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오서경독본)논어집주 하-2
      주희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동양고전총서의 21세기판, 오서오경독본五書五經讀本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설립 당시 광복光復 이후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의 기본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조차 제대로 된 번역서가 없어, 많은 학자들이 통탄을 금하지 못하였다. 본회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서삼경을 우선 번역하기로 하였다. 1990년 동양문화의 근간이자 한문교육의 기본원전 번역 사업인 동양고전국역총서 발간에 착수하여 1998년 ≪서경집전≫

      소장 7,500원

      • (오서경독본)논어집주 하-1
        주희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동양고전총서의 21세기판, 오서오경독본五書五經讀本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설립 당시 광복光復 이후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의 기본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조차 제대로 된 번역서가 없어, 많은 학자들이 통탄을 금하지 못하였다. 본회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서삼경을 우선 번역하기로 하였다. 1990년 동양문화의 근간이자 한문교육의 기본원전 번역 사업인 동양고전국역총서 발간에 착수하여 1998년 ≪서경집전≫

        소장 7,500원

        • (독본)논어집주 상-2
          주희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동양고전총서의 21세기판, 오서오경독본五書五經讀本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 설립 당시 광복光復 이후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는 조선조의 기본 교과서라 할 수 있는 사서삼경四書三經조차 제대로 된 번역서가 없어, 많은 학자들이 통탄을 금하지 못하였다. 본회에서는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사서삼경을 우선 번역하기로 하였다. 1990년 동양문화의 근간이자 한문교육의 기본원전 번역 사업인 동양고전국역총서 발간에 착수하여 1998년 ≪서경집전≫

          소장 7,500원

          • 자치통감강목 18
            주희 편저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세종대왕과 그 학사들이 주석한 사정전훈의본思政殿訓義本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주희朱熹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은 성리학性理學에 입각한 정통론적 입장에서 쓰인 강목체綱目體 사서史書로 조선시대 학자들의 역사에 대한 논의, 평가, 서술에 있어서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조선시대 임금들이 경연經筵에서 읽던 대표적 역사서로 이와 관련된 내용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이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자주 등장한다. 특히 ≪자치통감강목≫을 중시했

            소장 18,500원

            • 묵자간고2
              손이양 교주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민중民衆을 생각한 평화의 사상가, 묵자墨子 묵자墨子는 전국시대 초기의 사상가로 약육강식의 혼란기를 종식하고 민중의 삶을 구제하기 위해 겸애兼愛와 절용節用, 비공非攻 등을 강조하였다. 한비자韓非子는 묵가墨家를 유가儒家와 더불어 당대 2대 현학顯學으로 꼽았으며 장자莊子는 그들이 진정으로 천하를 사랑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묵자와 묵자 학파인 묵가墨家의 사상을 모은 책이 ≪묵자墨子≫다. 예악禮樂을 중시했던 유가儒家와 달리, 묵가墨家는 재화를 절약

              소장 18,000원

              • 순자집해6
                왕선겸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순자집해荀子集解≫, ≪순자≫ 연구의 대표적 텍스트 ≪순자≫는 순자 및 선진先秦 제자백가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당唐나라 때에 양경楊倞이 처음으로 ≪순자≫를 주석하였으며, 청淸나라 말기에 이르러 왕선겸王先謙(1842~1917)이 원문을 교감 정리하여 1891년 ≪순자집해≫를 완성하였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고래의 주석과 아울러 당대 석학碩學들의 훈고訓詁나 고증考證 성과를 집대성한 데다가 당시 학계의 태두泰斗로 인정

                소장 16,000원

                • 이정전서1
                  정호 외 3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송대宋代 성리학性理學의 선하先河를 이룬 형제 학자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는 북송北宋 때 신유학을 일으키는 데 크게 공헌한 학자로서, 합칭하여 이정二程이라 부른다. 정호의 자字는 백순伯淳, 호號는 명도明道이며, 정이의 자字는 정숙正叔, 호號는 이천伊川이다. 정자程子는 이정 형제를 존칭하는 말이다. 주자朱子는 맹자孟子 이후 끊어진 도道를 이정二程이 다시 이었다고 하여, 공자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로 이어진 도통道統이 정자程子에게서 다시 계

                  소장 18,000원

                  • 공자가어2
                    왕광모 句解 외 3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근⋅현대까지 위서僞書로 낙인되었던 책 ≪공자가어孔子家語≫는 공자가 공公ㆍ경卿ㆍ대부大夫 및 제자들과 문답한 말을 모은 것이다. 공자 문하의 제자들이 정실正實한 내용은 ≪논어論語≫로 편찬하고, 그 나머지는 ≪공자가어≫로 편찬하였는데, 전국戰國시대와 진秦나라를 거치면서 유전流傳된 공자가어를 한漢나라 때 공자 후손인 공안국孔安國이 44편으로 편집하였다고 한다. 이후 삼국시대 위魏나라 학자 왕숙王肅이 공자의 22대손 공맹孔猛으로부터 이 책을 얻어 주해注

                    소장 18,000원

                    • 당육선공주의1
                      육지 외 2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예로부터 위태롭고 어지러운 세상에서도 일찍이 충언이 없던 적은 없었다! 역대 제왕들의 정치 필수 지침서로 인식되었던 진덕수陳德秀의 ≪대학연의大學衍義≫가 최근 정치 지도자의 리더십과 관련하여 많은 주목을 받은 바 있다. 이번에 심경호ㆍ김우정 교수의 번역으로 최초로 선보이는 육지陸贄의 ≪당육선공주의唐陸宣公奏議≫ 역시 지도자의 리더십에 있어 꼭 읽어야 할 책이다. 성종 때 시강관 이우보李祐甫는 ≪대학연의大學衍義≫ 경연經筵의 “예로부터 위태롭고 어지러

                      소장 17,500원

                      • 한비자집해3
                        왕선신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한비자집해韓非子集解≫, ≪한비자韓非子≫ 연구의 종합서 ≪한비자≫는 법가法家의 대표자인 한비자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당唐나라의 이찬李瓚이 처음 ≪한비자≫를 주석하였으며, 이후로 청淸나라의 노문초盧文弨, 왕염손王念孫, 유월兪樾 등이 정리․교감하였다. 청나라 말에 이르러 왕선신王先愼이 제가諸家들의 원문을 종합․교감하여 1895년 ≪한비자집해≫를 완성하였다. 왕선신은 당시 학계의 태두泰斗로 인정받던 왕선겸王先謙의 종제從弟로,

                        소장 19,000원

                        • (당송팔대가문초)구양수 5
                          이상하 외역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하늘이 내린 재주 북송北宋 시대에는 뛰어난 문인들이 많이 나왔다. 그중 구양수歐陽脩는 정치, 문학, 역사 등 다방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사람의 재주와 성품은 저마다 장단점이 있으니, 실로 잘하는 것을 버리고 못하는 것을 억지로 할 수는 없다 정치적으로 뛰어난 인물들을 발탁하는 데도 힘썼는데, 그가 발탁한 인물로 소식蘇軾·소철蘇轍 형제, 증공曾鞏 등이 있으며, 소순蘇洵과 왕안석王安石을 천거하기도 하였다. 포청천包靑일을 天으로 널리 알려진

                          소장 17,500원

                        • 자치통감강목11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한유3 (한유,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동래박의3 (여조겸,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십구사략2 (정광호, 전통문화연구회)
                        • 묵자간고1 (손이양, 이상하, 전통문화연구회)
                        • (십삼경주소)효경주소 (당 현종, 형병, 전통문화연구회)
                        • 순자집해5 (순자, 송기채, 전통문화연구회)
                        • 순자집해4 (순자, 송기채, 전통문화연구회)
                        • 한비자집해2 (허호구, 정동화, 전통문화연구회)
                        • 한비자집해1 (한비자, 허호구, 전통문화연구회)
                        • (신역)장자-내편 (장자, 안병주, 전통문화연구회)
                        • 정관정요집론4 (吳兢, 이충구 외,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한유2 (한유,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정관정요집론3 (오긍, 과직,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7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6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손자병법 <손자수>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순자집해3 (송기채, 전통문화연구회)
                        • 화합의 길 - ≪중용≫ 읽기 (금장태,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구양수4 (이상하, 전통문화연구회)
                        • 문화문고015 우리설화2-천년의 해학을 품다 (김동주, 전통문화연구회)
                        • 문화문고010 유학이란 무엇인가 (이동희, 전통문화연구회)
                        • 해동소학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정관정요집론2 (과직, 오긍, 전통문화연구회)
                        • 정관정요집론1 (과직, 오긍,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9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8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7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5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6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4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3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2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2 (송기채,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유종원1 (송기채,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5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4 (주희,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동래박의2 (여조겸, 김병애, 전통문화연구회)
                        • 울료자직해 이위공문대직해 (성백효, 이난수, 전통문화연구회)
                        • 전국책2 (임동석, 전통문화연구회)
                        • 전국책1 (임동석, 전통문화연구회)
                        • 장자3 (장자, 전호근, 전통문화연구회)
                        • 장자2 (장자, 전호근, 전통문화연구회)
                        • 설원2 (허호구, 전통문화연구회)
                        • 설원1 (허호구, 전통문화연구회)
                        • 동래박의1 (김병애,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한유1 (한유,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증공 (송기채,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2 (신용호, 허호구, 전통문화연구회)
                        이전 페이지
                        • 382페이지
                        • 383페이지
                        • 384페이지
                        • 385페이지
                        • 386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