제작 및 연출했다. 다큐멘터리 형식에 한계를 느낀 다르덴 형제는 1986년 영화 〈거짓Falsch〉을 연출하면서 극영화에 진출했다. 이후 연출한 영화 〈당신을 생각해요Je pense à vous〉(1992)가 기대만큼의 성공을 거두지 못하자, 1994년 영화제작사 레 필름 뒤 플뢰브Les Films du Fleuve를 설립해 소규모 예산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새로운 방식을 동원해 연출한 영화 〈약속La Promesse〉(1996)이 칸영화제 감독주간에 소개되고, 〈로제타〉가 1999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 뒤 영화 〈아들〉 〈더 차일드〉 〈로나의 침묵〉 〈자전거 탄 소년〉 〈내일을 위한 시간〉 〈언노운 걸〉 〈소년 아메드〉 〈토리와 로키타〉를 발표했다. 칸영화제에서 두 차례의 황금종려상과 심사위원대상, 감독상, 각본상을 받았으며, 2022년에는 칸영화제 75주년 특별기념상을 수상했다. 2024년 8월부터 차기작을 촬영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