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로그인 / 회원가입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조선음악소고
      함화진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 아악(雅樂) 정수(精粹) 해설서!! 악가는 유탕(遊蕩)적이요 음미(淫靡)적인 음악은 절대로 배척하고 예술적이요 실질적인 음악을 작출하여 일반 사회에게 고상한 예술 취미의 교육을 보급시켜 일반의 위안을 조장한다. 또는 인격교육 중심으로 하는 것이 지당한 득책이라고 할 것이다. 대개 인격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 정당한 득책이라고 할 것이다. 중국은 동양의 가장 오래된 문화를 가지고 있는 만큼 그 선민(選民)적 사상으로부터 중국인 이외의 민

      소장 9,000원

      • 조선의 풍속 강의
        최남선온이퍼브예술/문화
        0(0)

        『조선의 풍속 강의』(원제 ‘조선역사통속강화’)는 전반적인 주제를 역사학적 관점에서 기술한 글로 1922년 최남선 외 저자들이 참여 창간한 시사잡지〈동명(東明)〉에 연재되었다. 고대 문화의 중심이 되는 종교는 신화를 가지고는 성립한 것이다. 또한, 발달한 것이다. 신화 한 가지 속에 고대인의 정신적 유물이 온통 들어있다. 그들의 사상, 감정, 관찰, 지각(知覺)이 여기에 모두 나타나 있으며, 그들의 신앙, 찬송, 영탄(永嘆), 이론이 여기에 함

        소장 8,000원

        • 조선의 백의(白衣)
          이재욱온이퍼브예술/문화
          0(0)

          여러 기록들을 보면 조선 의복 제도가 중국 제도의 영향을 받음이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하지만, 중국 제도의 조선 전래와 그 실행기에 대해서는 약간 의견을 달리하는 듯하다. 즉 《지봉유설》에는 기자 때 조선에 들어온 것이라고 하나(주나라 무왕武王 원년 1122년) 그 밖의 여러 학설은 신라 진덕왕(眞德王) 3년(당나라 정관貞觀 23년 649년)으로부터 같은 문무왕(文武王) 4년(당나라 인덕麟德 원년 4664년) 사이의 전래했다고 주장

          소장 2,000원

          • 조선의 음악 교양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음악적 정서가 순수한 감각적인 것이다’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또한 믿고 있지만, 그가 감각한다는 것을 비교할 때 기억 가운데 모든 관념을 연합하는 그 기능의 조력을 구할 것이다. 즉 판단이 어찌 한정되든 간에 지적 기능을 갖지 않고서는 만들어지지 않는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레코드음악 감상법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음악 감상력을 배양하려면 첫째는 될 수 있는 대로 좋은 음악을 많이 들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좋은 음악을 많이 듣는다고 해도 무질서하게 명곡만을 들어서 좋다는 것은 아니다. 독서 방법에도 일정치는 않지만, 계통적 독서법이 있듯이 음악만 하더라도 적당한 계통을 세워 들어야 할 것은 당연하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무조(無調)음악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무조음악을 현대 음악의 운동 가운데 비추어보면 그것은 음악가가 지각적인 감수성을 존중하고 있는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말하자면 지각에 따라서 감수될 진실성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려는 것으로, 그것을 지각적인 리얼리티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감(感)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음악을 듣는 사람이나 하는 사람이나, 또는 만드는 사람 모두가 감(感) 위에 서 있다. 감이 음악이나 예술의 요소이고 본질이며 감의 약속 위에 표현, 또는 그것의 음악 표현이 있는 이상, 감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음악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예술과 오락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예술은 한번 해방된 지점에는 다시 회복되지 않으려 하고, 오히려 한 걸음씩 위로 위로 올라가면서 동일한 습관 생활에서 고양하고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하지만, 오락은 마치 고무줄을 늘였다가 도로 놓는 때와 마찬가지로 함께 이완과 긴장해서 풀린 생활을 가져 금방 도로 제 지점으로 돌아오는 것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500원

                    • 음악과 색채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5.0(1)

                      음악은 정신수양에 좋다. 혹은 미적 감정을 도야하는 것이며 정신상에 질병을 고치는 것이라고 한다. 최근 미국에서는 가령 신경성 환자에게는 음악을 듣게 하여 병을 낫도록 하고 악곡의 이름까지 열거하는 것을 보았다. 그러나 그렇게 음악이 좋은 분야만을 설명한다면 할 수 있겠지만, 여기서 말하는 것은 정신을 파괴하고 오히려 병을 야기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지나친 음악에 열중한다면 그 결과가 정신상 악영향을 미치게 한다는 것을 제창한 사람은 보케로트

                      소장 3,000원

                      • 문화와 음악
                        김관온이퍼브예술/문화
                        0(0)

                        발레리가 ‘정신의 정치학’ 가운데에서 현대의 여러 조건은 인간이 오늘날까지 만들 걸작에 필적할만한 작품을 이제부터 제작하려는데 있어 최악의 조건일 뿐이며 우리들이 성숙할 여유가 있는 것 같지 않다. 그리고 우리들 예술가가 스스로 성찰할 때 거기에는 과거에 가졌던 미의 창조가의 하나의 특징, 즉 지속하는 의지가 상실된 것이라고 설파하고 있다. 불과 3~년 동안의 음악뿐 아니고 모든 예술 부분을 비롯하여 제반 영역에 있어서까지 너무 격심한 발전과

                        소장 1,000원

                        • 약사 신앙과 신라미술
                          고유섭온이퍼브예술/문화
                          0(0)

                          12신장(神將)이란 원래 약사불(藥師佛)의 12대원(大願)에 맞서 그를 보호하고 그를 실현하려고 나온 신장(神將)(화엄경을 보호하는 신장. 곧, 불법을 보호하는 신장을 이름)이다. 동시에 그것은 시간(時間)신이며 방위(方位)신이다. 십이지신장은 주야 12시로서 순서로 옹호하고 있다. 각각 7천에 식구를 데리고 8만4천의 번뇌를 제거하여 8만4천의 보제(菩提)(보리菩提)를 바른 지혜로 진리를 깨달아 얻으려는 것이다. 이러한 십이지신장을 인물 모습

                          소장 4,000원

                        • 미래파 예술 (노자영, 온이퍼브)
                        • 조선복색원류고 (이여성, 온이퍼브)
                        • 조선 고미술의 특색 (고유섭, 온이퍼브)
                        • 고려도자와 이조도자 (고유섭, 온이퍼브)
                        • 조선의 건축 (이한철, 온이퍼브)
                        • 경성의 세시풍속 (김원근, 온이퍼브)
                        • 조선 오락의 분류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의 술 이야기 (유자후, 온이퍼브)
                        • 각본 봉산가면극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 여성과 정월 풍속 (차상찬, 온이퍼브)
                        • 결혼반지의 유래 (유자후, 온이퍼브)
                        • 베개의 유래 (유자후, 온이퍼브)
                        • 민간오락 격구 (유자후, 온이퍼브)
                        • 조선영화발달사 (임화, 온이퍼브)
                        • 현대미의 특성 (고유섭, 온이퍼브)
                        • 담배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윷의 기원 (김태준, 온이퍼브)
                        • 연극과 사회 (윤백남, 온이퍼브)
                        • 백종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그네의 유래 (차상찬, 온이퍼브)
                        • 가극의 발달사 (홍난파, 온이퍼브)
                        • 우리나라 성씨 (이중화, 온이퍼브)
                        • 남부의 모내기 노래 (송석하, 온이퍼브)
                        • 조선 미술사의 방법 (윤희순, 온이퍼브)
                        • 우리나라 연극의 기원 (송석하, 온이퍼브)
                        • 명절과 전설 (김태준, 온이퍼브)
                        • 조선 영화론 (임화, 온이퍼브)
                        • 조선 여배우의 시작 (안석영, 온이퍼브)
                        • 조선 향토 예술론 (이능화, 온이퍼브)
                        • 오죽헌 전설 이야기 (신정언, 온이퍼브)
                        • 가수 지망생을 위한 생활법률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제주의 자연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제주의 의식주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제주의 신화전설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태극기의 역사와 유래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나라 마을의 기원과 유래 (김용국, 온이퍼브)
                        • 조선 민요 아리랑 (조선총독부, 온이퍼브)
                        • 조선의 성씨 이야기 (차상찬,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풍속화보 (나카무라 긴조, 온이퍼브)
                        • 담배 이야기 (문일평, 온이퍼브)
                        • 만이천봉의 금강산 (덕전사진관, 온이퍼브)
                        • Korean folk tales (영문판) (James S.Gale, 온이퍼브)
                        • 우리나라의 전통무예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폰트 2023-24 (정석원, 심우진, 스토리비전)
                        • 폰트 2022-23 (정석원, 심우진, 스토리비전)
                        • 폰트 2021 (한국폰트협회, 이용제, (사)한국폰트협회)
                        • 중국 여성 작가 장진회의 삶과 사 창작 (김선, 스토리비전)
                        • 대중음악 리딩게임 K-POP40 (정병욱, 스토리비전)
                        • 폰트와 폰트저작권 (정석원, 구주와, 스토리비전)
                        이전 페이지
                        • 115페이지
                        • 116페이지
                        • 117페이지
                        • 118페이지
                        • 119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