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양명학 사상
      설태희온이퍼브인문
      0(0)

      왕학(王學)은 물론 유교 철학의 한 유파이다. 정주(程朱)(주희朱熹)학파가 정주(程朱)로서 유학의 정통자라고 하는 것처럼 육왕(陸王)학파는 육왕으로써 유학의 대성자라고 한다. 유교의 우주관과 인생관은 ‘천지와 부모, 만물은 자손’이라는 관념으로 일관한다. <본문 중에서 중략>

      소장 3,000원

      • 미학의 역사적 개관
        고유섭온이퍼브인문
        5.0(1)

        예술 과학의 문제는 원시민족의 생활과 예술의 발전을 지배하는 법칙을 구하는 데 있다. 그 이유는 문화 민족을 예술을 사회학적으로 연구하면 먼저 문화 민족의 기원인 자연 민족의 예술의 본질과 조건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그것을 구하려고 하면 세력을 얻지 못하는 인류학적 방법에 따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것이 인류학적 미학의 성립하는 이유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6,000원

        • 소설작법(구상)
          김동인온이퍼브인문
          0(0)

          소설을 쓰는 방법은 단 한 세 가지 밖에는 없다. 먼저 이야기의 플롯(plot)을 만든 다음 거기 인물을 배치하는 것이 첫째이다. 먼저 어떤 성격을 가진 인물을 만들어서 그런 성격이 사람이면 전개할 만한 사건이나 발견하는 것이 둘째이다. 셋째는 어떤 분위기를 잡아서 그 분위기에 맞는 국면이며 임무를 만들어내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3,000원

          • 24명의 효자 이야기
            곽거경온이퍼브인문
            0(0)

            중국 고전 철학!! 고대 역대 24명 효자 주인공들의 집록!! 원제 《24효(二十四孝)》의 정식 명칭은 《全相二十四孝詩選》인데 원나라 곽거경이 편찬한 것이다. 중국 고대 중요한 윤리 사상의 하나로 역대 24명 이야기의 효자 주인공들을 집록하여 그들의 서로 다른 환경과 각도, 불행을 겪는 이야기들을 집대성한 이야기이다. 이야기 대부분은 서한(西漢)의 경학자 유향(劉向)이 편집한 ‘효자전《孝子傳》’에서 소재를 얻었고, 또한 일부 이야기는 《예문유취

            소장 5,000원

            • 증광현문
              작자 미상온이퍼브인문
              1.0(1)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증광현문(增廣賢文)》은 일명 《석시현문(昔時賢文)》, 《고금현문(古今賢文)》이라고도 하는데 중국 명조 시기에 편찬한 아동계몽서이다. 책의 제목은 명조 만력(萬歷)년에 나타난 희곡 《모란정(牡丹亭)》에 근거하여 이 책이 가장 늦게 만력년에 쓰였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이 책은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각종 격언과 속담들을 모든 책이다. 이후에 명조와 청조 두 시대의 문인들이 끊임없는 보충을 더 하여 지금

              소장 6,000원

              • 급취장
                사유온이퍼브인문
                1.0(1)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급취장(急就章)》은 급취편《急就篇》이라고도 하는데, 한·원(漢元)제 시기 황문령(黃門令)은 사유(史游)에게 명하여 편찬한 것이다. 이 책은 중국 비첩경전(碑帖經典) 계열 중의 한 권으로서 한조 시기의 명비(名碑)인 《급취장(急就章)》의 전문 탁본에 수록되었다. 한대 어린이들의 글자를 익히는 책, 이를테면 《창힐편(倉頡篇)》, 《훈찬편(訓纂篇)》, 《범찬편(凡將篇)》, 《방희편(滂喜篇)》 등은 이미 사라지고 없고 《

                소장 4,000원

                • 천가시(원문과 한글로 읽는)
                  유극장온이퍼브인문
                  0(0)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천가시(千家詩)》는 고대 중국의 명조와 청조 때에 걸쳐 널리 전해졌고 심원한 영향을 끼친 아동 계몽적 격률시선집이다. 산수나 전원, 친구와 이별, 고향의 향수, 옛것을 답습하고 오늘을 슬퍼하며 사물을 읊으며 그림을 그리거나 연회를 베푸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당송 시대의 사회 현실을 비교적 광범위하게 반영하였기 때문에 민간에 널리 전해지고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은 송나라 사방득(謝枋得)이 천가시를 두 번

                  소장 4,000원

                  • 백가성(원문과 한글로 읽는)
                    무명씨온이퍼브인문
                    0(0)

                    중국 어린이 필독 계몽서!! 중국은 속칭 ‘백가성(百家姓)’이라 할 만큼 성씨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만가성’이다. 중국에는 성씨가 많을 뿐만 아니라 별의별 성씨도 다 있는데, 기나긴 형성과 발전 과정에서 점차 성씨가 많이 형성되었다. 원래 북송 초기에 편찬한 몽학(蒙學)도서로서 흔히 볼 수 있는 성씨를 네 글자로 엮어 한 구절씩 엮은 운문으로 4언시와 비슷하도록 구성하여 송독한 가운데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를 외우고 익히는 의의는

                    소장 4,000원

                    • 한글 맞춤법 통일안
                      조선어학회온이퍼브인문
                      0(0)

                      본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처음 제정 공포한 원문 내용이다. ‘본회는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야 이에 일반 사회에 발표한다. 1930년 12월 13일 본회 총회의 결의로 한글 마춤법의 통일안을 제정하기로 되어, 처음에 위원 12인(권덕규權悳奎, 김윤경金允經, 박현식朴顯植, 신명균申明均, 이극로李克魯, 이병기李秉岐, 이윤재李允宰, 이희승李熙昇, 장지영張志暎, 정열모鄭烈模, 정인섭鄭寅燮, 최현배崔鉉培)으로써 2개년간

                      소장 6,000원

                      • 감성과 지성
                        김오성온이퍼브인문
                        0(0)

                        감성은 대상물에 대한 인간의 자연적이고 직접적인 태도를 일컫는 것이다. 인간은 자기의 생활경험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온갖 대상을 감각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아무 사상력을 빌지 않고 직접적으로 사물을 감각하는 능력을 감성이라 한다. 그러므로 감성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은 언제나 생생한 현실이며 구체적인 형상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3,000원

                        • 베르그송 죽음과 사상의 운명
                          신남철온이퍼브인문
                          1.0(1)

                          그는 무엇보다도 먼저 주지주의에 반대하였다. 칸트의 이성비판은 결국 물건 자체라는 괴상한 것을 내놓게 되었으니, 그 인식의 한계가 불분명하고 사리에 어둡게 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직관의 방법’에 의하여 사물을 있는 대로 내면적으로 발견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였다.<본문 중에서>

                          소장 3,000원

                        • 배뱅이굿 이야기 (유인만,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강원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경상남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경상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전라남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전라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방언사전(충청도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서간문강화 (이태준, 온이퍼브)
                        • 조선속곡집 (이상준, 온이퍼브)
                        • 우리말 글쓰기 학습서 (박기혁, 온이퍼브)
                        • 신생활론 (이광수, 온이퍼브)
                        • 병자록 (나만갑,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꽃다발 (김억,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연중행사 해설 (이기홍,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의 보부상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 조선의 과거제도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차 이야기 (문일평, 온이퍼브)
                        • 조선 소설사 (김태준, 온이퍼브)
                        • 네 가지 서체로 천자문을 읽는다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예서체로 천자문을 읽는다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초서로 천자문을 읽는다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행서로 천자문을 읽는다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재미있는 우리설화 - 함경도 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재미있는 우리설화 - 경기도 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옛날 천자문 읽어보자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세시풍속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신문에 많이 나오는 한자어 1000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자주 쓰는 대화 속 한자어 1000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세시풍속 상식사전 (최남선, 온이퍼브)
                        • 세계 최고의 궁금한 것들 70 (김응환, 온이퍼브)
                        •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영어 · 외래어 표현 (김응환, 온이퍼브)
                        • 동물로 읽는 우리 속담 1000가지 (김응환, 온이퍼브)
                        • 우리나라 지명으로 읽는 한자여행 (김응환, 온이퍼브)
                        • 우리나라의 성씨 알기 (김응환, 온이퍼브)
                        • 미국의 별난 법률들 (김응환, 온이퍼브)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의성어·의태어 (김응환, 온이퍼브)
                        • 초등학생들이 많이 틀리는 맞춤법 300 (김응환, 온이퍼브)
                        • 감각을 깨우는 후각훈련 (류 건, 바람)
                        • 빅 픽쳐 (션 캐럴, 최가영, 사일런스북)
                        • 검찰수사관 바이블 (김태욱, 새로운제안)
                        • 한나 아렌트와 차 한잔 (김선욱, 한길사)
                        • 아니마와 아니무스 (이부영, 한길사)
                        • 공화국의 위기 (한나 아렌트, 김선욱, 한길사)
                        • 김언호의 세계서점기행 (김언호, 한길사)
                        • 페미니즘 앞에 선 그대에게 (강남순, 한길사)
                        • 단테가 읽어주는 『신곡』 (박상진, 한길사)
                        • 중국의 파워엘리트 (최형규, 한길사)
                        • 매니큐어 하는 남자 (강남순, 한길사)
                        • 사회주의 사상가들이 꿈꾼 유토피아 (강대석, 한길사)
                        이전 페이지
                        • 133페이지
                        • 134페이지
                        • 135페이지
                        • 136페이지
                        • 137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