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근대 한국미의 정체성
      이난수학고방역사
      0(0)

      『근대 한국미의 정체성』은 〈개화의 물결과 미의식의 발견〉, 〈주체의 탄생과 근대적 미론의 모색〉, 〈하나의 조선과 두개의 미〉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소장 15,000원

      • 근대 중국의 토지 소유권과 사회 관행
        이원준 외 1명학고방역사
        0(0)

        ‘근.현대 중국의 사회경제 관행’을 살펴보는 데에 있어서, 사실 토지 소유권 문제만큼 적절한 주제도 별로 없을 것이다. 20세기 초 이래 중국에서는 토지 소유권의 ‘근대화’(또는 ‘서구화’)를 위한 일련의 시도가 이루어졌다. 청 말 신정(新政) 시기의 법제 개혁 과정에서 처음으로 근대적 민법 체계의 도입을 위한 준비가 진행되었고, 이때 근대적 (토지) 소유권의 도입을 위한 준비도 함께 이루어졌다. 청조(淸朝)의 이러한 시도는 비록 준비에 그쳤지

        소장 25,000원

        • 근대 중국의 종교·결사와 권력
          쑨장 외 2명학고방역사
          0(0)

          중국과 관련된 역사서술을 보면, 언젠가부터 ‘결사’란 두 글자 앞에는 ‘비밀’이란 접두어가 습관처럼 따라붙게 되었다. 그렇게 되면서 비밀결사는 줄곧 반체제ㆍ반사회적인 것으로 치부되어왔다. 사실, 비밀결사를 글자 그대로 해석한다면, 그 종지, 조직, 의식 등은 외부세계에 알려질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어떻게 그 존재를 알게 되었을까? 내가 보기에 ‘비밀’은 일종의 은유이다. 중국의 정치와 사회를 ‘균질화’하려는 의도가 바로

          소장 39,000원

          • 근대 인천화교의 사회와 경제
            송승석 외 1명학고방역사
            0(0)

            이 책은 ‘인천화교협회소장자료’를 활용해 인천화교의 형성과정과 사회단체, 인천화상의 주요한 수출입상품, 1930년대 중반 인천화교의 경제, 인천화교와 제2차 배화사건 및 중일전쟁, 해방초기 인천화교사회와 경제의 변화 등을 분석함으로써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근대시기 인천화교의 사회와 경제실태를 규명했다.

            소장 28,000원

            • 그래도 살아야 했다
              왕용진 외 2명학고방역사
              0(0)

              '난징국민정부 외교부 시절', '조선영사관 시절'. '소련 전범수용소 시절', '중국으로의 귀환', '가족의 품으로' 순서대로 당시 시대의 내용이 담겨 있다.

              소장 32,000원

              • 관상학 네비게이션
                오서연학고방역사
                0(0)

                "관상학이 요즈음 새로운 학문으로 뜨고 있다. 과거엔 관상쟁이에서 이젠 관상학 박사들이 대학원의 정규과정에서 배출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과거의 신비주의적 관상론에서 오늘날 신비주의를 넘어서 합리적인 분석이 수요자를 설득시키고 있다. 신비주의적 관상학의 개념은 중세적 사고였다면 앞으로는 합리적 관상학이 대세를 이룰 것이며, 그것은 관상학을 현실의 수요 차원에서 학술적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는 뜻이다. 그동안 관상은 운명을 추론하는 것에 한정하는 성

                소장 47,000원

                • 고전문학과 인물 형상화
                  하경숙학고방역사
                  0(0)

                  『고전문학과 인물 형상화』는 우리 고전문학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의 형상화 방식과 후대 변용을 살피는 글로 이루어져 있다. 단지 과거의 것으로 치부하고 가깝게 느끼기 어려웠던 고전문학은 여전히 다양한 방법으로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기반하여 고전문학 속에 형상화된 인물과 그 특질을 점검하고 살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소장 12,000원

                  • 고려사 악지
                    신현규학고방역사
                    0(0)

                    『고려사 악지』를 음악 중심으로 국역한 책.『고려사 악지』는 조선조 세종 때 정인지 등이 왕명으로 편찬한 의 가요편이다. 고려시대에 공연된 음악과 그 가사, 춤에 관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아악이나 당악에 관한 기록은 고려시대의 음악과 제향ㆍ연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남아 있는 기록이 자세하지 않은 당송시대의 중국 음악과 송시대의 사문학을 연구하는 데에도 소중한 자료이다.

                    소장 25,000원

                    • 경항대운하 유역 국가 유산 및 생태회랑
                      유공견 외 4명학고방역사
                      0(0)

                      이 책은 경항대운하 유역 국가 유산 및 생태회랑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경항대운하 유역 국가 유산 및 생태회랑에 대한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소장 50,000원

                      • 경주 옥산서원의 문화유산
                        민관동 외 2명학고방역사
                        0(0)

                        경주 옥산서원의 문화유산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소장 37,000원

                        • 경전석사
                          왕인지 외 1명학고방역사
                          0(0)

                          《경전석사》는 청나라의 대학자 왕인지(王引之)의 저작이다. 《경전석사》는 유가경전을 포함한 서주(西周)에서 한대(漢代)에 이르는 60여종의 문헌과 비석에 보이는 허사(虛詞) 160개의 용법을 풀이했다. 본문에 인용된 예문은 2691개이고, 주석에 인용된 예문은 245개로, 도합 2936개의 예문이 인용되었다. 《경전석사》의 가장 큰 특징은 160개의 허사를 성모에 맞추어 배열한 것이다. 배열순서는 1권에서 4권까지는 후음(喉音), 5권은 아음(

                          소장 28,000원

                        • 거창가 제대로 읽기 (조규익, 학고방)
                        • 가헌사 5 (신기질, 서성, 학고방)
                        • 가헌사 4 (신기질, 서성, 학고방)
                        • 가헌사 3 (신기질, 서성, 학고방)
                        • 가헌사 2 (신기질, 서성, 학고방)
                        • 가헌사 1 (신기질, 서성, 학고방)
                        • 4차 산업혁명의 도전 인문학의 응전 (김종규, 반성택, 학고방)
                        • 4차 산업혁명과 인문적 소프트파워 (김종규, 박종보, 학고방)
                        • (譯註) 儀禮注疏2 (정병섭, 학고방)
                        • (譯註) 儀禮注疏1 (정병섭, 학고방)
                        • 언어접촉을 통해 본 중국어 외래어 (사유위, 김태은, 학고방)
                        • 시민과 함께 하는 중국 인문학 (김민지, 김주아, 학고방)
                        • 嚴氏孝門淸行錄2 (최길용, 학고방)
                        • 嚴氏孝門淸行錄1 (최길용,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8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7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6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5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4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3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2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계간) 삼천리 해제집1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학고방)
                        • 이매창, 순수 서정으로 빛나다 (이화형, 푸른사상)
                        • 명인 김수악 (차옥수, 한국문화사)
                        • 가락국기 (서정목, 글누림출판사)
                        • 신미양요 (신효승, 글누림출판사)
                        • 이노 다다타카 : 일본을 측량한 사나이 (도몬 후유지, 이용화, 논형)
                        • 이성기·용기 형제와 남원 3·1독립만세의거 (이태룡, 광문각)
                        • 일제침략기 의병장 73인의 기록 「제1권 경인지역」 (이태룡, 광문각)
                        • 일제침략기 의병장 73인의 기록 「제2권 영남지역」 (이태룡, 광문각)
                        • 일제침략기 의병장 73인의 기록 「제4권 호남지역」 (이태룡, 광문각)
                        • 건건록 일본의 청일전쟁 외교비록 (무쓰 무네미쓰, 이용수, 논형)
                        • 잊혀진 이름, 잊혀진 역사 (김재원, 이숭희, 푸른사상)
                        • 리처드 닉슨 (김형곤, 한올출판사)
                        • 한국전쟁 체험담 연구 (신동흔, 김경섭, 도서출판 박이정)
                        • 다다 혁명 운동과 마하바라타 (정상균, 학고방)
                        • 오달진제주 민요로 흐르다 (진관훈, 학고방)
                        • 게사르전 탕카와 서유기 (나선희, 학고방)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Ⅱ - 충북 (중앙문화재연구원, 진인진)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Ⅲ - 충남Ⅰ:연기(세종) (중앙문화재연구원, 진인진)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Ⅲ - 충남Ⅱ:천안 (중앙문화재연구원, 진인진)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Ⅲ - 충남Ⅲ:아산 (중앙문화재연구원, 진인진)
                        • 강원도 암각문 1 (해동암각문연구회, 홍순석, 한국문화사)
                        • 발해의 고분 문화 III_북한,연해주 (중앙문화재연구원, 진인진)
                        • 심행일기(瀋行日記) (이준, 보고사)
                        • 북행일기(北行日記) (나덕헌, 보고사)
                        • 후금 요양성 정탐서(後金遼陽城偵探書) (정충신, 보고사)
                        • 토역일기(討逆日記) (민인백, 보고사)
                        • 괘일록(掛一錄) (이조민, 보고사)
                        이전 페이지
                        • 144페이지
                        • 145페이지
                        • 146페이지
                        • 147페이지
                        • 148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