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시가(詩歌)의 음미법
      김안서(김억)온이퍼브인문
      0(0)

      감상(鑑賞)이란 다른 것이 아니고 작품을 통해서 작자의 표현된 생명을 보는 것이다. 시가(詩歌)는 결코 설명할 것이 아니고 느낄 것이다. 시가(詩歌)는 읽는 데 따라서 그가 주는 생각이 달라집니다. 문장(文章)을 고치는 것은 사상(思想)을 고치고 것이라는 의미에서 작품의 정부(正否) 같은 것을 논의할 여지도 있을 것이지마는, 그것은 어쨌든지 이러한 시상(詩想)에는 이렇게 전도(顚倒)한 것이 대단해 좋으리라고 합니다. 시(詩)에는 표면(表面)에

      소장 2,000원

      • 언어 언어 언어
        김안서(김억)온이퍼브인문
        0(0)

        조선말은 그 성질로 보아서 결코 단어 중심으로 구두를 잡을 것이 아니다. 그것보다도 의미 중심으로 구두(句讀)의 표준을 정하는 것이 온당하다. 자로 여실히 표현을 어떻게 할까 하는 문제에 놀라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표현의 고심이 이곳에 있는 것이요 언어의 선택이 이 점에서 절실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지라 시인은 ‘언어! 언어!’하며 언어를 선택해서는 그것을 닦고 다스리고 대패질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언어는 반드시 논리에 틀

        소장 2,000원

        • 조선문학의 역사성
          김태준온이퍼브인문
          0(0)

          조선은 국가 형성 과정보다 훨씬 이전에 중국 문학, 즉 한문이라고 부르는 상형문자를 빌려 쓴 것을 24사 중 <동이전(東夷傳)> 등 문헌을 통하여 알 수 있다. 문화가 가장 뒤떨어진 신라까지도 서기 6세기에는 훌륭한 왕국 정사(正史)를 가지게 되었다. 그는 물론 모두 중국 문자를 차용하였을 것이다. <구운몽(九雲夢)>은 주인공 성진(性眞)이 일부팔처(一夫八妻)의 전생연분으로 인간에 나서 온갖 향락을 누리다가 다시 옛날로 돌아가는 것이다. 당시

          소장 2,000원

          • 주역 사상의 역사관
            김명식온이퍼브인문
            0(0)

            팔괘(八卦)의 괘는 괘(卦)의 뜻이다. 대상을 불러들인다는 말로 이로써 사람이 동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 것이다. 말하자면 사람과 동물과의 분기점이 ‘관(觀)’에 있다. 포희씨(包犧氏)는 성인을 이름으로 나는 주역의 방법론을 해설함에 있어 성인(聖人)을 방법론의 대명사로 규정하였고, 이제 역사 주장을 해설함에 있어 시대의 대명사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주역(周易)의 쾌괘(夬掛)는 결단한다는 뜻이며 봉건정치가 이 단계에 이르러서 완성된 사실은

            소장 1,500원

            • 스핑크스의 고뇌
              김억온이퍼브인문
              0(0)

              빅토르 위고 이후에 시단은 많은 변천이 있었으나, 1866년에 고답파(高踏派) (파르나시앵Parnassien)의 제1시집이 파리에서 출현한 뒤에 20년 동안(1866~ 1885)의 프랑스 시단에서는 고답파의 신조가 권위적이었다. 그들의 신조는 감정이나 사상을 멸시하고 사실이면 자아를 절제하고, 냉정한 객관미의 중시, 무감각(Impossibilite)이었다. 그러고 이 학파의 공덕으로는 시형(詩形)의 절대적 완미(完美), 기교의 최고 극치이며 시

              소장 1,000원

              • 조선소설사
                이광수온이퍼브인문
                0(0)

                신소설은 이인직(李人稙)의 『귀의성(鬼─聲)』, 『치악산(雉岳山)』 등이 청신한 소설의 처음이다. 이것이 한 25년 전 쯤 된다. 나도 그때의 소설을 쓴 사람인데, 그 당시의 문학사조는 대체로 로맨티시즘 고전주의에서 자연주의로 한창 나아갈 때였다. 자연주의는 그저 있는 대로 쓰라고 하니 자연 젊은이들은 성욕이나 자유연애 같은 것을 쓰게 되었다. 타야마 카타이(田山花袋)*의 『이불(蒲團)』 같은 것은 그때 절찬을 받았던 작품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백조 문학사적 의의
                  임화온이퍼브인문
                  0(0)

                  순수한 정열이란 것은 오로지 그런 현실 가운데서는 현실과 깨끗이 결별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20대 전후의 순량(純良)한 청년들이 생각할 수 있는 세계이었다. 오직 울고 애상(哀傷)하고 탄식하고 퇴폐와 방종과 신기(新奇)와 호사(豪奢)의 낭만적 세계 가운데서 열광함으로써 그들은 자기를 위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자연주의 문학을 만일 부정을 통해서일망정 현실이 어느 정도까지 개량을 의도한, 다시 말하면 어느 귀퉁이 위에 희미한 희망의 한 조각을

                  소장 3,000원

                  • 시론(詩論)
                    김억온이퍼브인문
                    0(0)

                    소설 같은 것에는 외부적 조건, 다시 말하면 그 시대상이라고 할 만한 경제생활이라든가 가정생활이라든가 하는 것에 대한 면밀한 표현이 있어야 한다. 시가(詩歌)에서 이러한 그 시대상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보다도 인생의 내부적 생활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는 충동으로서 어떤 모습을 내부적 조건을 수단으로 삼아 표현하는 것만큼 엄정한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본문 중에서>

                    소장 2,000원

                    • 고전과 현대
                      서인식온이퍼브인문
                      0(0)

                      우리는 오늘날 문화의 생산에 관여하는 지식계급에 기성 문화의 부질없는 향수보다도 정당한 의미의 새로운 문화 종합의 전향을 요구하지 않을 수 없다. 혹은 정치적 고려를 떠나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역사의 전형(轉形)기에 있어서는 눈을 기성 문화의 옹호보다도 새 문화의 창조에 돌리는 것이 역사의 필연을 통찰하는 사람의 슬기 있는 행동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3,000원

                      • 기생의 유래
                        차상찬온이퍼브인문
                        0(0)

                        원래 우리나라는 기생이 없었고 양수척자가 있는 유기장이 종족을 남겼는데, 그 종족은 없고 무식하거나 물과 풀을 쫓고 옮기면서 오직 사냥하거나 유기를 팔아 생계를 유지하였다. 고려 이의문의 아들 지영은 양수척을 기적에 편재하여 공물을 바치도록 하였다. 이때부터 남자는 노비로 삼고 여자는 기생으로 삼았는데 우리나라의 창기는 이때부터 생기게 되었다.<본문 중에서>

                        소장 4,000원

                        • 시작법(詩作法)
                          김억온이퍼브인문
                          1.0(1)

                          예술이란 인생이 실재에 대한 감동을 표현한 것입니다. 그 감동을 표현함에는 일정한 약속이 있습니다. 얼마큼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표현 방식에 있어 일정한 규정과 제한이 없는 산문(散文)에 대한 운문(韻文)이 시가(詩歌)의 의미로, 시가에는 일정한 규정과 제한이 있습니다.<본문 중에서>

                          소장 4,000원

                        • 소설작법 (김동인, 온이퍼브)
                        • 내가 본 최남선 (양건식, 온이퍼브)
                        • 민요 소고(小考) (이광수, 온이퍼브)
                        • 르네상스와 휴머니즘론 (임화, 온이퍼브)
                        • 조선 문학의 전통 (김태준, 온이퍼브)
                        • 현실표현의 방법 (권환, 온이퍼브)
                        • 소설의 인상 (임화, 온이퍼브)
                        • 언어의 마술성 (임화, 온이퍼브)
                        • 입옹대운 (이어, 온이퍼브)
                        • 유학경림 (정등길, 온이퍼브)
                        • 몽구 (이한, 온이퍼브)
                        • 제자규(원문과 한글로 읽는) (이육수, 온이퍼브)
                        • 평론문제에 대하여 (이여성, 온이퍼브)
                        • 이조문학과 김농암 (현상윤, 온이퍼브)
                        • 시형, 언어, 압운 (김안서, 온이퍼브)
                        • 시조시학 (안자산, 온이퍼브)
                        • 민족문학의 이념과 문학운동 (임화, 온이퍼브)
                        • 춘원문장선 (삼천리 문학부, 이광수, 온이퍼브)
                        • 조선근대소설고 (김동인, 온이퍼브)
                        • 귀농 100문 100답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화폐의 변천과 쓰임새 (한국조폐공사,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경기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경상북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충청남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충청북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제주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여성 서간문 독본 (노천명, 온이퍼브)
                        • 조선어 작문 학습서 (박기혁, 온이퍼브)
                        • 모범서한문 (김억, 온이퍼브)
                        • 난중일기초 (설의식, 온이퍼브)
                        • 우리나라 마을의 기원과 유래 (김용국, 온이퍼브)
                        • 시와 진실 (윤곤강, 온이퍼브)
                        • 전환기의 이론 (신남철,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여운형 연설집 (김동환, 온이퍼브)
                        • 뿌르조아의 인간상 (김동석,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영웅명인전 (함돈익,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동요집 (정창원, 온이퍼브)
                        • 조선동요집 (엄필진, 온이퍼브)
                        • 조선의 봉화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 조선의 백정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 조선의 징병제도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 조선의 성씨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역사 속의 문무왕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의 마음 (윤백남, 온이퍼브)
                        • 조선의 고적 (최남선, 온이퍼브)
                        • 조선동요전집 (정태병, 온이퍼브)
                        • 문학개론 (이광수, 온이퍼브)
                        • 문장독본 (이광수, 온이퍼브)
                        • Korean folk tales (영문판) (James S.Gale, 온이퍼브)
                        이전 페이지
                        • 369페이지
                        • 370페이지
                        • 371페이지
                        • 372페이지
                        • 373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