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콘텐츠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춘향전」의 뿌리는 판소리 「춘향가」다. 18세기 중반 이전에 이미 「춘향가」가 공연되었으니, 「춘향전」 또한 늦어도 18세기 후반에는 성립되지 않았을까 한다. 「춘향전」은 근대 이후 꾸준히 대중의 사랑을 받으며 수많은 변화와 개작을 거쳐 140종 이상의 이본을 남겼다. 이 책에는 이본 중에서 작품성이 높은 「열녀춘향수절가」(완판 84장본)와 「춘향전」(경판 30장본)을 소개한다.
소장 17,600원
이 콘텐츠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과거시험을 준비하던 스물한 살의 청년이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 소식에 통곡하며 책을 불사르고 풍덩, 똥물에 빠졌다. 양광(佯狂: 미친 척하기)으로써 이 시대의 불의에 맞선 이 청년은 중이 되어 8년을 떠돌다 29세 때 경주 금오산에 정착했다. 이 청년이 바로 『금오신화』를 쓴 김시습이다. 작품 속에서 절개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버린 여주인공, 변치 않는 사랑을 나누는 남녀 주인공,
소장 13,6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