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병자삼인(病者三人)
      조중환온이퍼브예술/문화
      0(0)

      우리나라 최초 희곡!! 1910년대 대표 연극인 조중환의 유일한 창작 작품으로 1912년 매일신보에 연재한 한국 최초 희곡이다. 1912년 11월 〈매일신보〉」에 연재한 작품이다. 저자의 유일한 창작으로 개화기 당대 사회 현실에서 여성을 통해 주인공들의 지위적인 일상을 풍자하였다.

      소장 7,000원

      • 조선연극사(구극과 신극)
        김재철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1933) 판본 수록. 광대라고 하면 가면(假面), 인형극(人形劇)의 배우는 연상이 되지 않고 도리어 남도단가(南道短歌)라든지 혹은 공중에 기다란 줄을 매고 그 위에서 곡예(曲藝)하는 사람을 의미하게 되니, 즉 가창(歌唱)을 전업하는 사람들이다. 광대의 소리는 대개 새타령, 만고강산 등이나 그보다도 심청가, 춘향가, 흥부가 등이 모두 광대의 소리다.(중략, ‘광대’ 중에서>

        소장 7,000원

        • 조선연극사(인형극)
          김재철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1933) 판본 수록. 꼭두각시극은 일명 박첨지극(朴僉知劇)이라고도 하나, 모두 인형극의 명칭에서 떼다 쓴 이름이다. 박(朴)은 ‘박’이며, 그 음이 박(瓠)과 똑같다. 대체로 ‘박’은 단순히 호류(瓠類)(조롱박 종류) 뿐만 아니라 함지박, 이남박과 같은 나무로 만든 박이라고 한다. 그러면 박첨지(朴僉知)의 박은 그 인형이 호류로 제작되고, 혹은 목편(木片)으로 바가지같이 깎아서 조작된 데서 생긴 명칭인 듯하다. 그것

          소장 7,000원

          • 꼭두각시놀음(각본)
            김재철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인형극!! 꼭두각시놀음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1933) 수록 각본

            소장 3,000원

            • 중국 원시 신앙 연구
              손진태온이퍼브예술/문화
              0(0)

              꿈속에 보이는 세상을 떠난 아버지나 죽은 친구의 환상을 그들의 영혼적 존재라고 믿던 것과 같은 모습의 이론으로서 원시인들은 귀신의 존재를 믿었다. 귀신은 혹은 그들에게 행복을 주기도 하였지만, 허다한 경우에는 불행과 질병을 주었다. 그러므로 원시인들은 항상 귀신,~그들은 종교적 방법인 기도(祈禱), 애원(哀願) 등 소극적 방법과 주술(Magic)적 방법(적극적 잡귀를 쫓음)으로 귀신의 해를 피하려고 하였다.<본문 중에서> 중략

              소장 4,000원

              • 조선음악소고
                함화진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 아악(雅樂) 정수(精粹) 해설서!! 악가는 유탕(遊蕩)적이요 음미(淫靡)적인 음악은 절대로 배척하고 예술적이요 실질적인 음악을 작출하여 일반 사회에게 고상한 예술 취미의 교육을 보급시켜 일반의 위안을 조장한다. 또는 인격교육 중심으로 하는 것이 지당한 득책이라고 할 것이다. 대개 인격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정당한 득책이라고 할 것이다. 중국은 동양의 가장 오래된 문화를 가지고 있는 만큼 그 선민(選民)적 사상으로부터 중국인 이외의 민

                소장 9,000원

                • 조선의 풍속 강의
                  최남선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의 풍속 강의』(원제 ‘조선역사통속강화’)는 전반적인 주제를 역사학적 관점에서 기술한 글로 1922년 최남선 외 저자들이 참여 창간한 시사잡지〈동명(東明)〉에 연재되었다. 고대 문화의 중심이 되는 종교는 신화를 가지고는 성립한 것이다. 또한, 발달한 것이다. 신화 한 가지 속에 고대인의 정신적 유물이 온통 들어있다. 그들의 사상, 감정, 관찰, 지각(知覺)이 여기에 모두 나타나 있으며, 그들의 신앙, 찬송, 영탄(永嘆), 이론이 여기에 함

                  소장 8,000원

                  • 조선의 백의(白衣)
                    이재욱온이퍼브예술/문화
                    0(0)

                    여러 기록들을 보면 조선 의복 제도가 중국 제도의 영향을 받음이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하지만, 중국 제도의 조선 전래와 그 실행기에 대해서는 약간 의견을 달리하는 듯하다. 즉 《지봉유설》에는 기자 때 조선에 들어온 것이라고 하나(주나라 무왕武王 원년 1122년) 그 밖의 여러 학설은 신라 진덕왕(眞德王) 3년(당나라 정관貞觀 23년 649년)으로부터 같은 문무왕(文武王) 4년(당나라 인덕麟德 원년 4664년) 사이의 전래했다고 주장

                    소장 2,000원

                    • 조선의 음악 교양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음악적 정서가 순수한 감각적인 것이다’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또한 믿고 있지만, 그가 감각한다는 것을 비교할 때 기억 가운데 모든 관념을 연합하는 그 기능의 조력을 구할 것이다. 즉 판단이 어찌 한정되든 간에 지적 기능을 갖지 않고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레코드음악 감상법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음악 감상력을 배양하려면 첫째는 될 수 있는 대로 좋은 음악을 많이 들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좋은 음악을 많이 듣는다고 해도 무질서하게 명곡만을 들어서 좋다는 것은 아니다. 독서 방법에도 일정치는 않지만, 계통적 독서법이 있듯이 음악만 하더라도 적당한 계통을 세워 들어야 할 것은 당연하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무조(無調)음악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무조음악을 현대 음악의 운동 가운데 비추어보면 그것은 음악가가 지각적인 감수성을 존중하고 있는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지각에 따라서 감수될 진실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려는 것으로, 그것을 지각적인 리얼리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감(感) (김관, 온이퍼브)
                        • 예술과 오락 (김관, 온이퍼브)
                        • 음악과 색채 (김관, 온이퍼브)
                        • 문화와 음악 (김관, 온이퍼브)
                        • 약사 신앙과 신라미술 (고유섭, 온이퍼브)
                        • 미래파 예술 (노자영, 온이퍼브)
                        • 조선복색원류고 (이여성, 온이퍼브)
                        • 조선 고미술의 특색 (고유섭, 온이퍼브)
                        • 고려도자와 이조도자 (고유섭, 온이퍼브)
                        • 조선의 건축 (이한철, 온이퍼브)
                        • 경성의 세시풍속 (김원근, 온이퍼브)
                        • 조선 오락의 분류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의 술 이야기 (유자후, 온이퍼브)
                        • 각본 봉산가면극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 여성과 정월 풍속 (차상찬, 온이퍼브)
                        • 결혼반지의 유래 (유자후, 온이퍼브)
                        • 베개의 유래 (유자후, 온이퍼브)
                        • 민간오락 격구 (유자후, 온이퍼브)
                        • 조선영화발달사 (임화, 온이퍼브)
                        • 현대미의 특성 (고유섭, 온이퍼브)
                        • 담배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윷의 기원 (김태준, 온이퍼브)
                        • 연극과 사회 (윤백남, 온이퍼브)
                        • 백종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그네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가극의 발달사 (홍난파, 온이퍼브)
                        • 우리나라 성씨 (이중화, 온이퍼브)
                        • 남부의 모내기 노래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 미술사의 방법 (윤희순, 온이퍼브)
                        • 우리나라 연극의 기원 (송석하, 온이퍼브)
                        • 명절과 전설 (김태준, 온이퍼브)
                        • 조선 영화론 (임화, 온이퍼브)
                        • 조선 여배우의 시작 (안석영, 온이퍼브)
                        • 조선 향토 예술론 (이능화, 온이퍼브)
                        • 오죽헌 전설 이야기 (신정언, 온이퍼브)
                        • 가수 지망생을 위한 생활법률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제주의 자연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제주의 의식주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제주의 신화전설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태극기의 역사와 유래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마을의 기원과 유래 (김용국, 온이퍼브)
                        • 조선 민요 아리랑 (조선총독부, 온이퍼브)
                        • 조선의 성씨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풍속화보 (나카무라 긴조, 온이퍼브)
                        • 담배 이야기 (문일평, 온이퍼브)
                        • 만이천봉의 금강산 (덕전사진관, 온이퍼브)
                        • Korean folk tales (영문판) (James S.Gale, 온이퍼브)
                        • 우리나라의 전통무예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폰트 2023-24 (정석원, 심우진, 스토리비전)
                        이전 페이지
                        • 114페이지
                        • 115페이지
                        • 116페이지
                        • 117페이지
                        • 118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