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제1차 · 제2차 교육과정기 한국 미술교육의 역사적 풍경
    양민영한국학술정보역사
    0(0)

    이 책은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태동기 양상에 관한 연구로 2019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제1차·제2차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역사적 탐구」를 재구성한 것이다. 제1차·제2차 교육과정기 교육과정, 교과서 등 문서 자료와 생애사 면담, 심층 면담을 통하여 당시 교육 상황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미술교육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척박한 상황에서 자신의 관심사에 맞게 연구를 지속하여 일가를 이룬 김정, 김춘일, 박휘락 세 미술교육 전문가

    소장 14,000원

    칠정사단 어떻게 왜곡됐나(해설서)
    김동원한국학술정보역사
    0(0)

    관료, 지식권력의 주자학 농단 무려 600여년의 주자학 연구사를 가진 우리니라, 그렇다면 과연 지금 우리는 주희의 『대학』,『중용』 등 사서장구를 제대로 읽고 있는가? 갑자기 이상한 궤변을 한다고 나무라겠지만, 그러나 우리는 『대학』 등 사서를 초입부터 전혀 엉뚱하게, 오히려 반대의 의미로 잘못 왜곡해서 읽는다. …… 본서 총 3부 중, 제1부는 정주학의 가장 핵심 된 설을 17개 조항으로 요약하고 풍우란, 노사광, 진영첩, 여영시, 진래 등

    소장 35,000원

    최초의 주석 칠정사단론(주석서)
    김동원 (역주)한국학술정보역사
    0(0)

    퇴계와 고봉의 ‘칠정과 사단에 관한 논변’이 한국철학사 최고 원전이라는 것은 누구나 잘 안다. 이 토론에서 율곡의 학문이 나왔고, 또 인성과 물성의 동이논쟁(호락논쟁) 등 수많은 논변도 이로부터 파생된 것이다. 더욱이 이 토론은 유일하게 세계철학사의 한 부분으로 용인되는 우리의 중요한 사상이다. 이와 같음에도 무슨 이유로 주석서가 없단 말인가? 이 일은 일견 필자의 눈에는 황당함을 넘어 기이하기까지 하다. …… 퇴·고 칠사논변은 한자로 대략 3

    소장 31,500원

    고구려와 위만조선의 경계 : 위만조선, 졸본, 평양의 위치 연구
    임찬경한국학술정보역사
    0(0)

    한국고대사의 왜곡은 위만조선의 위치, 고구려 건국 연대와 첫 도읍 졸본의 위치, 427년에 장수왕이 천도한 고구려 평양의 위치에 대한 왜곡으로부터 비롯되었다. 그러므로 한국고대사의 왜곡을 깨려면, 우선적으로 위만조선과 졸본 및 평양의 위치를 바로잡아야 한다. 이 책에서는 기존의 역사왜곡을 극복하려는 목적으로, 위만조선과 졸본 및 평양의 위치를 새롭게 해석하여 제시하였다. 역사 서술은 사람의 몫이며, 따라서 역사왜곡도 결국 사람에 의해 이루어진다

    소장 19,600원

    수중고고학의 역사
    김도현한국학술정보역사
    0(0)

    수중고고학의 역사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소장 23,800원

    가락국기평전
    남무희한국학술정보역사
    0(0)

    ‘개벽’이라는 단어로 시작하고 있는 가락국기는 60갑자 가운데 경신(庚申)인 해에 저술되었다. 또한 가락국기를 거듭해서 읽어보면 하늘[천(天)]과 땅[지(地)] 및 사람[인(人)]이라는 ‘삼재(三才)’의 관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실을 주목하면서, 이 책에서는 김태유(金太有)와 허경진(許景辰)이라는 가상의 인물을 등장시켰다. 이를 통해 저자는 김태유와 허경진이 제기하는 문제들을 정리하면서 가락국기 평전을 저술하였다. 여기

    소장 10,500원

    주나라의 궁, 종묘와 명당
    서정화한국학술정보역사
    0(0)

    종묘는 왕실 사당과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답을 찾는 시도다. 진대 이전 종묘의 기능과 역할, 고대 종묘제도, 주대 명당과 벽옹에 관한 소고, 주대 국도가 풍수지리에 미친 영향, 은주대 상제 관념과 주대에 이르는 변화, 유교경전에 따른 주대 종묘의 기능과 의미 등 주대 종묘에 관련한 일련의 연구 성과를 모았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진시황 이전까지의 종묘는 군주의 통치 공간으로서, 조정과 정전 및 편전의

    소장 12,600원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
    박성호한국학술정보역사
    0(0)

    고려말과 조선초에 작성된 고문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는 박성호의 박사 학위논문과 이후에 발표한 소논문을 토대로 재구성한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물을 담은 『고려말 조선초 왕명문서 연구』

    소장 15,400원

    (산림정책과 산림문화 역사성 규명을 위한) 국역 유산기 - 충청도, 전라도
    국립수목원한국학술정보역사
    0(0)

    유산기는 말 그대로 산수간을 노닌 일을 기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선조들이 유교문화와 산림문화의 오묘한 만남을 발견할 수 있다. 산수유기를 통해 주체의 관찰과 행위를 알 수 있으며, 자연 앞에 인간의 왜소함을 돌아보는 겸허를 배운다. 솜씨 좋은 사진을 보는 듯한 경관, 꼼꼼하고 치밀한 선인들의 기록정신, 봉우리의 유래와 산비탈의 모습과 능선의 굴곡이 눈앞에서 펼쳐진다. 이처럼 아름다운 충청도, 전라도 지역의 명산 유산기를 한 권의 책으로

    소장 8,400원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김동철한국학술정보역사
    0(0)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의 저자는 7년 동안의 계획과 3년간의 사적답사와 문헌 탐색을 통해 이순신 리더십을 연구했고, 그 결과물을 원고와 사진으로 엮었다. 이 책은 40여 개의 주제들 속에서 저자는 기록과 분석ㆍ비판을 오가며 과거의 지혜를 발견함으로써 현재의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하려 한다.

    소장 17,500원

    (산림정책과 산림문화 역사성 규명을 위한) 국역 유산기 - 강원도
    국립수목원한국학술정보역사
    0(0)

    유산기는 말 그대로 산수간을 노닌 일을 기록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 선조들이 유교문화와 산림문화의 오묘한 만남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산수유기를 통해 주체의 관찰과 행위를 알 수 있으며, 자연 앞에 인간의 왜소함을 돌아보는 겸허를 배웁니다. 솜씨 좋은 사진을 보는 듯한 경관, 꼼꼼하고 치밀한 선인들의 기록정신, 봉우리의 유래와 산비탈의 모습과 능선의 굴곡이 눈앞에서 펼쳐집니다.

    소장 10,500원

  • 한중사회 속 여성리더 : 선덕과 측천은 어떻게 달랐나 (하영애, 한국학술정보)
  • 한비자 강의 (조덕윤, 한국학술정보)
  • 정화의 보물선 (이은상, 한국학술정보)
  • 삼국시대 천문현상 기록집 (김상혁, 민병희, 한국학술정보)
  • 조선건국의 기틀을 세운 역사인물-조선의 청백리 류관(柳寬) (류정수, 한국학술정보)
  • 국역 유산기 (국립수목원, 한국학술정보)
  • 조선의 옥사 바로 알기 : 1392년에서 1592년까지 (김재영, 한국학술정보)
  • 임진왜란의 흔적.3, 광주·전남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종합편), 하 (권혁성,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종합편), 상 (권혁성, 한국학술정보)
  •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 (김종명, 한국학술정보)
  • 한국 향토 목각의 기초 : 장승, 솟대 배우기 (목영봉,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5-2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5-1 (권정,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4-2 (권정,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4-1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영인본 늑당 윤제규 선생문집 (서정기, 윤제규, 한국학술정보)
  • 국역 늑당 윤제규 선생문집 (윤제규, 서정기, 한국학술정보)
  • 영인본 海平 尹氏世乘(영인본 해평 윤씨세승) (윤제규, 서정기, 한국학술정보)
  • 국역 海平 尹氏世乘 (서정기, 윤제규, 한국학술정보)
  • 항공독립운동과 임도현 비행사 (이윤식, 한국학술정보)
  • 존재 위백규와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 存齋와 茶山의 生涯와 思想硏究 (위정철, 한국학술정보)
  • 국보 제230호 송이영의 혼천시계 : 340여 년 만에 다시 숨 쉬는 우리의 과학문화재 (김상혁,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3-3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3-2 (권정,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3-1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망국과 흥국 : 19세기 말 한국과 일본 (이도형, 한국학술정보)
  • 한국사의 시공 : 전근대 우리 역사의 사료와 해석 (박진철,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2-3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남명학의 새 연구, 하 (오이환, 한국학술정보)
  • 남명학의 새 연구, 상 (오이환,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2-2 (권정,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2-1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임진왜란의 흔적.1, 부산·경남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 하도·낙서·천부삼인.下 (김윤식, 유한철, 한국학술정보)
  • 하도·낙서·천부삼인.上 (김윤식, 유한철, 한국학술정보)
  • 미국 국립공원제도의 역사 (문성민, 한국학술정보)
  • 규장각지.下 (이세열, 한국학술정보)
  • 규장각지.中 (이세열, 한국학술정보)
  • 규장각지.上 (이세열,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1-3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1-2 (권정,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죽도기사, 1-1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안용복과 원록각서 (오오니시 토시테루, 권정, 한국학술정보)
  • 개정판|죽도문담 (권오엽, 오오니시 토시테루, 한국학술정보)
  • 독도 영유권 분쟁 :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이진호, 한국학술정보)
  • 한미동맹 갈등사 : 70년대를 중심으로 (황수현, 한국학술정보)
  • 무신 장보고 천년의 꿈 : 일본 무술의 원류를 밝히다 (송일훈, 한국학술정보)
  • 죽도 및 울릉도 竹島及鬱陵島 (일본고문서 독도자료총서 04) (오쿠하라 헤키운, 권오엽, 한국학술정보)
이전 페이지
  • 110페이지
  • 111페이지
  • 112페이지
  • 113페이지
  • 114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