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도쿄의 풍속
      키무라 쇼하치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저본: 『東京の風俗』(冨山房百科文庫) 도쿄가 언제 제국의 수도가 되고 또한 ‘도쿄(東京)’라는 이름이 붙여졌는지에 대해서는 모두가 알고 있는 80년 전의 역사적 사실이다. 이에 대해 내가 길게 말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오늘날에는 교토를 서경(西京)이라고 부르는 사람이나 그러한 관습도 사라진 것 같다. 하지만 이 ‘서경(西京)’이라는 명칭은 새로운 ‘동경(東京)’에 대비하여 메이지 초기에 서민들 사이에서 옛 수도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과

      소장 3,000원

      • 근대 미의 연구
        나카이 마사카즈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저본: 『日本の美』(中公文庫)(近代美の研究) 고대 그리스와 근대의 예술관을 크게 구분하자면 그리스의 예술은 기술(Techne)이자 모방(Mimesis)이었다. 이에 반해 근대의 예술관은 기술의 개념에 대해서는 천재의 개념을, 모방의 개념에 대해서는 창조의 개념을, 나아가 진(眞)과 선(善)의 개념 외에도 그 위에 군림하는 미의 개념을 가졌다.(『후카다 야스카즈深田康算 전집』 제3권 참조) 그리고 과거 예술관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소장 6,000원

        • 배우 윤리
          키시다 쿠니오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저본: 『演劇入門』 要書房(1952)(俳優倫理) 여러분은 배우가 되고 싶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면 배우란 어떤 존재인가에 대해서는 분명 생각해 보실 수 있을 거로 생각합니다. 사실 여기서 한 분, 한 분에게 그 문제에 대해 제가 질문을 던지고 답을 해 주셨으면 합니다. 특별히 테스트하는 것도 아니고 시험하는 것도 아닙니다. 다만 그런 문제를 함께 고민한다는 의미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것을 스스로 정리해서 대답을 해주었으면 합니다

          소장 5,000원

          • 에도 예술론
            나가이 카후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저본: 『江戸藝術論』(巖波文庫) 우키요에(浮世繪)(풍속화)는 나에게 진정한 몽환의 세계로 유람하게 한다. 풍속화는 외국인들이 칭송하는 것처럼 단지 미술적 가치에만 그치지 않고, 나에게는 실로 종교와 같은 정신적 위안을 주었다. 우키요에는 목판화의 종이 질과 안료의 조합이 만들어 내는 독특한 색조와 극히 작은 규모로 인해 매우 특징적인 미술 작품이다. 우키요에는 서민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탄생했다. 그러나 그 표현 방식은 종종 사실

            소장 8,000원

            • 무사 이(夷)의 고찰
              키타 사다키치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저본: 『喜田貞吉著作集』 제9권 ‘蝦夷の研究’(平凡社)(武士を夷ということの考) 국사 지리학 분야에서 당시 일본 민족 연구의 하나로 필자가 이전에 발표한 ‘이부(夷俘)・부수(俘囚)의 고(考)’*와 ‘동인고(東人考)’의 연구는 중세에 무사를 ‘이(夷)’라고 불렀던 이유에 관해 설명할 필요가 있다. ‘에비스(エビス)’*라는 단어는 고대 역사에 등장하는 에조(蝦夷)(옛 명칭은 에미시えみし), 즉 현재 홋카이도에 약 2만 명이 살고 있는 아이누족을

              소장 3,000원

              • 사자무 잡고
                나카야마타로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저본: 『日本民俗學論考』(1933) 一誠社(獅子舞 雑考) 야나기타 쿠니오(柳田國男) 선생의 학설에 따르면 일본에는 사슴춤(鹿舞)이라는 오래된 춤이 있었고, 그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던 곳에 나중에 중국에서 건너온 사자무의 그 나라 고유한 말소리의 영향을 받아 자국의 춤으로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그 증거로 일본 각지에 뿔이 달린 사자머리(獅子頭)가 남아 있다. 특히 사슴을 모티브로 한 사자춤에 사자머리가 쓰였다고 한다. 이것은 바로 고유한 문화

                소장 1,000원

                • 종교예술의 특색
                  유종열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저본 『동양미술』(1929) 동양미술연구회 비조원(飛鳥園) 刊 창간호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를 그려도 거기에 자연에 대한 경건한 깊이가 있다면 그것을 종교적인 그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너무 넓은 의미에서 벗어난다. 종교예술이라고 할 때 나는 그것을 역사적이고 형식을 갖춘 종교예술로 해석한다. 그러므로 지금의 미술가들이 불화(佛畫)를 소재로 삼았다고 해도 그것은 정상적인 의미의 종교예술이 아니다. 만약 그들이 불자가

                  소장 1,500원

                  • 유화신기법
                    코이데 나라시게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유화신기법(油繪新技法)(1930) 아트리에사(アトリヱ社), 저본 《小出楢重隨筆集》 수록 일본의 유화(油畫)가 드디어 파리의 것과 많은 거리를 두지 않을 정도로 도달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진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새로운 예술의 태풍은 항상 파리에서 발생합니다. 아직 일본은 발생지가 될 수 없는 것은 유감이지만, 그것은 아직 새로운 일본이 회화 예술뿐만 아니라 모든 문화가 지금 급속하게 새롭게 조립되어 움직이는 공사장의 혼란을 보여주는 중

                    소장 7,000원

                    • 잡기의 미
                      유종열온이퍼브예술/문화
                      0(0)

                      • 民藝四十年(宝文館)(1957) 간행/잡기의 미(雑器の美) 미(美)의 본질이 무엇이며 도예(陶藝)란 무엇인가. 어떻게 그가 그런 지혜를 아는 것일까. 하지만 그가 모르는 것이 많아도 그의 손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름은 이미 사람의 목소리가 아니라 부처의 목소리(名号)라고 하는데, 도예공의 손도 이미 그의 손이 아니라 자연의 손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아름다움을 고민하지 않아도 자연이 아름다움을 지켜준다. 그는 아무것도 잊지 않고 있다.

                      소장 1,000원

                      • 그네고(鞦韆考)
                        하라 카츠로우(原勝郎)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추천고(鞦韆考)(그네고) -日本中世史の研究(同文館)(1929) 중에서 추천(鞦韆)은 한자로 쓰면 어렵지만 놀이 자체는 매우 간단하고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다. 따라서 그 기원을 살피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일 것이다. 언제부터 그네가 중국에 전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최초로 문헌에 기록된 것은 양(梁)나라의 종름(宗懍)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추천(鞦韆)이라는 명칭이 있다. 이외에는 수나라 문

                        소장 1,000원

                        • 석불사의 조각
                          유종열(柳宗悅)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원제: 석불사의 조각(石佛寺の彫刻)(朝鮮とその芸術)(19922) 叢文閣 刊 1916년 9월 첫날 오전 6시 반, 한줄기 환한 햇살이 바다를 건너 굴원(屈院)에 있는 불타(佛陀)의 얼굴에 닿았을 때 나는 그의 곁에 서 있었다. 그것은 아직도 잊을 수 없는 행복한 순간의 추억이다. 내가 말하는 굴원 위치는 계림(鷄林)의 남단으로 우측으로는 아득한 산, 좌측으로는 영일만(迎日灣) 앞에 가까운 흰 돛을 사이에 두고 바다를 뜨고 멀리 ‘일출(日出)’

                          소장 5,000원

                        • 조선 산악의 시적 감상 (난바 센타로(難波專太郞), 온이퍼브)
                        • 조선민요의 특질 (난바 센타로(難波專太郞), 온이퍼브)
                        • 색복과 단발 (조선총독부학무국사회과, 온이퍼브)
                        • 조선총독부 키네마 (조선총독관방문서과(朝鮮總督官房,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의 벚나무와 앵도 (마츠다 코우(松田甲),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의 혼인형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과 부채 (조선총독부 중추원, 온이퍼브)
                        • 옥적고(玉笛考) (이마니시류(今西龍), 온이퍼브)
                        • 조선국보대관(朝鮮國寶大觀) (스기하라 사다키치(彬原定吉), 온이퍼브)
                        • 조선의 과부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관제(官制)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인의 친족관계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제식(祭式)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장의(葬儀)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관례혼례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신라의 산예와 북청사자 (송석하, 온이퍼브)
                        • 한국의 민속극 (송석하, 온이퍼브)
                        • 한국 연극 개관 (송석하, 온이퍼브)
                        • 허수아비고(考) (송석하, 온이퍼브)
                        • 성씨 문벌 족보의 연구 (김태준, 온이퍼브)
                        • 조선의 성의 유래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온이퍼브)
                        • 조선민요 아리랑 (김지연,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의 도자기 공예에 대하여 (조선식산조성재단(朝鮮殖産助成),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악대요(朝鮮樂大要)(완역본)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이왕가악기(완역본) (이왕직아악부,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표현주의 예술 (임화, 온이퍼브)
                        • 조선고도사료대전람회(朝鮮古陶史料大展覽會) (조선도기연구회,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풍속 (나무라 나오지(中村直二), 온이퍼브)
                        • 오페라의 성질 (김관, 온이퍼브)
                        • 잃게 된 조선건축 (유종렬, 온이퍼브)
                        • 조선민족과 미술 (유종렬, 온이퍼브)
                        • 토끼타령 (최남선, 온이퍼브)
                        • 예술과 과학과 미(美) (김환태, 온이퍼브)
                        • 봉산의 무용가면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무용진흥론 (김동환, 온이퍼브)
                        • 시의 풍자적 태도 (윤곤강, 온이퍼브)
                        • 세시고(歲時考) (문일평, 온이퍼브)
                        • 역사상 예술가 군상 (문일평, 온이퍼브)
                        • 조선의 서양음악 시작 (신정언, 온이퍼브)
                        • 조선궁도와 풍습 (신정언, 온이퍼브)
                        • 조선민요의 개념 (김태준, 온이퍼브)
                        • 처용고(處容考) (안자산(안확), 온이퍼브)
                        • 구례 민요 (최익한, 온이퍼브)
                        • 삼국 미술의 특징 (고유섭, 온이퍼브)
                        • 서양화의 계통 및 사명 (김유방, 온이퍼브)
                        • 우리의 미술과 공예 (고유섭, 온이퍼브)
                        • Corean pottery(English) (W.B.Honey, 온이퍼브)
                        • 영화비평에 대하여 (심훈, 온이퍼브)
                        • 조선 영화계의 현재와 장래 (심훈, 온이퍼브)
                        이전 페이지
                        • 113페이지
                        • 114페이지
                        • 115페이지
                        • 116페이지
                        • 117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