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유화신기법
      코이데 나라시게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유화신기법(油繪新技法)(1930) 아트리에사(アトリヱ社), 저본 《小出楢重隨筆集》 수록 일본의 유화(油畫)가 드디어 파리의 것과 많은 거리를 두지 않을 정도로 도달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진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새로운 예술의 태풍은 항상 파리에서 발생합니다. 아직 일본은 발생지가 될 수 없는 것은 유감이지만, 그것은 아직 새로운 일본이 회화 예술뿐만 아니라 모든 문화가 지금 급속하게 새롭게 조립되어 움직이는 공사장의 혼란을 보여주는 중

      소장 7,000원

      • 잡기의 미
        유종열온이퍼브예술/문화
        0(0)

        • 民藝四十年(宝文館)(1957) 간행/잡기의 미(雑器の美) 미(美)의 본질이 무엇이며 도예(陶藝)란 무엇인가. 어떻게 그가 그런 지혜를 아는 것일까. 하지만 그가 모르는 것이 많아도 그의 손은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이름은 이미 사람의 목소리가 아니라 부처의 목소리(名号)라고 하는데, 도예공의 손도 이미 그의 손이 아니라 자연의 손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아름다움을 고민하지 않아도 자연이 아름다움을 지켜준다. 그는 아무것도 잊지 않고 있다.

        소장 1,000원

        • 그네고(鞦韆考)
          하라 카츠로우(原勝郎)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추천고(鞦韆考)(그네고) -日本中世史の研究(同文館)(1929) 중에서 추천(鞦韆)은 한자로 쓰면 어렵지만 놀이 자체는 매우 간단하고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으며 이해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다. 따라서 그 기원을 살피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일 것이다. 언제부터 그네가 중국에 전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최초로 문헌에 기록된 것은 양(梁)나라의 종름(宗懍)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추천(鞦韆)이라는 명칭이 있다. 이외에는 수나라 문

          소장 1,000원

          • 석불사의 조각
            유종열(柳宗悅)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원제: 석불사의 조각(石佛寺の彫刻)(朝鮮とその芸術)(19922) 叢文閣 刊 1916년 9월 첫날 오전 6시 반, 한줄기 환한 햇살이 바다를 건너 굴원(屈院)에 있는 불타(佛陀)의 얼굴에 닿았을 때 나는 그의 곁에 서 있었다. 그것은 아직도 잊을 수 없는 행복한 순간의 추억이다. 내가 말하는 굴원 위치는 계림(鷄林)의 남단으로 우측으로는 아득한 산, 좌측으로는 영일만(迎日灣) 앞에 가까운 흰 돛을 사이에 두고 바다를 뜨고 멀리 ‘일출(日出)’

            소장 5,000원

            • 조선 산악의 시적 감상
              난바 센타로(難波專太郞)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원제: 조선 산악의 시적 감상_조선풍토기(朝鮮風土記)(상권)(1942) 建設社 刊 조선에 와서 인상적이었던 것은 옅은 갈색의 민둥산 봉우리였다. 그것은 수천 년 동안 비바람의 세례를 받아 검은 목뼈가 드러난 봉우리였다. 위로는 끊임없이 오르는 푸른 하늘이 가로놓여 있고 광활한 들판에 해파리나 버섯 같은 집들이 묵묵히 서 있다. 들판을 가로질러 온 산천의 하얀 길을 거닐다 보면 흰옷을 입은 선객(仙客) 같은 조선인들이 느리게 걷는다. 그것은

              소장 500원

              • 조선민요의 특질
                난바 센타로(難波專太郞)온이퍼브예술/문화
                0(0)

                • 원제: 조선민요의 특질_조선풍토기(朝鮮風土記)(상권)(1942) 建設社 刊 민요는 과연 무엇일까요? 후지사와 모리히코(藤澤衛彦) 씨가 말하길 “민요는 민족이라는 집단의 사상감정(思想感情)이 같은 사람들 사이에서 발효된 순수한 정서를 표현한 민중의 가요(歌謠)이며, 그것은 또 그 시대에 맞는 언어와 가요가 담고 있는 시형(詩形), 그리고 그 향토적 기풍에 맞는 율동과 선율의 곡조(曲調)에 기초하여 자연스럽게 구축된 것이며, 그것은 언제나 그

                소장 500원

                • 색복과 단발
                  조선총독부학무국사회과온이퍼브예술/문화
                  0(0)

                  •원제: 《사회교화자료(社會敎化資料)》 조선총독부학무국사회과 刊/ 제2집《色服と斷髮》(1933) 오늘날 거의 모든 조선 사람들이 즐겨 입는 백의(白衣)는 자주 세탁해야 하는 것과 새로 단장해야 하는 것 때문에 소비하는 시간과 여성의 노력은 매우 크다. 또한 지질(地質)을 해치고 대량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막대한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백의를 입기 때문에 결국에는 오염을 초래하게 되고 그로 인해 활동이 둔해지고 효율이 떨어지

                  소장 500원

                  • 조선총독부 키네마
                    조선총독관방문서과(朝鮮總督官房文書科)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원제: 朝鮮總督府キネマ(조선총독부 키네마)(1936)/조선총독관방문서과(朝鮮總督官房文書科) 간행 조선에 대한 정보를 일본에 전달하고 일본의 상황을 조선에 알리고 대중에게 통속적인 시설로서 1920년 4월에 조선총독관방문서과(朝鮮總督官房文書課)에 활동사진팀이 조직되었다. 최근에는 조선의 모습을 ‘필름’으로 촬영하여 국내외에 널리 소개함으로써 조선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일본의 풍물 촬영 사진을 조선 궁중에 소개하여 조국에 대한 친근감을

                    소장 3,000원

                    • 조선의 벚나무와 앵도
                      마츠다 코우(松田甲)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원제: 《일선사화(日鮮史話)》(1928) 제1편 조선총독부 刊/조선인의 백의에 관하여(朝鮮人の白衣に就て)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조선 연구자들이 간과하고 있는 사항들에 대해 눈앞의 관점을 서술한 것이다. 이 글들은 원래 감흥을 돋구기 위해 자발적으로 쓰였으며 각 제목은 서로 연결되거나 연대순으로 나열되지도 않고 종종 중복되는 점도 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확신할 만한 사서나 문집 따위, 그리고 답사에서 얻은 수필에 지나지 않는다. 《일선

                      소장 2,500원

                      • 조선의 혼인형태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외 1명온이퍼브예술/문화
                        0(0)

                        원제: 조선의 혼인형태(朝鮮の婚姻形態): 도강서원(刀江書院)(1930) 刊 철학논집(哲學論集) 제2집 결혼의 형태는 여러 관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배우자를 얻는 수단에 따라 구분하면 이른바 대상혼(代償婚)(Marriage by consideration)으로 교환혼(交換婚)・구매(購買婚)・봉사혼(奉仕婚), 그리고 아무런 대가를 치르지 않고 아내를 얻는 약탈혼(掠奪婚), 중매혼(仲媒婚)을 들 수 있다. 카야마 타로우(中山太郎) 씨의 《일본혼인사

                        소장 5,000원

                        • 조선과 부채
                          조선총독부 중추원온이퍼브예술/문화
                          0(0)

                          원제: 扇, 左縄, 打毬, 匏(朝鮮風俗資料集説)(조선총독부 중추원(1937)/ 조선과 부채(朝鮮と扇) 수록 본원 조사과 풍속계(風俗係)는 일찍이 《조선의 성명 씨족에 관한 조사 연구(朝鮮の姓名氏族に關する調査硏究)》라는 제목의 책자를 발간한 적이 있으며, 오늘 이것을 조선 풍속 자료로 간행합니다. 이 책은 상원(常院)이 이마무라 토모(今村柄) 씨에게 부탁하여 집필한 것으로 그 내용은 부채(扇)・금줄(左繩)・격구(打毬)・포(匏)의 네 가지 실험에

                          소장 5,000원

                        • 옥적고(玉笛考) (이마니시류(今西龍), 온이퍼브)
                        • 조선국보대관(朝鮮國寶大觀) (스기하라 사다키치(彬原定吉), 온이퍼브)
                        • 조선의 과부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관제(官制)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인의 친족관계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제식(祭式)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장의(葬儀)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조선의 관례혼례 (이마무라 토모(今村鞆), 온이퍼브)
                        • 신라의 산예와 북청사자 (송석하, 온이퍼브)
                        • 한국의 민속극 (송석하, 온이퍼브)
                        • 한국 연극 개관 (송석하, 온이퍼브)
                        • 허수아비고(考) (송석하, 온이퍼브)
                        • 성씨 문벌 족보의 연구 (김태준, 온이퍼브)
                        • 조선의 성의 유래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온이퍼브)
                        • 조선민요 아리랑 (김지연,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의 도자기 공예에 대하여 (조선식산조성재단(朝鮮殖産助成),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악대요(朝鮮樂大要)(완역본)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이왕가악기(완역본) (이왕직아악부,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표현주의 예술 (임화, 온이퍼브)
                        • 조선고도사료대전람회(朝鮮古陶史料大展覽會) (조선도기연구회,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풍속 (나무라 나오지(中村直二), 온이퍼브)
                        • 오페라의 성질 (김관, 온이퍼브)
                        • 잃게 된 조선건축 (유종렬, 온이퍼브)
                        • 조선민족과 미술 (유종렬, 온이퍼브)
                        • 토끼타령 (최남선, 온이퍼브)
                        • 예술과 과학과 미(美) (김환태, 온이퍼브)
                        • 봉산의 무용가면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무용진흥론 (김동환, 온이퍼브)
                        • 시의 풍자적 태도 (윤곤강, 온이퍼브)
                        • 세시고(歲時考) (문일평, 온이퍼브)
                        • 역사상 예술가 군상 (문일평, 온이퍼브)
                        • 조선의 서양음악 시작 (신정언, 온이퍼브)
                        • 조선궁도와 풍습 (신정언, 온이퍼브)
                        • 조선민요의 개념 (김태준, 온이퍼브)
                        • 처용고(處容考) (안자산(안확), 온이퍼브)
                        • 구례 민요 (최익한, 온이퍼브)
                        • 삼국 미술의 특징 (고유섭, 온이퍼브)
                        • 서양화의 계통 및 사명 (김유방, 온이퍼브)
                        • 우리의 미술과 공예 (고유섭, 온이퍼브)
                        • Corean pottery(English) (W.B.Honey, 온이퍼브)
                        • 영화비평에 대하여 (심훈, 온이퍼브)
                        • 조선 영화계의 현재와 장래 (심훈, 온이퍼브)
                        • 병자삼인(病者三人) (조중환, 온이퍼브)
                        • 조선연극사(구극과 신극) (김재철, 온이퍼브)
                        • 조선연극사(인형극) (김재철, 온이퍼브)
                        • 꼭두각시놀음(각본) (김재철, 온이퍼브)
                        • 중국 원시 신앙 연구 (손진태, 온이퍼브)
                        • 조선음악소고 (함화진, 온이퍼브)
                        • 조선의 풍속 강의 (최남선, 온이퍼브)
                        이전 페이지
                        • 114페이지
                        • 115페이지
                        • 116페이지
                        • 117페이지
                        • 118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