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괘일록(掛一錄)
      이조민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윤원형의 사위 이조민이 중종 때부터 1600년대 초반까지의 크고 작은 정치적 사건을 서술하면서 붕당의 주도권 확보 일환으로 빚어진 정여립의 기축옥사도 아울러 서술한 야사록을 번역하고 주석한 것이다. 또한 이조민에 대한 작가론적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월사 이정귀의 글을 인용하여 참고자료로 덧붙여 놓았다. 〈괘일록〉의 현전 문헌상 가장 이른 시기의 것과 가장 늦은 시기의 것으로 생각되는 자료를 이 책의 말미에 영인 자료

      소장 23,000원

      • 북천일록(北遷日錄)
        정충신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금남군 정충신이 백사 이항복을 수행하며 적은 일기로서 이른바 유배일기를 번역하고 주석한 것이다. 곧 이항복이 광해군의 인목대비 폐모를 극력 반대하는 헌의를 올린 것으로 인하여 죄를 입고 북청으로 유배 가는 길을 직접 따르며 그곳에서의 유배생활을 하는 스승 이항복을 수행하였고, 유배지에서 죽은 스승의 유해를 운구해 포천에 안장하기까지의 일기가 바로 〈북천일록〉이다. 1617년 11월 1일부터 1618년 8월 7일까지, 백사가 지녔던 충의

        소장 25,000원

        • 선양정 진사일기(善養亭 辰巳日記)
          정희맹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선양정 정희맹이 임진왜란 때 전라남도 영광에서 겪은 것들을 기록한 일기를 번역한 것이다. 그의 문집 『선양정문집』 권3 〈잡저〉에 ‘일기’로만 되어 있으나, 임진년(1592) 4월 13일부터 갑오년(1594) 1월 3일까지 기록된 것을 감안하여 ‘선양정 진사일기’로 역주자가 명명한 것이다. 약 20개월 동안, 그가 영광성에서 생활한 과정을 비롯하여 전라도 의병의 다른 지역 활동 상황, 조정의 대처, 헛소문에 놀라는 민심, 의병의 모병

          소장 17,000원

          • 양대박 창의 종군일기(梁大樸倡義從軍日記)
            양경우 외 1명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청계도인 양대박이 임진왜란 때 전라북도 남원에서 의병을 일으킨 사실 등을 두 아들이 부친을 따라 종군하며 기록한 일기를 번역하였다. 『양대사마실기』 권1 〈창의〉에 ‘종군일기’로 된 부분이다. 임진년 4월 17일부터 7월 10일까지, 양대박이 두 아들 양경우와 양형우 등과 함께 전라북도 임실의 운암에서 왜적을 대파한 것, 이어 전주에 이르렀지만 과로로 인해 병이 생겨 집에 돌아와 죽기까지의 행적 등이 기록된 것이다.

            소장 17,000원

            • 지헌 임진일록(芝軒 壬辰日錄)
              정사성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지헌 정사성이 임진왜란 때 경상북도 경주의 집경전 참봉으로서 태조 이성계 어진을 가지고 피란한 사실을 기록한 일기를 번역한 것이다. 『지헌집』 권3 〈잡저〉에 수록된 32면 정도의 ‘임진일록’으로 된 부분이다. 1592년 4월 13일부터 7월 17일까지의 전란 상황을 기록한 것인데, 그 이후의 기록도 있었으나 일실되었다. 그렇더라도 임진왜란이 일어나 부산 및 경상남도 일대가 함락되면서 정사성이 경주의 집경전에 있던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소장 14,000원

              • 성재 용사실기(省齋 龍蛇實紀)
                고상증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성재 고상증이 임진왜란 때 경상북도 문경에서 의병진에 직접 참여한 활동과 보고들은 것들을 기록한 일기를 번역하였다. 1592년 4월 12일부터 1598년 12월 12일까지의 일기로, 매일매일 기록한 경우도 있지만 때로는 한 달에 하루나 이틀만 기록한 경우도 있다. 동래성의 침략부터 도성과 평양의 함락과 수복 등 전쟁의 진행 상황, 관군과 의병의 패전과 승전 소식, 상주와 문경에서의 전투 상황과 결과, 왜군의 만행 등이 생생하게 기록되어

                소장 14,000원

                • 가휴 진사일기(可畦 辰巳日記)
                  조익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경북 상주 출신인 가휴 조익이 임진왜란 때 속리산을 중심으로 한 충보군에 직접 참여한 활동과 보고들은 것들을 기록한 일기를 번역한 것이다. 조익은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어머니를 모시고 속리산으로 피란하였다. 하지만 1592년 8월 16일에 노대하 ? 임창원 등과 함께 궁수 10여 명을 모아 속리산에서 창의하고서 사담 김홍민을 대장으로 추대한 뒤, 그는 참모와 장서를 겸하며 충보군을 조직하여 왜군과 직접 전쟁을 치르기도 하였고, 군량

                  소장 28,000원

                  • 월파 류팽로 임진창의일기(月波 柳彭老 壬辰倡義日記)
                    미상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월파 류팽로가 임진왜란 당시 전라남도 옥과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남원에서 창의한 이종 4촌형 양대박과 더불어 고경명의 막하에 들어가 근왕병으로서 도성을 수복하고자 북상하다가 금산 전투에서 전사하게 되었던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일기를 번역하였다. 이 일기는 류팽로의 문집으로 전 3권 1책인 『월파집』 권3에 수록되어 있다. 이 일기에서 류팽로를 지칭할 때면 공이라 일컫고 있는바 원저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글이다. 이 일기는 류팽로가

                    소장 18,000원

                    • 만휴 황귀성 난중기사(晩休 黃貴成 亂中記事)
                      황귀성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만휴 황귀성이 임진왜란 당시 도체찰사 류성룡의 막하에 들어가 7년간 좌막으로서 겪었던 일을 기사체 형식으로 기록한 〈난중기사〉를 번역한 것이다. 황귀성 〈난중기사〉의 위작 시비와 관련된 글을 있는 그대로 번역하여 싣고서, 오늘날 관점에서 다시 한번 온전히 짚어보고자 했다. 실기 문헌은 경험과 전언의 적실한 기록인 것으로만 그 자체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할 수 있지만, 문헌 전재의 흐름도 이제는 관심을 가져야 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소장 14,000원

                      • 청강 조수성 병자거의일기(淸江 曺守誠 丙子擧義日記)
                        조욱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청강 조수성이 병자호란 당시 전라남도 화순에서 의병을 일으켜 진군하여 청주에 이르렀다가 적과 화의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귀향하기까지의 과정을 상세하게 기록한 일기를 번역하였다. 이 일기는 조수성이 1636년 12월 25일 인조가 반포한 교문을 보고 거의격문을 이웃의 여러 고을로 전하는 것에서부터, 의병을 일으켜 1637년 2월 4일 청주에 이르렀다가 인조가 남한산성에 나와 청나라 태종에게 굴복하고 강화했다는 소식을 접한 뒤 귀향하기까지

                        소장 17,000원

                        • 추포 황신 일본왕환일기(秋浦 黃愼 日本往還日記)
                          미상보고사역사
                          0(0)

                          이 책은 추포 황신이 임진왜란의 와중에 1596년 명나라 책봉사 양방형과 심유경을 동행한 배신으로서 겪었던 일을 기록한 일기를 번역하였다. 8월 3일부터 12월 9일까지 기록한 것으로서 윤 8월 5일자만 빠진 153일간의 사행 일기이다.

                          소장 24,000원

                        •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1 (중앙문화재연구원, 진인진)
                        • 고구려·발해의 고분 문화 - 증보편- (중앙문화재연구원, 진인진)
                        • 16세기 국어 활용형 사전 (이진호, 이수진, 한국문화사)
                        • 『삼국유사』 다시 읽기_12 (서정목, 글누림출판사)
                        • 이순신의 일기 : 국보 난중일기 해제, 초역주해 및 원문 (박혜일, 최희동, 북코리아)
                        • 캄보디아 설화 2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2 | 건국대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강새미, 김민수, 북코리아)
                        • 베트남 설화 2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5 | 건국대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강새미, 김민수, 북코리아)
                        • 중국 설화 3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9 | 건국대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강새미, 김민수, 북코리아)
                        • 인도·네팔 설화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13 | 건국대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강새미, 김민수, 북코리아)
                        • 러시아·중앙아시아 설화(다문화 구비문학대계 15 | 건국대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강새미, 김민수, 북코리아)
                        • 세계의 문화와 풍속 (이야기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17 | 건국대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강새미, 김민수, 북코리아)
                        • 한국 이주내력 및 생활담 (다문화 구비문학대계 20 | 건국대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강새미, 김민수, 북코리아)
                        • 합동성의 미래 (조한규, 북코리아)
                        • 한국 근대 기행시 연구 (정수연, 한국문화사)
                        • 진주문인 (강희근, 정장화, 한국문화사)
                        • 중국영화의 인식과 담론 2 (이종철, 박성배, 한국문화사)
                        • 국역 사의(士儀) 1 (허전, 보고사)
                        • 국역 사의(士儀) 2 (허전, 보고사)
                        • 국역 사의(士儀) 3 (허전, 보고사)
                        • 항일무장투쟁과 여성독립운동가 (심철기, 이지원, 역사공간)
                        • 국내 사회운동과 여성독립운동가 (김정인, 정종현, 역사공간)
                        • 3·1 운동과 세브란스 독립운동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엮음, 역사공간)
                        • 조선전기의 의료제도와 의술 (이경록, 역사공간)
                        • 일본의 군사적 침략과 한국주차군 (조건, 역사공간)
                        • 군대 해산과 한국주차군의 독립운동 탄압 (김영숙, 역사공간)
                        • 조선군의 기지 구축과 무단지배 (김영숙, 안자코 유카, 역사공간)
                        • 중일전쟁과 한반도 병참기지화 (김윤미, 역사공간)
                        • 일제 말기 조선군의 전시동원과 식민지배 (조건, 역사공간)
                        • 아시아태평양전쟁과 조선군의 동원·개편·해체 (김영숙, 역사공간)
                        • 한반도주둔일본군 기초 사료 해제집 (한반도주둔일본군연구팀, 역사공간)
                        • 국가정체성과 한중일 관계 (박흥선, 양운철, 역사공간)
                        • 세브란스 학생운동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역사공간)
                        • 바우길, 그 길을 걷다 (신두호, 신두호, 역사공간)
                        • 북경의 붉은 의사들 (20세기 청년 의사들의 도시 건설과 위생실험) (신규환, 역사공간)
                        • 해관 오긍선 (한국 근대의학의 선구자) (해관 오긍선선생 기념사업회, 역사공간)
                        • 한국사 키워드 배경지식 (이경수, 역사공간)
                        • 세브란스 독립운동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역사공간)
                        • 러시아 외교정책의 이해 (대립과 통합, 푸틴의 길) (고재남, 역사공간)
                        • 한국독립운동과 역사인식 (박걸순, 역사공간)
                        • 근대의학과 의사 독립운동 탐방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사학과, 역사공간)
                        • 동아시아 표해록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아시아문화연, 역사공간)
                        • 독도, 천년의 노래 (최동호, 도서출판 선인)
                        • 김만덕의 실천적 삶과 제민정신 연구 (이정화, 도서출판 보고사)
                        • 개항기 인천의 문화접변과 시각적 모더니티 (강성우, 도서출판 보고사)
                        • 한국 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도서출판 역사공간)
                        • 한일관계사 1965-2015 Ⅱ 경제 (김도형, 아베 마코도 외, 도서출판 역사공간)
                        • 한일관계사 1965-2015 III 사회,문화 (이종구, 이소아키 노리요 외, 도서출판 역사공간)
                        • 자유 독립을 위한 밀알, 신석구 (김승태, 도서출판 역사공간)
                        • 전인적인 독립운동가 한용운 (김광식, 도서출판 역사공간)
                        이전 페이지
                        • 145페이지
                        • 146페이지
                        • 147페이지
                        • 148페이지
                        • 149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