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무경칠서직해3) 울료자직해,이위공문대직해 1
      유인 외 2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울료자尉繚子≫, 선진시대先秦時代 병학兵學의 총정리 전국시대戰國時代 울료尉繚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울료자尉繚子≫는 중국 병학사兵學史와 사상사思想史의 주요한 자료로서, 송宋나라 신종神宗 때 ≪손자孫子≫, ≪오자吳子≫ 등과 함께 무경칠서武經七書에 편입되면서 유가儒家의 칠서七書에 비견될 정도로 중요시된 병서兵書이다. ≪울료자≫는 모두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적으로는 유가儒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병가兵家 등 제자백가의 사상을 두루 흡수한

      소장 6,500원

      • (무경칠서직해2) 육도직해,삼략직해 1
        유인 외 2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육도六韜≫, 병학兵學의 시조始祖인 태공망太公望의 병서兵書 ≪육도≫는 주周나라 문왕文王․무왕武王과 태공망太公望이 병사兵事에 대해 문답하는 형식으로 기술된 병서兵書이다. 흔히 ‘육도삼략六韜三略’ 또는 ‘도략韜略’이라 하여 ≪삼략三略≫과 함께 병칭되어 병서나 병법의 대명사처럼 쓰이기도 했는데, ≪육도六韜≫의 도韜는 ‘숨기다, 감추다’의 뜻으로 ‘활집’을 뜻하는 도弢자와 같은 뜻이며, ≪삼략三略≫의 략略과 같이 ‘병법, 책략’이란 의미로 쓰인 것이다

        소장 6,500원

        • (십삼경주소) 효경주소 2
          당 현종 외 3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한국학과 동양학 연구의 미래, 삽삼경주소十三經注疏 번역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에서는 한국학 및 동양학 연구의 초석礎石으로서, 학계를 비롯하여 사회 각계의 요구에 따라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역주譯註 사업에 착수하였다. 동양사상의 원류原流라 할 수 있는 십삼경주소는 동양고전東洋古典 중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동아시아 사회를 이끈 학문과 문화의 보고寶庫이며, 오늘날에도 수십억 세계인이 삶의 지침으로 존중하는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이 사업은 중국과

          소장 8,750원

          • (십삼경주소) 효경주소 1
            당 현종 외 3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한국학과 동양학 연구의 미래, 삽삼경주소十三經注疏 번역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에서는 한국학 및 동양학 연구의 초석礎石으로서, 학계를 비롯하여 사회 각계의 요구에 따라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역주譯註 사업에 착수하였다. 동양사상의 원류原流라 할 수 있는 십삼경주소는 동양고전東洋古典 중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동아시아 사회를 이끈 학문과 문화의 보고寶庫이며, 오늘날에도 수십억 세계인이 삶의 지침으로 존중하는 인류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이 사업은 중국과

            소장 8,750원

            • 예기정의 중용,대학 2
              정현 외 3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동아시아 경학經學의 원류原流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역주譯註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경학經學의 전통이 공자孔子 이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그 근원根源이 매우 오래되고 전승傳承이 매우 길다고 할 수 있다. 십삼경주소는 유가儒家의 중요한 전적으로 경학의 알맹이라 할 수 있다. 주자朱子가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하면서부터 훈고訓詁와 주소注疏 중심이던 경학이 의리義理 중심으로 바뀌었으나 주자가 바탕한 것이 십삼경주소이니, 십삼경주소는 성리학의 뿌리라고

              소장 5,000원

              • 예기정의 중용,대학 1
                정현 외 3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동아시아 경학經學의 원류原流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역주譯註 동아시아의 역사에서 경학經學의 전통이 공자孔子 이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니, 그 근원根源이 매우 오래되고 전승傳承이 매우 길다고 할 수 있다. 십삼경주소는 유가儒家의 중요한 전적으로 경학의 알맹이라 할 수 있다. 주자朱子가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하면서부터 훈고訓詁와 주소注疏 중심이던 경학이 의리義理 중심으로 바뀌었으나 주자가 바탕한 것이 십삼경주소이니, 십삼경주소는 성리학의 뿌리라고

                소장 5,000원

                • 주역정의 4-2
                  왕필 외 4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동아시아 학문의 뿌리 고전古典은 수천 년에 걸친 인류의 다양한 경험과 지혜가 온축된 문화와 지식의 보고로서, 그 속에는 인간의 근원적根源的인 문제에 대한 질문과 해답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길게는 2천 년이 넘는 시간적 거리를 초월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지적知的 정서적情緖的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 한문漢文으로 된 동양고전은 전통적으로 ‘경經·사史·자子·집集’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맨 앞에 경經이 위치하

                  소장 10,000원

                  • 주역정의 4-1
                    왕필 외 4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동아시아 학문의 뿌리 고전古典은 수천 년에 걸친 인류의 다양한 경험과 지혜가 온축된 문화와 지식의 보고로서, 그 속에는 인간의 근원적根源的인 문제에 대한 질문과 해답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길게는 2천 년이 넘는 시간적 거리를 초월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지적知的 정서적情緖的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 한문漢文으로 된 동양고전은 전통적으로 ‘경經·사史·자子·집集’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맨 앞에 경經이 위치하

                    소장 10,000원

                    • 주역정의 3-2
                      왕필 외 4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동아시아 학문의 뿌리 고전古典은 수천 년에 걸친 인류의 다양한 경험과 지혜가 온축된 문화와 지식의 보고로서, 그 속에는 인간의 근원적根源的인 문제에 대한 질문과 해답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길게는 2천 년이 넘는 시간적 거리를 초월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지적知的 정서적情緖的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 한문漢文으로 된 동양고전은 전통적으로 ‘경經·사史·자子·집集’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맨 앞에 경經이 위치하

                      소장 8,000원

                      • 주역정의 3-1
                        왕필 외 4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동아시아 학문의 뿌리 고전古典은 수천 년에 걸친 인류의 다양한 경험과 지혜가 온축된 문화와 지식의 보고로서, 그 속에는 인간의 근원적根源的인 문제에 대한 질문과 해답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길게는 2천 년이 넘는 시간적 거리를 초월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지적知的 정서적情緖的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 한문漢文으로 된 동양고전은 전통적으로 ‘경經·사史·자子·집集’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맨 앞에 경經이 위치하

                        소장 8,000원

                        • 주역정의 2-2
                          왕필 외 4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십삼경주소十三經注疏, 동아시아 학문의 뿌리 고전古典은 수천 년에 걸친 인류의 다양한 경험과 지혜가 온축된 문화와 지식의 보고로서, 그 속에는 인간의 근원적根源的인 문제에 대한 질문과 해답이 담겨 있다. 그래서 길게는 2천 년이 넘는 시간적 거리를 초월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에게 지적知的 정서적情緖的 자양분을 제공하고 있다. 한문漢文으로 된 동양고전은 전통적으로 ‘경經·사史·자子·집集’의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맨 앞에 경經이 위치하

                          소장 8,000원

                        • 주역정의 2-1 (왕필, 한강백, 전통문화연구회)
                        • 주역정의 1-2 (왕필, 한강백, 전통문화연구회)
                        • 주역정의 1-1 (왕필, 한강백,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5-2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5-1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4-2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4-1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3-2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3-1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2-2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2-1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1-2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 1-1 (공안국, 공영달,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모시정의 2-2 (모형, 정현,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모시정의 2-1 (모형, 정현,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모시정의 1-2 (모형, 정현,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모시정의 1-1 (모형, 정현,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맹자주소 1-2 (조기, 손석,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맹자주소 1-1 (조기, 손석,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논어주소 2-2 (하안, 형병,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논어주소 2-1 (하안, 형병,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논어주소 1-2 (하안, 형병,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 논어주소 1-1 (하안, 형병, 전통문화연구회)
                        • 사정전훈의 자치통감강목 19-2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9-1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8-2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8-1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7-2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7-1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4-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4-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3-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3-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2-2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2-1 (주희, 이충구,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1-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1-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0-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10-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9-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9-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8-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8-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7-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7-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6-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6-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5-2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 5-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이전 페이지
                        • 381페이지
                        • 382페이지
                        • 383페이지
                        • 384페이지
                        • 385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