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안용복 상세페이지

소설 한국소설

안용복

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을 되찾아온 조선의 어부
소장종이책 정가12,000
전자책 정가58%5,000
판매가5,000

안용복작품 소개

<안용복> 안용복은 어떤 인물인가?

『성호사설』에는 동래부 수군에 예속된 전함의 노꾼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왜관에 자주 드나들어 일본말을 익혔으며, 1693년(숙종 19년) 울릉도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중 일본 어민이 침입하자 이를 막다가 박어둔과 함께 일본으로 끌려갔다가 돌아왔다. 이때 에도의 도쿠가와 막부로부터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하는 서계를 받았으나 귀국 도중 대마도에서 대마도주에게 서계를 빼앗겼다. 같은 해 9월 대마도주는 예조에 서계를 보내 울릉도(일본명―다케시마竹島)에서 조선 어민의 고기잡이를 금지시킬 것을 요청했다. 이에 조선 정부는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분명히 밝히고 외딴 섬에 왕래를 금지하는 공도정책(空島政策)에 일본도 협조할 것을 요청한 예조복서(禮曹覆書)를 보냈다.
1696년 안용복은 울릉도에서 고기잡이를 하던 중 다시 일본 어선을 발견하고 독도(일본명―마쓰시마松島)까지 추격하여 영토 침입을 꾸짖었으며 스스로 울릉우산양도감세관(鬱陵于山兩島監稅官)이라 칭하고 백기도주로부터 영토 침입에 대한 사과를 받고 귀국했다. 귀국 후 사사로이 국제 문제를 일으켰다는 이유로 사형을 당할 위험에 처했으나 영의정 남구만의 도움으로 귀양을 가는 데 그쳤다.
1697년 대마도주가 울릉도가 조선땅임을 확인하는 서계를 보냄으로써 조선과 일본 간의 울릉도를 둘러싼 분쟁은 일단락되었다.

역사소설 안용복

안용복의 도해(渡海)는 대마도주의 오랜 흉계를 세상에 드러낸 하나의 사건이었다. 첫 번째 도해 때 대마도주는 안용복이 막부로부터 받아온 문서를 압수하였고, 외교적으로 노련한 다다 요자에몽을 파견하여 울릉도를 자국 영토에 편입시키기 위하여 몇 차례 협상 끝에 외교 분쟁을 일으키기에 이른다. 일촉즉발의 상황에서 일본은 1696년 1월 28일 막부의 중신인 네 명의 로주들이 서명하여 울릉도와 자산도 도해를 금지하는 봉서를 내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릉도와 독도에서 일본 어부들의 어로 행위가 그치지 않자 안용복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시금 도해를 결심하게 된다.

태종 13년1407 3월 15일 대마도 수호(守護 종정무宗貞茂, 소오 사다시게)가 평도전(平道全, 히라미치 젠)을 보내와 토물(土物)을 바치고, 잡혀갔던 사람들을 돌려보냈다. 이때 종정무가 울릉도에 여러 부락을 거느리고 가서 옮겨 살고자 한다는 청을 하였다.

이는『조선왕조실록』에 전하는 독도 관련 자료이다.
히라미치 젠은 태종의 호위무사로서 오랫동안 대마도주 소오 사다시게의 밀정 노릇을 하다가, 세종 1년1419년 대마도 정벌 때 죄가 발각되어 귀양을 간 인물이다.
역사를 살펴보면 울릉도와 독도를 자국 영토로 편입시키기 위한 일본의 노력은 조선이 개국한 이후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행히 정치·문화·군사적으로 우월한 위치에 있던 조선 초기에는 울릉도와 독도를 자국 영토로 단호히 선포하였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선의 울릉도와 독도의 지배력이 약화되자, 왜인들은 두 섬의 이름을 다케시마와 마쓰시마로 부르며 자신들의 영토로 만들려 했다. 안용복의 도해는 이러한 왜인들의 오랜 흉계를 세상에 드러낸 하나의 큰 사건이었다.
1693년 일본 어부들에게 납치되다시피 끌려간 안용복은 에도 막부가 일본 어민들의 울릉도와 독도 도해를 금지한 문서를 요나고 번주로부터 받았지만, 조선으로 돌아오는 길에 대마도주에게 압수당하고 말았다. 대마도주는 외교적으로 노련한 다다 요자에몽(橘眞重)을 파견하여 울릉도를 자국 영토에 편입시키기 위하여 몇 차례의 협상 끝에 외교 분쟁을 일으키기에 이른다.
섬의 소유권을 놓고 전쟁 직전까지 간 상황에서 1696년 1월 28일, 막부의 중신인 네 명의 로주(老中막부 및 번에서 정사를 돌보는 직책)들이 서명하여 울릉도와 독도 도해를 금지하는 봉서를 내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울릉도와 독도에서 일본 어부들의 어로 행위가 그치지 않자 안용복은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시금 도해를 결심한다. 1693년의 첫 번째 도해가 일본 어부들에게 끌려간 형태라면, 1696년의 두 번째 도해는 확실한 목적을 가지고 스스로 찾아간 것이다.
안용복의 두 차례 도해로 말미암아 조선 조정은 외교적으로 울릉도와 독도의 소유권을 분명히 했다. 이듬해 일본 막부는 울릉도 근처의 출어를 금지하겠다는 사실을 대마도주를 통해 조선 측에 공식적으로 통보하였고, 이로써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분쟁은 종결되었다.


저자 프로필

권오단

  • 국적 대한민국
  • 수상 2011년 한국중앙아시아 창작시나리오 국제공모전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06년 제1회 디지털작가상 대상
    2005년 장르문학상 금상

2015.01.12.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자 - 권오단
안동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대학에서 한문학을 공부하고 작가의 길로 들어서 2006년에 제1회 디지털작가상 대상을 수상했으며, 그동안 역사소설 『전우치』,『난』,『세종, 대마도를 정벌하다』 등을 출간했다. 소설 『안용복』은 조선시대에 울릉도와 독도를 지키는 데 힘쓴 안용복의 일대기를 새롭게 재구성해 사람들에게 독도가 우리 땅임을 알리려는 생각에서 집필을 시작했다. 이 책이 최근 더욱 격렬해진 일본의 독도 자국 영토 발언에 대응하는 데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