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 덕의 상실 (알래스데어 매킨타이어, 이진우, 문예출판사)
- 팬데믹 제2국면 (우석훈, 문예출판사)
- 거래소 (막스 베버, 이상률, 문예출판사)
- 문화란 무엇인가 (테리 이글턴, 이강선, 문예출판사)
- 인간 불평등 기원론(완역본) (장 자크 루소, 이재형, 문예출판사)
- 여자를 위해 대신 생각해줄 필요는 없다 (이라영, 문예출판사)
- 카리스마적 지배 (막스 베버, 이상률, 문예출판사)
- 간디 자서전 (모한다스 K. 간디, 박홍규, 문예출판사)
- 정념론 (르네 데카르트, 김선영, 문예출판사)
- 전쟁과 자본주의 (베르너 좀바르트, 이상률, 문예출판사)
-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월터 J. 옹, 임명진, 문예출판사)
-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존 스튜어트 밀, 박홍규, 문예출판사)
- 분열된 자기 (로널드 랭, 신장근, 문예출판사)
- 신이 된 시장 (하비 콕스, 유강은, 문예출판사)
- 가벼움의 시대 (질 리포베츠키, 이재형, 문예출판사)
- 왜 여성의 결정은 의심받을까? (터리스 휴스턴, 김명신, 문예출판사)
- 기억은 미래를 향한다 (한나 모니어, 마르틴 게스만, 문예출판사)
- 직업으로서의 정치 (막스 베버, 이상률, 문예출판사)
- 사회적 경제는 좌우를 넘는다 (우석훈, 문예출판사)
- 과식의 종말 (데이비드 A. 케슬러, 이순영, 문예출판사)
- 간디, 비폭력 저항운동 (마하트마 K. 간디, 박홍규, 문예출판사)
- 운명을 지배하는 힘 (제임스 앨런, 이원, 문예출판사)
- 프랭클린 자서전 (벤저민 프랭클린, 이순영, 문예출판사)
- 비정규교육 1권 (알란 로저스, 김도연, 37피데스 출판)
- 쉽게 풀어 쓴 지식재산 입문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박문각)
- 절대상식 (안북 편집부, 안북)
- 직장인이 꼭 쌓아야 할 스펙 고사성어 333 (안북 편집부, 안북)
- 빈곤의 문제 (J. A. 홉슨, 김정우, 레디셋고)
- 한비자 (변원종, 이담북스)
- 노자 - 성인의 필수 지침서 (최금옥, 이담북스)
- 한국의 불상 (김환대, 이담북스)
- 프로이트, 구스타프 말러를 만나다 : 정신분석적 심리치료를 만든 역사적 만남들 (이준석, 이담북스)
-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 문제 자료집V (박정애, 강혜정, 동북아역사재단)
- 가족제도(1) -법과 관습을 통한 통제와 가족의 변화 (소현숙, 동북아역사재단)
- 동화라는 양날의 검-일제강점기 '내선결혼' 정책과 그 실상 (이정선,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 침략전쟁과 군인·군속 동원 (황선익, 김명환, 동북아역사재단)
- 7세기 국제정세와 고구려 수 · 당 전쟁 (김현숙, 이정빈,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박찬승, 이옥순, 동북아역사재단)
- 전사가 되어라,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정혜경, 동북아역사재단)
- 한국 음식문화사 - 한국 음식문화의 미학, 그 여정에 대한 역사적 이해 (구도영, 정연식, 동북아역사재단)
- 파친코를 통해 보는 재일코리안 차별의 역사 (박미아, 동북아역사재단)
- 식민지조선의 올림픽민족주의 (허성호,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의 식민지 법 체제와 조선통치 (이승일, 김항기, 동북아역사재단)
- 부평 조선 병참의 별이 되다 (허광무, 동북아역사재단)
- 역주 使遼語錄 - 사료로 본 거란제국과 발해유민 (홍성민, 김한신, 동북아역사재단)
-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문제 자료집Ⅱ-제국 외 이송 유괴 사건 관계 (박정애, 동북아역사재단)
-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 문제 자료집1-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도항 통제(자료 편)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전쟁범죄, 일본군'위안부'피해실태 자료집-중국 침략 일본전범 자필진술서(2)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일본군‘위안부’ 문제 자료집 ( 1 ) - ‘위안부’ 동원과 위안소 설치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