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로그인 / 회원가입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이건 드로잉이 아니래요
      이상홍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이상홍의 ‘조형드로잉’과 ‘몽블랑드로잉’ 류병학 미술평론가 내가 이상홍 작가의 작품을 처음 본 것은 2018년 우민미술관의 카페에 마련된 프로젝트 스페이스 우민에서 열린 그의 개인전 『라라랜드를위한나라는없다』에서다. 당시 그는 크게 두 가지 형식의 작품들을 선보였다. 하나는 피규어 장난감과 각종 오브제 그리고 회화와 드로잉을 접목한 독특한 일명 ‘조형드로잉’이고, 다른 하나는 몽블랑 만년필로 그린 일명 ‘몽블랑드로잉’이다. 2019년 초 태국

      소장 5,000원

      • 이런저런 의미가 아니고
        이민정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이민정의 침묵 회화 내가 이민정의 작품을 처음 본 것은 2016년 175갤러리에서 열렸던 개인전 『균형연습(Balance exercise)』이었다. 당시 나는 그녀의 그림들을 보고 당황했다. 왜냐하면 그녀의 그림들은 나의 ‘그물’에 낚이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를테면 그녀의 그림들은 나의 ‘그물’ 사이로 빠져나갔다고 말이다. 오히려 난 그녀의 ‘덫’에 걸려든 셈이다. 머시라? 무슨 뚱딴지같은 말이냐고요? 맞다! 나는 완고하고 우둔하며 무뚝뚝한

        소장 5,000원

        • 탁영호의 단편만화 강의 II
          탁영호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독자의 상상력을 유도하는 만화 이 책을 위해 그동안 했던 작품들을 정리하다가 이제까지 내가 작업했던 단편만화의 편수를 세어보았다. 1987년부터 본격적인 만화가의 길을 걸었으니 2004년까지 몇 편을 했을까? 기억을 더듬으면서 나도 깜짝 놀랐다.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대충 250편 정도였다. 그렇다면 한 달에 한두 편은 꾸준하게 해온 것이다. 그 많은 이야기와 캐릭터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잠시 멍해진다. 만화는 2차원적 평면에다 3차원적 움

          소장 5,000원

          • 탁영호의 단편만화 강의 I
            탁영호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독자의 상상력을 유도하는 만화 이 책을 위해 그동안 했던 작품들을 정리하다가 이제까지 내가 작업했던 단편만화의 편수를 세어보았다. 1987년부터 본격적인 만화가의 길을 걸었으니 2004년까지 몇 편을 했을까? 기억을 더듬으면서 나도 깜짝 놀랐다.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대충 250편 정도였다. 그렇다면 한 달에 한두 편은 꾸준하게 해온 것이다. 그 많은 이야기와 캐릭터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잠시 멍해진다. 만화는 2차원적 평면에다 3차원적 움

            소장 5,000원

            • 달콤, 살벌한 만남
              이유진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이유진의 ‘달콤, 살벌한’ 작품세계 류병학 미술평론가 “남자와 여자, 사람과 동물, 사람과 사물들의 표면의 결합은 그 무엇으로도 정의내리기 곤란한 형태를 띤다. 이를 통해 우리가 이성을 통해 신뢰하고 확신하는 인간이나 사물의 모습을 무너뜨려 객관적 실재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의심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다양한 해석을 유발하는 모호한 형태는 단일한 '나', 단일한 '사물' 즉 고정되고 불변적인 단일한 '주체'를 무너뜨리고 언제나 역전

              소장 5,000원

              • 누가 빨강, 노랑 그리고 파랑을 두려워하랴?
                최상흠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5.0(3)

                최상흠의 ‘누가 빨강, 노랑 그리고 파랑을 두려워하랴?’ 미술평론가 류병학 누가 빨강, 노랑 그리고 파랑을 두려워하랴?(Who's afraid of Red, Yellow and Blue?) 그것은 2022년 9월 갤러리 R에서 오픈하는 최상흠 작가의 개인전 타이틀이다. 그는 갤러리 R 전시장에 신작 ‘무제(UNTITLED)’ 시리즈 12점을 전시해 놓았다. 갤러리 R의 전시장은 크게 4파트로 구분될 수 있다. 전시장 출입구에 위치한 전시공간과

                소장 5,000원

                • 나의 인형 이야기
                  강진이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서시(序詩) 나의 인형 이야기를 시작하며 어른이 되어 참 좋다는 생각을 가끔 한다. 어린 시절 나는 겁도 많고 감정표현에 솔직하지도 못했다. 그러다보니 마음이 버거울 때가 있었다. 아니 그때는 그게 힘든 건지 잘 몰랐다. 나이 들어가며 생각이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말할 수 있는 마음의 힘이 생기면서 어려움을 겪던 아이 시절의 내가 보였다. 어린 시절 유일하게 속마음을 털어놓은 게 인형이었다. 인형한테는 무슨 말이든 다했다. 누구와도 소통하지

                  소장 5,000원

                  • 텅 빈 공간과의 대화
                    박기원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서 있는 사람은 오시요, 나는 빈~의자~” “가장 좋은 장소는 몸과 마음이 휴식하는 곳, 마치 풀밭 위에 있는 것처럼, 앉아서 또는 누워서 잠시 쉴 수 있는 곳, 그리고 넓고 끝없는 삶의 여정이 느껴지는 그런 곳이다. 작품에 대한 생각은 언제나 장소에서 출발한다. 그 공간을 가장 공간답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첫 번째 목표이며, 장소의 먼지를 털고, 청소를 하고, 환기를 시키는 게 두 번째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그곳에 들어온 사람들이 마치 넓은

                    소장 5,000원

                    • 그들의 서사(敍事)
                      이유미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나의 심장에 꽂혀 있는 작품 미술평론가 류병학 그러니까 2018년 여름으로 기억된다. 당시 나는 제주도를 여행했다. 나는 첫날 신제주에서 해안도로를 따라 서귀포까지 여행했고, 둘째 날은 중산간(中山艮)을 따라 여행했다. 나는 미술관과 갤러리가 옹기종기 모여있는 저지문화예술인마을을 방문했다. 당시 제주현대미술관에서는 『지역네트워크교류전 2018 : 이상동몽(異床同夢)』을 개최하고 있었다. 그런데 초대작가 명단에 ‘이유미’가 있는 것이 아닌가. 혹

                      소장 5,000원

                      • CHANG, jia
                        장지아 외 1명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장지아의 ‘태도(Attitude)’ 류병학 | 미술평론가 “엄격한 가족 안에서의 성장기를 거쳤으나 누구보다 사고는 많이 친, 크리스천이지만 종교적 금기를 깨는 자, 불안장애와 조울증, 자유로워지고 싶지만 규칙과 원칙을 따지고, 매사 비관적이지만 행복을 부여잡고 사는 복잡한 사람이다 보니, 나의 내적 충돌로 작업들이 등장한다고 봐야 맞을 것이다.” - 장지아 인터뷰(『웹진 세미나』 장지아 인터뷰_이 상처를 베어 물어라 그리고 메워라 2020) 중

                        소장 5,000원

                        • 예술은 재에서 나올 것인가?
                          류병학케이에이알예술/문화
                          0(0)

                          예술의 잿더미에서 일어나다! “그림의 기초라고 하면 우선 보는 문제인데, 장님이 눈을 처음 떴을 때처럼 봐야 하는 것이죠. 자기 의도대로 되기는 힘들지만 내가 장님의 처지에서 보게 되었을 때, 감각이 날카로워지고 정확해지고 왜곡됨 없이 보게 되지요. 결국에 낡은 눈을 가진 작가는 자기 작품을 제대로 보기 힘들겠죠. 그래서 좀 더 좋은 작품을 하기 위해서, 좋은 눈을 갖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지요.” 위 인용문은 지난 2010년 대전 호수돈여고 내

                          소장 5,000원

                        • 사물/작품논쟁 (류병학, 케이에이알)
                        • 형태를 만드는 일의 시작 (김소라, 김정곤, 나비소리)
                        • 컬러 인사이드 (황지혜, 도서출판 크레타)
                        • 미술관에 간 바이올리니스트 (이수민, 크레타)
                        • 재벌X형사 대본집 2 (김바다, 너와숲 ENM)
                        • 재벌X형사 대본집 1 (김바다, 너와숲 ENM)
                        • 정년이 대본집 1 (최효비, 다산책방)
                        • 로봇 드림 (사라 바론, 놀)
                        • 혼례대첩 2 (하수진, 오브제)
                        • 혼례대첩 1 (하수진, 오브제)
                        • 인간을 탐구하는 미술관 (이다(윤성희), 브라이트)
                        • 스페인은 가우디다 (김희곤, 오브제)
                        • 금속의 세계사 (김동환, 배석, 다산에듀)
                        • 혼자 읽는 세계미술사 2권 (조은령, 조은정, 다산초당)
                        • 사랑의 미술관 (이케가미 히데히로, 김윤정, 다산초당)
                        • 에로틱 세계사 (난젠 & 피카드, 남기철, 오브제)
                        • 하룻밤 미술관 (이원율, 다산북스)
                        • 문화기획이라는 일 (유경숙, 큐리어스(Qrious))
                        • 좋아하는 건축가 한 명쯤 (장정제, 지식의숲)
                        • 아바타 어댑트 오어 다이 (코리나 베츠코, 삐맨, 북캣(BOOKCAT))
                        • 미국 문화 교양 공부 (유원호, 넥서스)
                        • 나만의 도슨트, 오르세 미술관 (서정욱, 큐리어스(Qrious))
                        • 나만의 도슨트, 루브르 박물관 (서정욱, 큐리어스(Qrious))
                        • 1일 1미술 1교양 2(사실주의~20세기 미술) (서정욱, 큐리어스(Qrious))
                        • 죽음을 그린 화가들, 순간 속 영원을 담다 (박인조, 지식의숲)
                        • 검은 혁명 (정상환, 지식의숲)
                        • 안녕하세요 예술가씨 (이규현, 넥서스BOOKS)
                        • 컬러가 내몸을 바꾼다 (김선현, 넥서스BOOKS)
                        • 나는 누구인가 (전준엽, 지식의숲)
                        • 예썰의 전당 : 서양미술 편 (KBS <예썰의 전당> 제작팀, 양정무, 교보문고)
                        • 재즈북 (요아힘 E. 베렌트, 한종현, 이지북)
                        • 팸플릿 5권 트위터 그 140자 평등주의 (김남훈, 김민하, 자음과모음)
                        • 마녀 프레임 (이택광, 자음과모음)
                        • 아무래도 그림을 사야겠습니다 (손영옥, 자음과모음)
                        • 동물원이 된 미술관 (니콜레 체프터, 오공훈, 자음과모음)
                        • 한국영화가 사라진다 (이승연, 바틀비)
                        • 스탠드업 나우 뉴욕 (최정윤, 왓어북)
                        • 라흐마니노프 (리베카 미철, 이석호, 포노(PHONO))
                        • 말러와 1910년의 세계 (스티븐 존슨, 이석호, 포노)
                        • 음악에서의 위대성 (알프레트 아인슈타인, 강해근, 포노(PHONO))
                        • 리하르트 바그너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이충훈, 포노(PHONO))
                        • 구스타프 말러 (브로노 발터, 김병화, 포노(PHONO))
                        • 재즈 선언 (윈턴 마설리스, 제프리 C. 위드, 포노(PHONO))
                        • 바그너와 우리 시대 (토마스 만, 안인희, 포노(PHONO))
                        • 쇼팽을 찾아서 (알프레드 코르토, 이세진, 포노(PHONO))
                        • 베토벤의 생애 (로맹 롤랑, 임희근, 포노(PHONO))
                        • 쇼팽 노트 (앙드레 지드, 임희근, 포노(PHONO))
                        • 음악과 음악가 (로베르트 슈만, 이기숙, 포노(PHONO))
                        • 쇼, 음악을 말하다 (조지 버나드 쇼, 이석호, 포노(PHONO))
                        이전 페이지
                        • 32페이지
                        • 33페이지
                        • 34페이지
                        • 35페이지
                        • 36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