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조선무용진흥론
      김동환온이퍼브예술/문화
      0(0)

      모든 무용이 신라, 고구려나 백제 같은 강국시대에 오를수록 성하였고, 또 원시적일수록 사회 민중의 실생활과 접촉이 많았으니 예악(禮樂), 그때 악(樂)이라 함은 음악과 무용의 병칭이었다. 이 왕성함은 국민 기상의 웅대하고 넓음을 말하는 것이며 국민 기상이 웅대하고 넓히고 함은 사상이나 감정이 자유분방하고 진취성에 풍부한 표징이므로 만반 문물과 미술공예가 극성하였을 것이다. 첫째는 무녀(巫女) 승려를 중심으로 발달한 종교적 무용이다. 둘째는 관기

      소장 1,000원

      • 시의 풍자적 태도
        윤곤강온이퍼브예술/문화
        0(0)

        시(詩)에 있어서의 풍자적 경향! 이것은 한 개의 태도(態度)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 풍자적 경향의 특질이라는 것은 그것이 가장 주화주의적(主和主義的)인데 있다고 볼 것이다. ‘풍자(諷刺)’를 다만 사회에 대한 시인(詩人)의 개인적이며 추상적(抽象的)인 불평불만 등으로 그치고 마는데 좀 더 그것을 현실적·사회적 요소를 띠게 만들려고 했다. 물론 그들의 진보라는 것의 본질도 먼저 기술한 ‘채찍과 전갈’의 시인들과 상대적으로 대조하는 데서만

        소장 1,000원

        • 세시고(歲時考)
          문일평온이퍼브예술/문화
          0(0)

          경성(京城) 상류 가정에는 아낙네 사이에 서로 하비(下婢)(남에 존이 된 여자)를 보내 신세(新歲)(새해)의 축복을 전갈(傳喝)한다. 이것을 속칭 ‘문안비(問安婢)’라고 한다. 입춘(立春)이 드는 날에는 반드시 왕궁(王宮)으로 민가(民家)에 이르기까지 봄을 송축(頌祝)하는 뜻으로 대문짝과 기둥에 아름다운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이다. 등(燈)놀이는 불교를 따라 인도로부터 들어온 풍속으로서 불교와 함께 고려 때에 가장 성행하여 등(燈)놀이라면 전국

          소장 4,500원

          • 역사상 예술가 군상
            문일평온이퍼브예술/문화
            0(0)

            혜원(慧園)(신윤복)의 풍속화에는 혜원의 생명이 뛰놀고 단원(檀園)의 신선도(神仙圖)에는 단원의 영기(靈氣)가 움직이니 인간은 불후의 예술을 창작함으로 말미암아 불사(不死)의 생명을 향유할 것이다. 신라의 예술이 그 왕성한 시기에는 매우 웅려(雄麗)의 기풍을 띄었던 것이 말기에 가서는 차차 섬세 교묘의 흥취를 띠게 된 것은 예술에 나타난 시대상의 반영이며 고려청자기를 예로 들더라도 정돈된 호리호리한 그 형체와 섬세하고도 부드러운 그 선(線)과

            소장 7,000원

            • 조선의 서양음악 시작
              신정언온이퍼브예술/문화
              0(0)

              ‘예술은 국경이 없다’는 말을 생각하면 더더욱 예술의 종주가 되는 음악이야 그 영역의 제한이 있을 리가 만무하다. 나에 서양음악이 들어온 때를 말하면 의외로 무척 오랜 일이 남북조시대 제나라 황제(齊武帝)에 구자국(龜玆國)*인 사람 소지파(蘇祗婆)*가 소위 ‘호비파(胡琵琶)’란 것을 가지고와 탄주(彈奏)하여 그 요뇨유량(嫋嫋劉喨)*한 소리를 당시 지나인에게 들려주었다.<본문 중에서>

              소장 2,500원

              • 조선궁도와 풍습
                신정언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 최초의 궁(弓)은 단궁(檀弓)이다. 단궁(檀弓)은 조선 목궁(木弓)의 원조로 단본(檀本)(박달나무로 만든 활)으로 제작한 까닭에 단궁(檀弓)이라 하였다. 길이(長)가 약 3척(尺) 5촌(寸)이다. 단궁시대(檀弓時代)의 궁(弓)은 그 제작 방법이 유치하였던 것은 물론이다. 조선 궁시(弓矢)가 해외에 진출하기는 벌써 지나(支那) 제요(帝堯) 25년에 숙신(肅愼)의 궁시(弓矢)로써 시작이 되었다. 그 뒤 주무왕(周武王) 당시에도 수출이 되었다는

                소장 5,000원

                • 조선민요의 개념
                  김태준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가요의 원동맥을 이루고 있는 것은 다른 문화의 그것과 같이 신라가요일 것이다. 피정복자인 고구려나 백제의 가요는 도태되어 자연히 사라졌다. 원시 조선 사회에서는 시(詩)와 음악과 노동행위의 삼위일체로서 시의 운율은 삼위(三位)의 관련하에 규정되는 것이었다. 신라 때의 가요가 그 뿌리를 이루고 기초를 이루고 그 원형을 파괴한 형태로 미약한 힘으로 잔존하여 새로운 시대 사람의 비위에 맞게 개조되었다. 그러나 악기에 마음대로 하지 못하게 현격한

                  소장 5,000원

                  • 처용고(處容考)
                    안자산(안확)온이퍼브예술/문화
                    0(0)

                    처용은 인간에 살고있다고 하여 용신(龍神)이 된 이상 처용(處容)의 어원은 처용으로 보기 가능한 것으로 용(容) 글자는 용(龍) 글자의 동음이자(同音異字)로 볼 수도 있다. 처용의 어원을 해석한 대로 처용(處龍), 은용(隱容), 초용(草俑), 중등(衆等)의 논란은 모두 추상적이다. 물론 고대 불분명한 기록의 사적(事跡)을 추상적으로 판단한 것이다. 처용 즉 제융인 초우인(草偶人)에 대하여도 고대 나희(儺戲)의 장식물을 그대로 취용(取用)한 것으

                    소장 5,000원

                    • 구례 민요
                      최익한온이퍼브예술/문화
                      0(0)

                      갑오(甲午) 직전 전라도의 아동은 본 민요를 논과 밭 사이에서 일시 성창(盛唱)하였으니, 갑오동학란(甲午東學亂) 우두머리(魁) 전봉준(全琫準)과 운봉(雲峰) 박봉양(朴鳳陽)의 격파에 대한 전조(前兆)라고 한다. 즉 참요(讖謠)라고 한다.<본문 중에서>

                      소장 3,500원

                      • 삼국 미술의 특징
                        고유섭온이퍼브예술/문화
                        0(0)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 미술 문화를 비교하는 이 자리에 있어도 신라는 확실히 뒤떨어진 지위에 처(處)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그들이 접충(接衝)하고 있던 지나(支那)의 문물이란 것도 고구려는 이 위치상 자연히 북지나(北支那) 문물에 많이 접하게 되었고 백제는 남지나(南支那) 문물에 많이 접하게 되었으니, 이로 말미암은 서로의 문화 차이도 큰 것이 있다. <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서양화의 계통 및 사명
                          김유방온이퍼브예술/문화
                          0(0)

                          낭만주의는 그 작품을 주관적 정서에 호소한 까닭에 추(醜)를 미화하려 악을 선(善)화하려 하는 인위적 고심이 있었다. 그러나 자연주의는 사리에 맞지 않는 것을 돌아보지 아니하였다. 종전 표준 판단이라는 것이 반드시 진실이 아니라는 관념을 가지고 모든 허위와 인습을 타파하고 인생과 자연 속에 있는 모든 선(善), 악(惡), 미(美), 추(醜), 신(辛), 고(苦)를 충실히 묘사하여 그 속에서 어떠함을 구하겠다하는 견지가 이 주의의 생명이오 또한

                          소장 1,000원

                        • 우리의 미술과 공예 (고유섭, 온이퍼브)
                        • 민요 아리랑 (김재철, 온이퍼브)
                        • Corean pottery(English) (W.B.Honey, 온이퍼브)
                        • 영화비평에 대하여 (심훈, 온이퍼브)
                        • 조선 영화계의 현재와 장래 (심훈, 온이퍼브)
                        • 병자삼인(病者三人) (조중환, 온이퍼브)
                        • 조선연극사(구극과 신극) (김재철, 온이퍼브)
                        • 조선연극사(인형극) (김재철, 온이퍼브)
                        • 꼭두각시놀음(각본) (김재철, 온이퍼브)
                        • 중국 원시 신앙 연구 (손진태, 온이퍼브)
                        • 조선음악소고 (함화진, 온이퍼브)
                        • 조선의 풍속 강의 (최남선, 온이퍼브)
                        • 조선의 백의(白衣) (이재욱, 온이퍼브)
                        • 조선의 음악 교양 (김관, 온이퍼브)
                        • 레코드음악 감상법 (김관, 온이퍼브)
                        • 무조(無調)음악 (김관, 온이퍼브)
                        • 감(感) (김관, 온이퍼브)
                        • 예술과 오락 (김관, 온이퍼브)
                        • 음악과 색채 (김관, 온이퍼브)
                        • 문화와 음악 (김관, 온이퍼브)
                        • 약사 신앙과 신라미술 (고유섭, 온이퍼브)
                        • 미래파 예술 (노자영, 온이퍼브)
                        • 조선복색원류고 (이여성, 온이퍼브)
                        • 조선 고미술의 특색 (고유섭, 온이퍼브)
                        • 고려도자와 이조도자 (고유섭, 온이퍼브)
                        • 조선의 건축 (이한철, 온이퍼브)
                        • 경성의 세시풍속 (김원근, 온이퍼브)
                        • 조선 오락의 분류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의 술 이야기 (유자후, 온이퍼브)
                        • 각본 봉산가면극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 여성과 정월 풍속 (차상찬, 온이퍼브)
                        • 결혼반지의 유래 (유자후, 온이퍼브)
                        • 베개의 유래 (유자후, 온이퍼브)
                        • 민간오락 격구 (유자후, 온이퍼브)
                        • 조선영화발달사 (임화, 온이퍼브)
                        • 현대미의 특성 (고유섭, 온이퍼브)
                        • 담배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윷의 기원 (김태준, 온이퍼브)
                        • 연극과 사회 (윤백남, 온이퍼브)
                        • 백종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그네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가극의 발달사 (홍난파, 온이퍼브)
                        • 우리나라 성씨 (이중화, 온이퍼브)
                        • 남부의 모내기 노래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 미술사의 방법 (윤희순, 온이퍼브)
                        • 우리나라 연극의 기원 (송석하, 온이퍼브)
                        • 명절과 전설 (김태준, 온이퍼브)
                        • 조선 영화론 (임화, 온이퍼브)
                        • 조선 여배우의 시작 (안석영, 온이퍼브)
                        이전 페이지
                        • 111페이지
                        • 112페이지
                        • 113페이지
                        • 114페이지
                        • 115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