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멋쟁이 신사
      발터 하젠클레버 외 1명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하젠클레버는 프랑스 연극의 영향 아래 이 결혼 사기극을 집필했다. <멋쟁이 신사>는 <아들>과 더불어 하젠클레버의 가장 성공한 작품으로 오늘날까지 무대에 많이 오르고 있다. 성공한 기업인 콤파스 회장은 결혼하지 않고 빈둥대며 살아가는 딸 리아에게 결혼을 강요하고, 이에 리아는 신문에 신랑감을 찾는 광고를 내자고 제안한다. 결혼을 빙자해서, 소위 사랑을 미끼로 돈을 버는 결혼 사기꾼 뫼비우스가 이에 달려든다. 그러나 뫼비우스는 리아를 진심으로 사

      소장 10,240원

      •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모리스 마테를링크 외 1명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191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상징주의를 대표하는 작가이자 ‘침묵과 죽음, 불안의 극작가’로 불리는 마테를링크의 초기작이다. 운명적인 사랑으로 인한 죽음이라는 뻔한 스토리는 마테를링크의 손에 의해 신비의 색채를 띤다. 보이지 않는 운명의 힘, 그리고 현실 너머의 세계를 느끼게 하는 그의 극은 후대의 초현실주의자들과 특히 베케트의 부조리극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소장 10,240원

        • 거울인간
          프란츠 베르펠 외 1명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프란츠 베르펠의 3부작 드라마. 괴테의 <파우스트>를 연상시켜 표현주의 <파우스트> 극이라 불렸다. 국내에는 처음 번역, 소개된다. 베르펠의 극작품 중에서 가장 흥미로운 드라마로 상징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으로 가득 차 있다. 그가 심혈을 기울여 쓴 최초의 본격적인 대규모 드라마로서 동시대 비평가들에 의해 주제와 형식 면에서 표현주의적 파우스트 드라마로 간주되었다. 인간 자아가 실존적 자아와 허상적 자아로 분열되어 갈등을 일으키는 내용으로 베르펠

          소장 14,320원

          • 소리굿 아구 / 공장의 불빛
            김민기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5.0(1)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이종구, 김지하, 김민기가 공동 창작한 극장 공연 최초 마당극 <소리굿 아구>와 1970년대 한국 노동 운동 현실을 노래한 <공장의 불빛>을 엮었다. <소리굿 아구>는 기생 관광을 풍자한 작품이다. 이종구, 김지하, 김민기가 공동 창작했으며, 1974년 3월 이종구 작곡 발표회에서 가무

            소장 8,600원

            • 식민지에서 온 아나키스트
              김의경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8장으로 구성된 재판극 형식의 역사극이다. 식민지 시대 일본에 거주했던 실제 인물 박열의 천황 암살 음모를 취조하는 재판 과정을 다루었다. 작품은 관동대지진을 배경으로 체포된 조선인 중 천황 암살 미수범으로 체포된 박열을 취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민족의 차이를 뛰어넘어 박열을 지지했던

              소장 8,600원

              • 서안화차
                한태숙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3.5(2)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11장으로 구성된 기억극 형식의 희곡이다. 동성애를 소재로 현대인, 특히 마이너리티의 불안정함과 병적 애착을, 불멸에 대해 집착했던 진시황의 욕망과 병치해 조명했다. 화교 출신인 주인공 상곤은 자신이 사랑했던 찬승을 살해한 뒤 서안 진시황릉으로 가는 기차 안에서 과거를 회상한다. 어머니

                소장 6,300원

                •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주인석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극단 연우무대가 황지우 시를 연극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서사극 기법을 활용해 1980년대 현실을 비판했다. 분단과 광주민주화운동의 상처를 시각적 이미지와 다양한 놀이 형식을 통해 드러낸 점이 특징이다. 서장을 포함해 총 11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에서 각 장면은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소장 6,300원

                  • 사팔뜨기 선문답
                    윤영선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1994년 발표된 윤영선의 작가, 연출가 등단작이다. 극단 연우가 공연했다. 작가의 분열된 의식, 내면의 목소리를 상징하는 이미지 1, 2, 3, 4, 5, 6이 등장해 장면에 따라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섯 개의 이미지 유형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이미지 5’

                    소장 6,300원

                    • 심봉사
                      채만식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3.0(1)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고전소설 ≪심청전≫을 각색한 작품으로, 1936년에 집필한 것과 이를 개작해 1947년에 ≪전북공론≫에 발표한 것 두 종류가 있다. 두 작품 모두 심청이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공양미 삼백 석을 대가로 인당수에 빠진다는 ≪심청전≫의 기본 플롯을 차용했다. 하지만 원작의 신화적이고

                      소장 10,200원

                      • 빵
                        오태영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빵 경연대회 심사위원들의 부당한 권력 행사를 풍자한 작품이다. 1984년 극단76이 초연했다. 서울연극제가 8회를 맞이한 해에 발표된 작품으로, 연이어 연극제에 낙선한 작가와 작품 속 빵집 주인이 처한 상황이 매우 유사하다. 그 때문에 서울연극제 경연 심사를 빗댄 것이라고 주류 연극계와

                        소장 6,300원

                        • 여행
                          윤영선지만지드라마예술/문화
                          0(0)

                          <지만지한국희곡선집>은 개화기 이후부터 현대까지 문학사와 공연사에 길이 남을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희곡 연구와 창작을 돕고 공연에 활기를 불어넣기를 기대합니다. 초등학교 동창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모인 중년 남성들의 1박 2일 여정을 그린 작품이다. 사실주의 작품은 통일된 주제 의식을 나타내기 위해 플롯을 질서 있게 짜지만, 이 작품은 장마다 느슨하게 이어지는 두서없는 대화를 통해 일상을 산만하고 즉흥적으로 묘사한다. 양훈, 대철, 태우, 만

                          소장 6,300원

                        • 불꽃의 여자 나혜석 (유진월, 지만지드라마)
                        • 열하일기 만보 (배삼식, 지만지드라마)
                        • 불가불가 (이현화, 지만지드라마)
                        • 오늘의 책은 어디로 사라졌을까 (김재엽, 지만지드라마)
                        • 웃어라 무덤아 (고연옥, 지만지드라마)
                        • 방황하는 별들 (윤대성, 지만지드라마)
                        • 미친 극 (최치언, 지만지드라마)
                        • 작은할머니: 그 여자의 소설 (엄인희, 지만지드라마)
                        • 모닥불 아침 이슬 (윤조병, 지만지드라마)
                        • 돐날 (김명화, 지만지드라마)
                        • 농토 (윤조병, 지만지드라마)
                        • 청춘예찬 (박근형, 지만지드라마)
                        • 출세기 (윤대성, 지만지드라마)
                        • 오장군의 발톱 (박조열, 지만지드라마)
                        • 너무 놀라지 마라 (박근형, 지만지드라마)
                        • 남한산성 (김의경, 지만지드라마)
                        • 남자충동: 주먹 쥔 아들들의 폭력 충동 (조광화, 지만지드라마)
                        • 날 보러 와요 (김광림, 지만지드라마)
                        • 피고 지고 피고 지고 (이만희, 지만지드라마)
                        • 하느님 비상이에요 (박재서, 지만지드라마)
                        • 하늘만큼 먼 나라 (노경식, 지만지드라마)
                        • 꿈속의 꿈 (장성희, 지만지드라마)
                        • 길 떠나는 가족 (김의경, 지만지드라마)
                        • 금희의 오월 (박효선, 지만지드라마)
                        • 해무 (김민정, 지만지드라마)
                        • 그것은 목탁 구멍 속의 작은 어둠이었습니다 (이만희, 지만지드라마)
                        • 구멍의 둘레 (정우숙, 지만지드라마)
                        • 혈맥 (김영수, 지만지드라마)
                        • 격정만리 (김명곤, 지만지드라마)
                        • 황금산 / 황혼 (송영, 지만지드라마)
                        • 405호 아줌마는 참 착하시다 (박상현, 지만지드라마)
                        • TAXI, TAXI (김상수, 지만지드라마)
                        • 영화적 순간 (최인규, 커뮤니케이션북스)
                        • 영화의 이해 (민경원, 커뮤니케이션북스)
                        • 인쇄 광고 타이포그래피 (김동빈, 커뮤니케이션북스)
                        • 영화 제작 기획서 쓰는 법 (유세문, 커뮤니케이션북스)
                        • 영화 산업 (김미현, 커뮤니케이션북스)
                        • 시나리오 쓰기 (송낙원, 커뮤니케이션북스)
                        • 채널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심형근, 커뮤니케이션북스)
                        • 스포츠 문화사 (이종성, 커뮤니케이션북스)
                        • 프로덕션 디자이너 (심형근, 커뮤니케이션북스)
                        • 한국 영화 역사 (김미현, 커뮤니케이션북스)
                        •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이정화, 커뮤니케이션북스)
                        •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진경아, 커뮤니케이션북스)
                        • 디자인 기획과 전략 (김문기, 커뮤니케이션북스)
                        • 다큐멘터리 스타일 (오원환, 커뮤니케이션북스)
                        • 공간형 콘텐츠 (태지호, 커뮤니케이션북스)
                        • 축제 이론 (류정아, 커뮤니케이션북스)
                        • 중국·홍콩·타이완 영화 (박희성, 커뮤니케이션북스)
                        이전 페이지
                        • 64페이지
                        • 65페이지
                        • 66페이지
                        • 67페이지
                        • 68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