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로그인 / 회원가입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망치로 미술하기
      복종순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복종순의 ‘망치로 미술하기’ “나는 1985년, 작업을 시작하면서 줄곧 두드리는 작업을 반복하였다. 처음의 종이 두드리기 작업은 두드린 행위에 의한 결과물인 표면적 시각에 더 집중되어진 것 같다. 90년 후반 점차 재료의 변화를 시도하게 되었고 금속이나 다른 재료들을 다루면서 결과물이 아닌 두드리는(pounding) 행위 자체에 빠지게 되었다.” - 복종순의 ‘작업노트’(2010) 중에서 그러니까 20여년 전으로 기억된다. 2007년 여름 필자

      소장 5,000원

      • 중원지킴이
        김주영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김주영 사진작가는 8년간의 치열한 탐구와 헌신으로 한국의 숨겨진 보물, '바위 문화'를 담아왔습니다. 그 결실인 '한국 바위 문화 프로젝트: 중원지킴이Ⅰ'은 단순한 사진집을 넘어, 우리 민족의 뿌리 깊은 신앙과 역사를 증언하는 특별한 기록입니다. 자유를 향한 새에서 바위를 향한 여정 김주영 작가는 본래 '자유에 대한 열망과 끝없는 도전의 상징'인 '새'를 주제로 작업했습니다. 하지만 2016년부터는 전국 곳곳에 흩어진 마애불, 미륵, 벅수, 장

        소장 5,000원

        • 살아있는 회화 II
          정석희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정석희의 ‘살아있는 회화’ 류병학 미술평론가 나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부딪히는 사소하거나 심각한 모든 문제들의 근본적인 의문을 작업의 주제로 삼는다. 일상의 개인의 이야기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본질, 삶과 죽음, 불안, 고통, 소외 등 실존적인 문제에서, 인간이 인간과 관계에서 파생되는 정치, 사회, 역사적인 문제까지, 포괄적인 것에서 개별적인 것까지, 집단적인 것에서 개인적인 것까지를 담는다. 나의 영상회화, 영상드로잉 작업은 회화나 드로잉에 그

          소장 5,000원

          • 남도지킴이
            김주영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김주영의 ‘한국의 바위문화_남도지킴이’ 2019년 갤러리브레송에서 두 번째 개인전에서 그는 “나에게 있어 사진은 새다. 자유에 대한 열망이요, 탐구에 대한 도전이다. 현실에 대한 도피이고, 실재에 대한 끝없는 수렴이다”고 말한다. 그런데 그로부터 5년 후인 2024년 그는 ‘새’에서 마애불과 미륵 그리고 벅수와 장승 그리고 짐대 등 한국의 ‘바위문화’를 촬영하여 검오일 프린트(Gumoil Print)로 인화한 사진을 들고 나타난다. 이번 하갤러

            소장 5,000원

            • 살아있는 회화 I
              정석희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정석희의 ‘살아있는 회화’ 류병학 미술평론가 나는 인간이 살아가는데 부딪히는 사소하거나 심각한 모든 문제들의 근본적인 의문을 작업의 주제로 삼는다. 일상의 개인의 이야기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본질, 삶과 죽음, 불안, 고통, 소외 등 실존적인 문제에서, 인간이 인간과 관계에서 파생되는 정치, 사회, 역사적인 문제까지, 포괄적인 것에서 개별적인 것까지, 집단적인 것에서 개인적인 것까지를 담는다. 나의 영상회화, 영상드로잉 작업은 회화나 드로잉에 그

              소장 5,000원

              • 사람과 꽃과 새
                김성수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김성수의 ‘뉴트로 스컬춰(Newtro Sculpture)’ 류병학 미술평론가 그러니까 2006년 겨울로 기억된다. 나는 김성수 작가를 대구MBC 내에 위치한 갤러리M에서 권소희 큐레이터와 공동기획한 기획전 『토탈ㆍ아트ㆍ세트(totalㆍartㆍset)』에서 처음 만났다. 당시 그는 목 조각 <새를 타는 사람>(2006)을 출품했다. 그것은 나무에 망치와 정 그리고 끌과 조각도로 새와 인물을 조각하여 채색한 작품이다. 난 새의 꼬리를 잡고 하늘을

                소장 5,000원

                • 반항, 자유 그리고 열정
                  김상연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김상연의 ‘미술 세계’ 류병학 미술평론가 그러니까 2017년 봄으로 기억된다. 당시 나는 대구의 차규선 작가 작업실을 방문한 적이 있다. 당시 나는 그의 작업실에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일명 ‘불이선란(不二禪蘭)’을 보고 깜짝 놀랐다. 어떻게 차 작가가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추사의 ‘불이선란’을 소장하고 있단 말인가? 놀란 난 추사의 ‘불이선란’으로 한 걸음 더 들어가 보았다. 그것은 추사의 ‘불이선란’을 빼닮았다. 도대체 누가

                  소장 5,000원

                  • 실과 바늘과 천 그리고 그림
                    김희진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김희진의 ‘자수화(刺繡畵)’ 류병학 미술평론가 2022년 가을 나는 지인의 소개로 강원도 삼척시 노곡면 중마읍리에서 독특한 자수 작업을 하는 김희진 작가와 천연염색으로 회화 작업을 하는 박정용 작가의 작업실을 방문한 적이 있다. 그들은 천연염색과 규방 공예를 강의하는 ‘우리 빛깔연구소’와 ‘봄볕 내리는 날’이라는 공방을 운영하고 있었다. 김희진은 어린시절 그림 그리기를 좋아했단다. 아티스트가 꿈이었던 그녀는 고등학교 때 미대를 지망하고자 했단다

                    소장 5,000원

                    • 이것이 천연염색화(天然染色畵)이다!
                      박정용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박정용의 ‘천연염색화(天然染色畵)’ 류병학 미술평론가 나는 박정용의 전자도록 『이것이 천연염색화(天然染色畵)이다!』를 3부로 구성해 보았다. 1부 ‘과학과 함께하는 천연염색’, 2부 ‘테이핑기법과 천연염색’, 3부 ‘홀치기와 형호염에 의한 천연염색 회화기법’이 그것이다. 특히 1부 ‘과학과 함께하는 천연염색’은 제목 그대로 천연염색을 과학으로 접근한 것이다. 박정용은 ‘천연염색이 과학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그는 그동안 천연염색과

                      소장 5,000원

                      • 베스트 컬렉션 II
                        류병학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친구가 나에게 물었다. 작가에게 필요한 것이 뭐냐고 미술평론가 류병학 “2021년 8월 17일 저는 고등학교 동창들과 함께 밀양에 위치한 안시형 작가의 작업실을 방문했다. 안 작가의 작업실은 조형물을 제작하는 후배 작업장 귀퉁이에 컨테이너를 개조해 만든 것이었다. 그의 작업실은 여름이지만 냉방시설이 없어 매우 더웠다. 물론 그의 작업실에는 난방시설도 없다. 나는 친구 류병학에게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가에게 무엇을 해주면 좋을지’ 물었다.

                        소장 5,000원

                        • 베스트 컬렉션 I
                          류병학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친구가 나에게 물었다. 작가에게 필요한 것이 뭐냐고 미술평론가 류병학 “2021년 8월 17일 저는 고등학교 동창들과 함께 밀양에 위치한 안시형 작가의 작업실을 방문했다. 안 작가의 작업실은 조형물을 제작하는 후배 작업장 귀퉁이에 컨테이너를 개조해 만든 것이었다. 그의 작업실은 여름이지만 냉방시설이 없어 매우 더웠다. 물론 그의 작업실에는 난방시설도 없다. 나는 친구 류병학에게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작가에게 무엇을 해주면 좋을지’ 물었다.

                          소장 5,000원

                        • 그린 라인 GREEN LINE (김남훈, 류병학, 케이에이알)
                        • 회화의 지층 2권 (이인현, 류병학, 케이에이알)
                        • 회화의 지층 1권 (이인현, 류병학, 케이에이알)
                        • 사진의 혁명 (하봉호, 류병학, 케이에이알)
                        • 붓과 눈물 그리고 망치 (김 을, 류병학, 케이에이알)
                        • 세 개의 방 (도수진, 류병학, 케이에이알)
                        • 창작의 열쇠 (박정기, 류병학, 케이에이알)
                        • R22 (류병학, 케이에이알)
                        • 나는 거짓말쟁이 화가 (류병학, 케이에이알)
                        • 제화유언(諸畵有言) (김태헌, 케이에이알)
                        • DEAD PHOTOGRAPH TALK (이현무, 류병학, 케이에이알)
                        • 사진이 형식이 될 때 (이기본, 류병학, 케이에이알)
                        • any_smile (류병학, 손현수, 케이에이알)
                        • My Studio (허구영, 케이에이알)
                        • 잃어버린 사연을 찾아서 (안시형, 케이에이알)
                        • THE SIXTH SENSE MASSAGE (김해민, 류병학, 케이에이알)
                        • 모든 것은 보이지 않는 끈으로 연결되어 있다 (손부남, 류병학, 케이에이알)
                        • topological scape (홍명섭, 류병학, 케이에이알)
                        • shadowless_artless_mindless (홍명섭, 케이에이알)
                        • The Renaissance (영어로 읽는 세계문학 1116) (월터 페이터, 내츄럴)
                        • Painting as a Pastime (영어로 읽는 세계문학 719) (윈스턴 처칠, 내츄럴)
                        • Mont Saint Michel and Chartres (영어로 읽는 세계문학 627) (헨리 애덤스, 내츄럴)
                        • 화가의 사람들 (최연욱, 온더페이지)
                        • 피터 라이스의 생애와 비전 (윤흠학, 전봉수, 나비소리)
                        • 개미가 타고 있어요 2권 (윤수민, 김연지, 너와숲)
                        • 개미가 타고 있어요 1권 (윤수민, 김연지, 너와숲)
                        • 우리들: 윤가은 오리지널 각본 (윤가은, 다산책방)
                        • 스페인은 건축이다 (김희곤, 오브제)
                        • 도망병과 힙스터 (문화, 북튜브)
                        • 생각이 보이는 컨셉스케치 (이성원, 보민출판사)
                        • 영화제 초청받고 상 받은 단편영화 시나리오2: 매직배딩 (걸리버, 걸리버픽처스)
                        • 지구대표 보컬에겐 “h”가 있다!! (오재이, 걸리버픽처스)
                        • Memory (걸리버, 걸리버픽처스)
                        • 와인 스토리 (신인식, 넥서스BOOKS)
                        • 비하인드 클래식 (여자경, 교보문고)
                        • 비밀독서단 (OtvN 비밀독서단 제작팀, 교보문고)
                        • 거리로 나온 미술관 (손영옥, (주)자음과모음)
                        • 음과 말 (푸르트벵글러, 이기숙, 포노(PHONO))
                        • 베토벤과 아홉 교향곡 (엑토르 베를리오즈, 이충훈, 포노(PHONO))
                        • 비가 오는 하늘 넘어 (지영식, 달꽃)
                        • 깨닫는 마음 가득 (지영식, 담아)
                        • 고요한 밤 하늘 아래 (안드레, 달꽃)
                        • 예술품 경매 바로 알기 (정승우,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의 주택 (주남철,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 한국의 정원 (주남철,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 한반도와 일본어 시가문학 (엄인경,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 근대 희극의 역사 (홍창수,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 파스테르나크의 작품 세계와 닥터 지바고 (임혜영,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 어린 왕자의 번역문법 (전성기, 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이전 페이지
                        • 102페이지
                        • 103페이지
                        • 104페이지
                        • 105페이지
                        • 106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