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분권] 주자평전 24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시가를 창작하고 시인들과 교제하면서 정신적인 위안을 삼으며 죽기 전까지 『대학장구』를 수정하였다. 황간(黃榦)에게 글을 써서 자기의 도를 부탁하고 세상을 떠났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23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정치적 연금의 와중에 주희는 한유(韓愈)의 문장을 고증하고, 굴원(屈原)의 『초사』에 주석을 달고, 『주역참동계』를 연구하면서 학문 세계로 침잠하였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22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1195년 경원 원년에 한탁주(韓侂冑)를 중심으로 한 반도학당이 대대적인 도학 탄압의 당금을 주도하였다. 경원당금(慶元黨禁)은 반도학을 빌미로 한탁주의 세력에 반대하는 청의(淸議)의 세력을 탄압하는 성격의 정치 탄압이었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21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1194년 8월에 환장각 대제 겸 시강(煥章閣待制兼侍講)에 제수되고, 10월에 궁궐로 들어가 경연에 참여하여서 새로 즉위한 영종에게 진강을 하면서 도학적 정치 이상을 실현할 가능성을 꿈꾸지만, 결국 영종의 기피와 반도학당의 견제를 받아 축출된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20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1194년에 담주(潭州) 지주로 부임하여서 담주성을 수축하고, 약속방(約束榜)을 반포하여서 교화를 밝히고, 송사를 정돈하고, 사특한 관리를 내치고 부호를 억눌렀다. 한편 조정에서는 효종이 죽고, 광종이 선양하여 영종이 즉위하는 일련의 정치적 격변으로 조여우(趙汝愚)가 실권을 잡으면서 다시 주희를 조정으로 불러들인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19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1191년 5월에 건양으로 돌아와 이듬해 6월에 고정에 집을 지어 기거하면서 다시 강학의 생활로 돌아갔다. 점점 세력을 확장해가는 진부량(陳傅良)·섭적의 영가학(永嘉學), 진량(陳亮)의 영강학(永康學) 등 절강 지역의 공리학파와 학술 논쟁을 벌였다. 이 일련의 논쟁을 통해 도덕주의 이학(理學)의 이론 체계를 강화하였다. 한편 주희는 1192년에 복건 제형으로 부임하는 신기질(辛棄疾)의 방문을 받고 사(詞)의 대가와 가장 친밀한 교제를 시작하였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18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장주(漳州)의 지주(知州)에 제수되어서 1190년에 장주에 부임하였다. 장주에 도착하여서 주현 수령들의 공문 처리 방법을 혁신하여 뇌물을 주고받는 풍조를 없애고, 명목 없는 각종 가혹한 부세의 견감을 청원하고, 경계(經界, 토지 측량)의 시행을 요청하고 시행 방법을 상세히 고안하였다. 장주에 경계를 시행하라는 조칙이 내려와서 경계를 시도하였으나, 호족들의 발호로 경계의 개혁 정책이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17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역학계몽』, 『주역본의』 등 일련의 저술을 통해 주돈이의 태극학과 소옹(邵雍)의 선천학(先天學)을 조화시켰다. 1189년에 육구연과 무극, 태극에 관한 논쟁을 마무리 지었다. 또한 오경에 관하여 전통적 해석 체계를 벗어난 독창적인 해석 체계를 세우고, 『대학장구』와 『중용장구』의 서문을 확정하여서 인본주의 사서학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16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홍매(洪邁)가 『사조국사(四朝國史)』를 편찬하면서 주돈이(周敦頤) 관련 구절에서 임의로 ‘무극으로부터 태극이 된다’고 고친 것이 발단이 되어 학문 논쟁이 일어났는데, 이것이 다시 당쟁으로 비화하였다. 홍매는 또한 주희가 당중우를 탄핵한 일과 관련하여 당중우와 기생 엄예 사이의 애정비사를 꾸며냈다. 주희는 1188년 11월에 육구연에게 편지를 보내 다시 무극과 태극에 관한 논쟁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주희는 남송 사회의 문제를 지적하는 봉사를 올렸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15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1187년 이래 조정에서는 도학을 옹호하는 주필대(周必大)의 당과 도학을 배척하는 왕회(王淮)의 당 사이에 대치 형국이 조성되었다. 1188년에 주희는 도성으로 가서 연화전에서 다섯 차례 시사를 아뢰는 차자를 올렸다. 차자의 내용은 교화와 형벌을 겸하여 시행하라, 법을 맡은 관리를 엄격하게 선발하라, 각 지역의 경총제전을 폐지하라, 과벌의 폐단을 없애라, 정심성의로 군주의 마음을 바로잡으라는 것이었다. 한편으로 임률(林栗)이 주희를 탄핵하는 상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14장
                          수징난 외 1명역사비평사인문
                          0(0)

                          무이정사에서 강학을 한 이 시기에 주희는 1184년부터 진량과 의리(義利), 왕패(王霸)에 관해 논쟁을 벌이고, 1185년에는 육구소(陸九韶)와 무극, 태극을 논하면서 활발하게 학술 활동을 벌였다. 1187년에는 육구연에게 편지를 보내 심학(心學)을 비판하였다. 육구연도 상산으로 돌아가서 강학을 함으로써 무이정사의 주희와 학파적 대치를 이루었다. 또한 주희는 『주역』의 본질이 복서(卜筮)임을 발견하고 자기의 역학 체계를 세웠다.

                          소장 5,000원

                        • [분권] 주자평전 13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12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11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10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9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8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7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6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5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4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3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2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분권] 주자평전 1장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주자평전 하권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주자평전 상권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합본 | 주자평전 (전 2권) (수징난, 김태완, 역사비평사)
                        • 불안한 마음을 안아 주는 심리학 (가토 다이조, 이용택, 이너북)
                        • 연애 심리학에 길을 묻다 (이선, 이너북)
                        • 필요의 탄생 (헬렌 피빗, 서종기, 푸른숲)
                        • 나는 오늘도 교사이고 싶다 (손연일, 우소연, 푸른숲)
                        • 난독증을 읽다 (지은정, 새로온봄)
                        • 휴먼 터치 (레베카 뵈메, 안미라, 새로온봄)
                        • 아이들은 자격이 있다! (토드 네슬로니, 애덤 웰컴, 새로온봄)
                        • 차별의 말 대신 배려의 말로! (김슬옹, 마리북스)
                        • 외래어 대신 쉬운 우리말로! (서현정, 마리북스)
                        • 소크라테스의 변론·크리톤 (플라톤, 소크라테스, 마리북스)
                        • 또 하나의 생활문화 지도 땅이름 (배우리, 마리북스)
                        • 길에서 만나는 한글 (김슬옹, 마리북스)
                        • 우리말 소망 (조현용, 마리북스)
                        • 나의 벽을 넘어서는 불안상자 (따돌림사회연구모임 교실심리팀, 최다은, 마리북스)
                        • 진짜 나를 만나는 혼란상자 (따돌림사회연구모임 교실심리팀, JUNO, 마리북스)
                        • 우리말 선물 (조현용, 마리북스)
                        • 욕 대신 말 (도원영, 장선우, 마리북스)
                        • 우리는 왜? (김헌식, 페이퍼로드)
                        • 죽음을 마주하는 시간 (이원락, 페이퍼로드)
                        • 글쓰기 공포 탈출하기 (김상우, 페이퍼로드)
                        • 괴로울땐 도덕경 (김동수, 도서출판 영원)
                        • 어떻게 어른이 되는가 (엄성우, 추수밭)
                        • 야생의 철학자들 (신동만, 추수밭)
                        • 요즘 초등생을 위한 최소한의 고전수업 (김민아, 청림라이프)
                        • 삶이라는 지옥을 건너는 70가지 방법 (이동용, 추수밭)
                        • 아무 일도 하지 말라 (이오갑, 추수밭)
                        • 누구나 개인주의자가 된다 (박상용, 추수밭)
                        • 신성한 모독자 (유대칠, 추수밭)
                        • 미래중독자 (다니엘 S. 밀로, 양영란, 추수밭)
                        • SF의 힘 (고장원, 추수밭)
                        • 엄마라는 아이 (박성만, 추수밭)
                        • 나는 내 상처가 제일 아프다 (박민근, 레드박스)
                        • 마인드버그 (앤서니 G. 그린월드, 마자린 R. 바나지, 추수밭)
                        이전 페이지
                        • 389페이지
                        • 390페이지
                        • 391페이지
                        • 392페이지
                        • 393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