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비상계엄 10권 : 불법의 불법의 불법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10권 불법의 불법의 불법: 윤석열 체포와 국정조사 1·2차 기관보고 (1.14.~1.15.)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상계엄은 “종북 반국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9권 : 검은 사복과 하얀 헬멧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9권 검은 사복과 하얀 헬멧: 비상계엄 및 제주항공 참사 긴급 현안 질의와 백골단 기자회견 (1.9.~1.13.)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8권 :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하지만...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8권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하지만… : 체포영장 집행 시도 무산과 ‘내란죄’ 논란, 한남동 시위 (2025.1.1.-1.9.)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7권 : 비극의 시간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7권 비극의 시간: 한덕수 권한대행 탄핵과 헌법재판관 임명, 윤석열 체포영장 발부 (12.26.~12.31.)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상계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6권 : 입법 독재와 내란 동조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6권 입법 독재와 내란 동조: 헌법재판관 인사청문회와 여야 갈등 (12.23.-12.25.)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상계엄은 “종북 반국가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5권 : 수취인불명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5권 수취인불명: 권한대행 재의요구권 행사와 윤석열 출석요구서 거부 (12.18.~12.22.)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상계엄은 “종북 반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4권 : 끝나지 않은 폭풍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4권 끝나지 않은 폭풍: 한덕수 권한대행 체제 출범과 헌법재판관 임명 논란 (12.15.-12.18.)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상계엄은 “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2권 : 혼돈의 낮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2권 혼돈의 낮: 총리-여당 국정 운영안 발표부터 제18차 국회 본회의까지 (12.08.~12.10.)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상계엄은 “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3권 : 헌정 질서를파괴하는 괴물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3권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괴물: 12·12 대국민 담화와 탄핵 가결 (12.11.~12.14.)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비상계엄은 “종북

                      소장 64,000원

                      • 비상계엄 1권 : 서울의 밤
                        한국학술정보 편집부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국회와 정당 자료로 살펴보는 12·3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사태 제1권 서울의 밤: 비상계엄 선포부터 1차 탄핵 표결 불성립까지 (2024년 12월 3일 ~ 2024년 12월 7일) 2024년 12월 3일 20시 25분경, 윤석열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1979년 이후 45년 만에, 19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는 국회의 잇따른 탄핵 소추와 예산 삭감이 정부 운영을 마비시키려는 시도라며,

                        소장 64,000원

                        • MOROCCO-KOREA COOPERATION: Contemporary Partnership and Future Insights
                          John Gyun Yeol Park한국학술정보정치/사회
                          0(0)

                          This book was launched to celebrate and commemorate our Korea Association for Public Value(KAPV)’s first collaborative initiative with the Moroccan Embassy in Seoul Korea. On December 13, 2024, KAPV hosted a major conference at Seoul National Univers

                          소장 17,600원

                        •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출신 청소년들의 혼란, 꿈과 성장 (전주람, 곽상인, 한국학술정보)
                        • 개발도상국 지하수 개발 (손주형, 한국학술정보)
                        • 국가안보와 국민안보의식 (방정배, 박균열, 한국학술정보)
                        • 소멸 시대의 지역 활성화와 도시 사랑법 (이도형, 한국학술정보)
                        • 북한출신 청소년 및 청년들의 기독교 영성 체험 내러티브 (전주람, 김은희, 한국학술정보)
                        • 가족 제도의 새로운 의미를 찾아서 (고재백, 김미화, 한국학술정보)
                        • 지방자치단체 출연 복지재단이란 무엇인가 (신선웅, 한국학술정보)
                        • 북한이주민과 자기, 돌봄과 회복 (전주람, 신윤정, 한국학술정보)
                        • 한반도 문제 해법 (곽태환, 이승우, 한국학술정보)
                        • 외국인이 마주한 한국인 (노정화, 한국학술정보)
                        • 북한이주민과 일세계 (전주람, 신윤정, 한국학술정보)
                        • 북한이주민과 건강 내러티브 (전주람, 배고은, 한국학술정보)
                        • 북한이주민과 미시환경 (전주람, 곽상인, 한국학술정보)
                        • 북한이주민과 가족문화 (전주람, 손지혜, 한국학술정보)
                        • 북쪽 언니들의 강점 내러티브 (전주람, 곽상인, 한국학술정보)
                        • 명예론 (아이나, 한국학술정보)
                        • 대한민국 언론 자유의 현실 (이정기, 이담북스)
                        • 다음 세대를 위한 남북주민통합 (한기호 외, 한국학술정보)
                        • 북한이주민과 정체성 내러티브 (전주람, 곽상인, 한국학술정보)
                        • 가족과 사회의 고령자 돌봄 (성규탁, 한국학술정보)
                        • 조선족 차세대 학자의 연구 동향과 전망 (한중삼강포럼, 한국학술정보)
                        • 개정판 | 정부규제의 구조와 논리 (김창수, 한국학술정보)
                        • 생태사회와 세계시민의식 (건국대학교 생태기반사회연구소, 한국학술정보)
                        • 코로나-19 시대의 국가와 시민사회 (박재창, 한국학술정보)
                        • 국방부 없는 세계 (고김주희, 한국학술정보)
                        • 사회복지시설의 바람직한 관리 (성규탁, 김범중, 한국학술정보)
                        • 독일 재생에너지 정책과 지속 가능 발전전략 (박상철, 이담북스)
                        • 다문화사회와 이주법제 (서윤호, 최경옥, 이담북스)
                        • 한국재벌과 지주회사체제 : GS와 LS (김동운, 이담북스)
                        • 분명한 전환: 생태적 재지역화 개념, 이론 그리고 모색 (김성균, 이담북스)
                        • 국제사회의 규범과 원리 (지중해지역원, 이담북스)
                        • 글로벌 이주와 초국가적 가족유대 (김혜선, 이담북스)
                        • 행복지수 진단평가 :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행복창조 (권창희, 맹익호, 이담북스)
                        • 글로벌 시민교육론 (김용신, 이담북스)
                        • 중국 재생가능에너지법의 핫이슈 (유향란, 이담북스)
                        • 세계의 환경 : 극복해야 할 인류의 과제 (황유정, 이담북스)
                        • 라틴아메리카의 국제노동이주와 초국가적 공동체 (주종택, 이담북스)
                        • 다문화사회 한국의 사회통합 (김영란, 양기호, 이담북스)
                        • 한국재벌과 지주회사체제 : CJ와 두산 (김동운, 이담북스)
                        • 이동과 정착의 경계에서 : 재한 조선족의 실천전략과 정체성 (방미화, 이담북스)
                        • 다문화 시대의 도전과 정치통합의 전략 (심승우, 이담북스)
                        • 교육과정 패러다임 쉬프트 : 교육의 변화는 교육과정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윤성한, 이담북스)
                        • 글로벌 에너지정책과 천연가스사업 개발전략 (박상철, 이담북스)
                        • 환경과 성장 : 새 정부를 위한 녹색성장 제언 (황병상, 이담북스)
                        • 학교 내 또래문화의 형성과 전파 (곽한영, 서민경, 이담북스)
                        • 만안의 기억 : 아래로부터 읽는 안양시 만안구 공간사회 이야기 (김성균, 이담북스)
                        • 과테말라에 입맞춤을 : 살아있는 국제개발협력사업 이야기 (김선호, 이담북스)
                        • 지속가능 창조사회의 녹색도로 (노관섭, 이광호 외 15인, 이담북스)
                        • 라티노와 아메리카 : 라티노, 히스패닉, 치카노 그들은 누구인가? (임상래, 이담북스)
                        이전 페이지
                        • 140페이지
                        • 141페이지
                        • 142페이지
                        • 143페이지
                        • 144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