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문화문고018 당시선
      김영죽 외 2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4.3(3)

      당시唐詩, 동아시아 문학의 꽃 ‘한시漢詩’는 전통적으로 동아시아 문학의 꽃이었다. 그중에서도 시문학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던 당唐나라 때의 시, 즉 ‘당시唐詩’는 한시의 대명사로 일컬어지며, 이제는 인류의 위대한 문화유산이 되었다. 이전 시기 중국의 혼란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룬 당나라 때의 경제적 번영과 사상적 자유 등을 기반으로, 당시는 내용이 더욱 깊고 풍부해졌을 뿐만 아니라, 형식과 기교면에서도 완숙한 경지에 이르렀다. 게다가 이백李白, 두보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17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도교
        이강수전통문화연구회인문
        5.0(1)

        동아시아 민중의 종교, 도교道敎를 경전經典과 해설로 읽다 동아시아에서 무병장수無病長壽를 기원하는 문화의 기저基底에는 도교 문화가 잠재해 있다. 즉 우리 문화에 있어 무병장수, 수복강녕壽福康寧에 대한 염원은 바로 신선神仙을 모델로 한 것이다. 중국의 쿵푸, 기공氣攻 수련, 단약丹藥의 복용은 모두 신선술神仙術에서 나온 것이다. 도교 사상은 우리나라 삼국三國시대부터 수용되었으며, 유교儒敎 시대인 조선朝鮮시대에도 민간신앙과 결합하여 기복신앙祈福信仰으로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13 한문문법
          이상진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한문고전漢文古典 독해를 위한 기초체력 키우기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즉, 같은 글을 백 번 읽으면 문장의 뜻이 저절로 이해된다는 뜻이지만, 백 번이나 읽어야 글이 이해된다는 점에서 한문의 난해성을 가장 적실히 지적하는 문구文句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한문의 난해성 때문에 ‘한문에는 문법文法이 없다.’는 구호가 등장하기도 한다. 전통문화연구회에서 나온 ≪한문문법漢文文法≫은 한문고전이 펼쳐내는 난해함의 바다를 헤엄치기 위한 기초체력을 형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12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이슬람
            김영경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이슬람>편의 문고화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는 전통문화연구회에서는 2001년 세계 7대 종교-그리스도교, 도교道敎, 동학東學, 불교佛敎, 유교儒敎, 이슬람, 힌두교-에 대한 이해, 종교간의 평화와 번영을 목적으로 중견⋅원로 종교학자들이 비교종교학적 관점에서 주제별 항목을 설정하고 7년간 노력을 경주한 끝에 출간되었으며, 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본서는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 중 <이슬람>편을 문고화한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11 대한민국 국무총리
              이재원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우리나라 국무총리에 대한 이야기 대한민국 건국 이후 대통령은 이승만李承晩부터 박근혜朴槿惠까지 모두 11명에 이르지만 국무총리 반열班列에 오른 사람은 몇 명이나 될까? 국무총리 42명, 국무총리서리 6명, 내각수반 4명 등 모두 52명이지만 총리를 2번 역임한 4명이 있어 모두 48명이 전직 총리 예우를 받고 있다. 그들은 건국 이후 5년 7개월간 국무총리 제도가 없던 기간을 제하면 평균 1년 1개월 남짓 그 직책을 수행했다. 초대 국무총리는 누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08 사소절
                이덕무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5.0(2)

                마음씨 좋은 선비가 들려주는 소소한 예절 이야기 이덕무(1741~1793)의 호號는 아정雅亭 또는 청장관靑莊館이며 조선 정조正祖 때의 실학자이자 문장가이다. 서얼 출신인데다 집안 또한 가난하여 학업을 닦고 사회에 진출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나, 타고난 온화함과 겸손함 그리고 배움에 대한 열정으로 학문에 정진하여 정조에 의해 검서관檢書官으로 발탁되었다. 그는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은 물론 기문이서奇文異書에 이르기까지 통하지 않은 바가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09 명설과 자설
                  신용호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이름과 자字, 인생행로의 길잡이 ≪명설名說과 자설字說≫은 우리 선현들이 자제子弟나 지인知人 또는 제자弟子들에게 이름과 자字를 지어주면서, 그 이름과 자의 의미를 밝히고 삶의 자세와 방향을 제시해 준 글들을 모아 현대적으로 번역한 책이다. 사람이 태어나면 이름을 갖게 마련이다. 또한 예전에는 관례冠禮를 행할 때에 이름에 근거하여 자字를 지었다. 태어나면서 갖게된 명名과 성인식을 치르며 지은 자字 속에는 그 사람이 어떤 목표를 가지고 어떻게 살아야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06 목민심서
                    정약용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만약 하늘이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불태워버려도 좋다. 올해 유네스코UNESCO에서는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 탄생 250주년 관련 기념일로 지정하였다. 이번 유네스코 관련 기념일에 선정된 인물은 프랑스의 작곡가인 클로드 드뷔시(탄생 150주년), 장 자크 루소(탄생 300주년), 독일의 작가 헤르만 헤세(사망 50주기) 같은 세계적 위인들로 다산이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 것이다. 다산이 조선 후기 실학實學 사상가로서 사회악을 분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07 고문진보 산문선
                      신용호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0(0)

                      조선시대 문장 연마의 필독서 ≪고문진보古文眞寶≫는 옛 글 중 가장 보배로운 글만을 뽑아 모아둔 책이란 뜻으로, 중국 한漢나라에서부터 남송南宋까지의 명문名文을 뽑아 편집한 책이다. 이는 <전집前集>과 <후집後集>으로 나뉘는데, <전집>은 역대의 시詩를 뽑아 실었고 <후집>은 산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편자에 대해서는 원대元代 황견黃堅으로 추정하고 있지만 그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고문진보≫에는 우리에게 친숙한 제갈량諸葛亮, 왕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05소학
                        박승주 외 1명전통문화연구회인문
                        3.0(1)

                        어린 시절 올바른 습관 형성 동양에서는 인간 사이의 관계를 규정한 용어가 바로 예禮이다. 사람 사이의 관계가 금이 가는 것은 그 절도를 넘고, 남을 침해하거나 업신여기며, 친압親狎하기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친한 사람일수록 일정한 격식은 필요하다. 하지만 절제 있는 행동은 단시간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신의 마음을 절제하고 이를 오랫동안 무젖게 하여 자신의 습관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만 이는 쉽지 않다. 따라서 올바른 습관은 어렸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04 한자한문전통교재
                          조수익 외 1명전통무화연구회인문
                          4.8(4)

                          감성感性과 지식知識의 겸비를 통한 인성人性 완성 이 7종의 교재는 오늘날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한자나 한문에 대한 기초지식 습득에 도움을 주며, 요즘 교육에서 중시하는 감성의 함양과 인격人格 형성에 유익하다. 이 한 권의 책 속에는 요즘 잊혀져가고 있는 우리의 정서情緖와 한평생 좌우명座右銘으로 삼을 수 있는 문장이 한아름 담겨 있다. 그 문장은 담박淡泊하면서 청허淸虛한 기운이 깃들어 있으며, 자신을 성찰할 단초短草들이 피어 있으니, 우리

                          소장 3,000원

                        • 문화문고003 100자에 담긴 한자문화 이야기 (김경수, 전통문화연구회)
                        • 문화문고001 논어 대학 중용 (조수익, 박승주, 전통문화연구회)
                        • 황제내경영추 (홍원식, 전통문화연구회)
                        • 효경대의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해동소학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고문진보 후집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주역전의 상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서경집전 상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시경집전 하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시경집전 상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개정판 | 대학중용집주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개정판 | 맹자집주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순자집해1 (송기채, 전통문화연구회)
                        • 심경부주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통감절요1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3 (주희, 이규옥,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2 (주희, 신승운, 전통문화연구회)
                        • 자치통감강목1 (주희, 신승운, 전통문화연구회)
                        • 대학연의2 (진덕수, 신승운, 전통문화연구회)
                        • 대학연의1 (진덕수, 신승운, 전통문화연구회)
                        • 주역정의2 (성백효, 신상후, 전통문화연구회)
                        • 주역정의1 (성백효, 신상후, 전통문화연구회)
                        • 예기정의-중용 대학 (공영달, 정현, 전통문화연구회)
                        • 논어주소2 (하안, 형병, 전통문화연구회)
                        • 논어주소1 (하안, 형병, 전통문화연구회)
                        • 상서정의2 (김동주, 전통문화연구회)
                        • 사마법직해 (성백효, 이난수,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8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7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6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5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4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3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2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춘추좌씨전1 (정태현, 전통문화연구회)
                        • 장자4 (장자, 전호근, 전통문화연구회)
                        • 장자1 (장자, 전호근, 전통문화연구회)
                        • 예기집설대전1 (신승운, 전통문화연구회)
                        • 근사록집해3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근사록집해2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근사록집해1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고문진보 전집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안씨가훈2 (정재서, 노경희, 전통문화연구회)
                        • 안씨가훈1 (정재서, 노경희, 전통문화연구회)
                        • 당시삼백수3 (송재소, 이철희, 전통문화연구회)
                        • 당시삼백수2 (송재소, 이철희, 전통문화연구회)
                        • 손무자직해 오자직해 (성백효, 이난수,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소식5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 당송팔대가문초 소식4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이전 페이지
                        • 144페이지
                        • 145페이지
                        • 146페이지
                        • 147페이지
                        • 148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