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일본 요괴문화 상품이 되다
    김진영 외 5명시간의물레예술/문화
    0(0)

    일본인의 마음을 사로 잡은 요괴. 요괴문화가 상품이 되기까지의 핵심을 파다. 일본 요괴문화가 한 시대를 움직이고 있다. 이 책은 일본 요괴문화에 대한 냉철하고 합리적인 비판을 목적으로 한다. 대중 오락문화의 미래에 대해 고민하며, 일본 요괴문화의 구조와 속성을 철저하게 분석했다. 일본의 서브컬쳐였던 요괴문화가 만화와 애니메이션, 게임 등을 통해 메인컬쳐로 시민권을 얻게 되는 과정과 닌텐도 같은 게임회사에서 요괴를 어떻게 산업화시켰는지를 찾으러

    소장 9,000원

    어정시작
    박장규유페이퍼예술/문화
    0(0)

    시나리오 작가가 되기 위해 열심히 작품도 써보고 공모전 등에 지원도 해보지만 당선이나 입봉의 기회가 찾아오지 않아 방황도 많이 하다가 결국에는 작가의 꿈을 포기하고 영화계를 떠나버릴까 생각하는 젊은이들도 많을 것이다. 그래서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젊은 작가지망생들에게 조금이나마 힘이 되고 싶은 마음에서 많이 부족하지만 이렇게 시나리오 작법에 관한 글을 쓰기에 이르렀다. 분량이 너무 적어서 도움이 될 만한 비법이 별로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

    소장 8,000원

    취미작가의 꿈을 응원합니다
    조혜련도서출판 아투스예술/문화
    0(0)

    취미 작가로 꿈을 이룰 수 있을까? 고등학교 시절, 미대에 가고 싶었습니다. 부모님은 ‘”예술 하면 밥 벌어먹기 힘들다”고 크게 반대하셨고, 다른 전공을 선택하며 화가가 된다는 꿈을 잃고 방황한 시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꿈은 언제나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사르라 들지 않고 소중히 간직되어 있었고, 직장생활과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하며 기회가 될 때마다 그림을 그리고, 포스터 등을 제작하곤 했습니다. 몇 해전, 직장을 옮기면서 시간적 여유가 생

    소장 18,000원

    유명변사해설 모음집
    김영무도서출판 창작마을예술/문화
    0(0)

    이 책은 무성영화에 관한 귀한 자료들을 엮은 것으로 1991년부터 1년 정도, KBS 제1라디오로 방송되던 ‘소리 100년 생활 100년’이란 프로그램 제작시 구성, 집필된 자료들을 기초하였다. 무성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었던 변사. 그 당시 선망의 대상이었던 유명변사들의 생활상과 사회적 분위기를 모음집을 통해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료편에서는 변사 대본을 그대로 수록하였기에 무성영화 관련 자료 및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소장 7,000원

    조선미술사요
    안확토지예술/문화
    0(0)

    조선미술사요(朝鮮美術史要) 나는 미술(美術)에 있어 한가지 기능도 없으며, 또한 공학(工學)에 대한 실기도 상식도 닦은 일이 없다. 그러므로 미술을 감상할 역량을 가지지 아니하여 감히 이 문제를 걸어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미학(美學)을 기초하여 여러 사람들이 저술한 동서 미술사를 대조하고 각처에 있는 박물관을 두루 관찰하여 분석적 논구(論究)를 시도하며, 재래 문헌상에 적혀 있는 미술 및 공예품 설명을 탐사하여 보면 적이 해득이 생기고 투리(

    소장 1,000원

    미술강좌
    권구현토지예술/문화
    0(0)

    원래 회화의 구도라는 것은 그 내용만을 의미한 것이 아니라. 그 형식미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찰 방법을 요하는 것이나 순록시대(馴鹿時代) 회화의 구도는 그 대체가 구도적 의도를 잃은 순간적, 충동적, 사실적 구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은 점으로라든지 기타 여러 가지 점으로 보아서 작자의 주관적 활동을 허용할 수 있는 일면이 있습니다. 화면에서 폭로(曝露)한 형식미에 대한 그네들의 감각은 ‘병렬주의’와 ‘공극(空隙)의 공포’로

    소장 1,000원

    연극의 무대기술
    함세덕토지예술/문화
    0(0)

    內地演劇[내지연극]이라 해도 朝鮮演劇[조선연극]같이 성격이나 스타일이나 기술에 있어서 藝術面[예술면]을 구별할 아무것도 못 가진 類型的[유형적]인 것이 아니고 歌舞伎[가무기], 新派[신파], 新劇[신극]을 위시하야 新大衆演劇[신대중연극], 中間演劇[중간연극], ロツパ, 曾我迺屋劇[증아내옥극] 등 확실히 個性[개성]과 傳統[전통]을 달리한 연극 형태의 總和[총화]로 돼 있으므로 劇團[극단] 劇團[극단]에 따라 舞臺的[무대적] 技術[기술]도 판이하

    소장 1,000원

    연극의 기원과 희랍극의 고찰
    김정진토지예술/문화
    0(0)

    희랍극의 기원인 '디오니소스'신 외 제례시(祭例時)로부터 창시되었다하면, 조선에도 고대 즉 단군 시대로부터 천(天)을 제(祭)하고 그 제례에 다수한 군중이 회집하여 형형색색의 가면을 쓰고 각종의 유희와 여흥을 행하던 사실이 역사에 전하는 것을 보면 조선극의 창시가 도리어 희랍극의 기원이 기(幾)세기 이전이었던 것을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극의 발전상태는 어떠한가? 희랍극의 계통을 수(受)한 구미(歐米)에서는 연극의 발달이 절정에까지 달하였

    소장 1,000원

    병자삼인
    조중환토지예술/문화
    0(0)

    조중환 병자삼인(病者三人) 한국 최초의 희곡 「매일일보」에 1912. 11. 17~25. 가지 연재되었다. ---------------------------------------------------------- 여교사 이옥자 본저 무대에는 이옥자의 집 방안이요, 그 부엌에는 밥짓는 제구와 소반 그릇 등들이 널펴있는데, 부엌에서는 이옥자의 남편되는 정필수가 불도 들이지 아니하는 아궁이에서 밥을 짓느라고 부채질을 하고 있다. 정필수 : 아이참,

    소장 2,000원

    그 사람들
    김정진토지예술/문화
    0(0)

    그 사람들 등장인물 봉실 : 농부 복삼 : 봉실의 자 오씨 : 동 처 귀분 : 동 딸 맹녀 : 동 노모 옥순 : 촌 낭(娘) 화수 : 촌 노인 기타 : 촌사람들 시 : 현대 어떤 초춘(初春)의 석경(夕景) 장소 : 경기의 초원(稍遠)한 산촌 무대 봉실의 집 온돌 일부와 그 토봉당으로 됨. 무대 좌편에는 온돌, 그 우편에는 토봉당이 연접되어 횡면으로 놓인 모양. 토봉당 구석에는 벼, 헝겊으로 바른 독, 항아리들이 놓여있고 그 안쪽에 달린 시렁에는

    소장 1,000원

    정오
    김우진토지예술/문화
    0(0)

    金祐鎭의 대표 희곡 -산돼지 -이영녀 -정오 <등장인물> 최원봉(29세) 차혁(28세) 최영순(20세) 최 주사댁(58세) 정숙(25세) 장소 서울 가까운 어떤 군 읍내 제1막 주사댁 집 앞마당을 중심으로 오른편으로 건넌방, 그 앞에 뒷마루. 왼편으로 큰 대청, 또 그 왼편으로 안방 영창문이 있고, 그 앞으로 부엌간이 내밀고 있다. 중류 계급의 견실 순박한 기풍의 세간살이, 장독대, 뒤주, 찬장, 심지어 걸레질 잘 해 놓은 마룻바닥, 잘 쓸어

    소장 2,000원

  • 이야기 근대 연극사 -남사당 공연부터 광복 이후 연극 (시리즈 통권) (고설봉, 창작마을)
  • 유국치 창작 대중가요 2집 (유국치, 유페이퍼)
  • 이야기 근대연극사 -연극인물사 (고설봉, 창작마을)
  • 이야기 근대연극사 -분장론 (고설봉, 창작마을)
  • 이야기 근대연극사 -조선연극협회시대의 연극 (고설봉, 창작마을)
  • 이야기 근대연극사 -동양극장 시대의 연극 (고설봉, 창작마을)
  • 이야기 근대연극사 -1930년대 연극 (고설봉, 창작마을)
  • 이야기근대연극사 (고설봉, 창작마을)
  • <자전적 에세이> 눈부시게 아름다웠던 날들 (춘성 정기상, 유페이퍼)
  • 램램의 garland 수집 이야기 (램램, 램램출판사)
  • 내 꿈 일기 (정슬, wo)
  • 일상의 맛 (책사이, 부크크)
  • 오늘, 이 책 (책사이, 부크크)
  • 베를린영화제는 처음입니다만 (장성란, 더라인북스)
  • Transformation of lizard (이사라, G-present)
  • 사람의 정체성 (오영출, 유페이퍼)
  • 복음서에 대한 궁금증 (오영출, 유페이퍼)
  • 남양주 겨울이야기 (이준혁, 유페이퍼)
  • 복음서 입체로 보기 (오영출, 유페이퍼)
  • 레터웨어 Letter Wear (오애경, 유페이퍼)
  • 중세시대 연극사 (세계 연극의 역사) (잇끌림편집부, 잇끌림)
  • 애설(흙수저 사랑) (안종희, 유페이퍼)
  • 시의세계 (안종희, 유페이퍼)
  • 홀로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신정일, 푸른영토)
  • 결 : 한결같이 사랑하겠습니다 (김호근, 푸른e미디어)
  • 숨 : 목숨을 다해 사랑하겠습니다 (김호근, 푸른e미디어)
  • 젊은 예술가의 초상 (제임스 조이스, 강미경, 느낌이있는책)
  • 약속과 정의 (이정기, 엘맨)
  • 신의 나라 (김종철, 해피앤북스)
  • [연극] 남녀 학교 소사 대화 : (소파) 방정환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방정환, 문학숲)
  • [연극] 노래 주머니 : (소파) 방정환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방정환, 문학숲)
  • [연극] 인쇄한 러브레터 : 권환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권환, 문학숲)
  • [연극] 광(狂)! : 권환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권환, 문학숲)
  • [연극] 이상적인 결혼 : 유지영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유지영, 문학숲)
  • [연극] 연과 죄 : 유지영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유지영, 문학숲)
  • [연극] 파리의 그 여자 : 나혜석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나혜석, 문학숲)
  • [연극] 어머니와 딸 : 박아지 작품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박아지, 문학숲)
  • [연극] 바보 : 박용철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박용철, 문학숲)
  • [연극] 베니스의 상인 : 박용철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박용철, 문학숲)
  • 기사(技師)와 서기(書記) : 박용철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박용철, 문학숲)
  • 사랑의 기적 소품(小品) : 박용철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박용철, 문학숲)
  • 낸의 비극(悲劇) : 박용철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박용철, 문학숲)
  • 정오 . 두덕이 시인의 환멸 : 김우진 2편 수록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김우진, 문학숲)
  • 산돼지 : 김우진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김우진, 문학숲)
  • 채만식 희곡 작품 22편 : (한 권으로 끝내는) 한국문학 연극작품 (채만식, 알바룩스)
  • 흘러간 고향 : 채만식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채만식, 문학숲)
  • 행랑 들창에서 들리는 소리 : 채만식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채만식, 문학숲)
  • 코떼인 지사 : 채만식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채만식, 문학숲)
  • 조조(曹操) : 채만식 (희곡 문학작품 - 마음 토닥토닥 다스리기) (채만식, 문학숲)
이전 페이지
  • 88페이지
  • 89페이지
  • 90페이지
  • 91페이지
  • 92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