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공명 사회
    하르트무트 로자 외 1명니케북스정치/사회
    0(0)

    격해지는 사회 갈등과 소통의 공백 소외를 넘어 사회를 봉합할 해결책 민주주의가 무너지고 있다. 세계 곳곳에 제왕적 권력을 행사하려는 독재와 전체주의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민주주의는 회복될 수 있을까? 있다면 어떤 방법으로 가능할까? 여러 학자의 의견이 분분한 가운데 독일의 사회학자이자 막스베버 고등문화사회연구소장인 하르트무트 로자가 뜻밖의 해결책을 들고 나왔다. 독일의 한 가톨릭 교구 초청 연설문을 바탕으로 출간된 『공명 사회』에서 그는 종교

    소장 12,600원(10%)14,000원

    • 다수결은 위험하다
      이케다 기요히코홍익출판 미디어 그룹인문
      0(0)

      다수결이 세상을 망친다! 소수의견에 귀를 기울이지 않는 사회를 향한 통쾌한 제안 다수의 의견이 ‘정답’은 아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왜 다수결의 원칙을 고집할까? 누구나 한번쯤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는 이유만으로 식당을 선택하거나 단순히 최신 유행을 따라가기 위해 물건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실제로는 입맛에 맞지 않는 음식이 나오거나 상품의 품질이 좋지 않을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는 데에는 타당한 이유가 있겠지’ 하

      소장 11,000원

      시사요정 김어준, 그의 강점은?
      강지호글힘말힘정치/사회
      5.0(2)

      “ 난 어준이가 너무 좋아. 어준이의 그 쾌활한 웃음이 없으면 우리 국민이 참 서글플 거예요” 도올 김용옥 선생이 김어준이 진행하는 교통방송의 <뉴스공장>에 출연하여 한 말이다. 김어준은 흥미로운 인물이다. 한마디로 정의내릴 수 없는 다면적, 다층적인 인물이다. 시사요정 김어준, 그의 강점은?>은 김어준의 지력(知力)을 중점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필자는 김어준을 ‘21세기형 새로운 지식인’이라고 생각한다. 김어준은 <통섭>과 <정서적 직관>으로

      대여 3,500원

      소장 4,900원

      • 전망: 이재명의 미래는?
        강지호와 전망가들글힘말힘정치/사회
        0(0)

        대한민국은 어두운 터널에 갇혀있다. 터널 끝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터널 끝에 푸른 초원이 있는지 낭떠러지가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전망가는 도서 <전망: 탄핵과 대선>에서 이 난국이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난세에 빠진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겠다고 정치가들이 나서고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그 중의 한명이다. 여러 정치인 중에서 이재명에 관한 책을 내는 이유는 그가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가장 높아서가 아니다. 소년 노동자 출신인 이

        소장 4,900원

        • 전망: 탄핵과 대선
          강지호와 전망가들글힘말힘정치/사회
          0(0)

          2017년은 대한민국 역사에서 의미있는 시기이다. 주말마다 아름다운 촛불의 파도가 광화문을 물결쳤지만 대한민국의 앞날은 만만치 않다. 광장에 모인 한국인들은 작은 승리감을 맛보았다. 하지만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정치는 살아있는 생물이다. 아침 뉴스를 채 이해하기도 전에 새로운 뉴스들이 오후에 쏟아지는 날들이 계속 되고 있다. 하루살이 뉴스만을 쫓다보면 한국호가 어디로 흘러가는지 몰라 불안해진다. <전망: 탄핵과 대선>은 정국이 급변하는 상황에

          소장 3,900원

          • 이런 시급 6030원
            청년유니온 외 3명북콤마정치/사회
            0(0)

            2016년에 적용될 최저임금 시급 6030원이 결정된 과정을 당시 최전선에 있던 6명이 상세히 소개한다. 두 사람은 최저임금위원회 노동자위원으로 들어가 최저임금 결정 과정에 참여했으며, 두 사람이 속한 조직의 정책 실무자 각각 한 사람이 위원회에 배석했다. 그리고 <시사IN> 기자 둘은 5월 한 달 동안 고시원에서 살며 직접 최저임금을 벌어 생활했다. ‘최저임금으로 한 달 살기’ 프로젝트다.

            소장 11,500원

            두번째 서른살
            마리 드 에느젤 외 1명베가북스인문
            0(0)

            심리학자 드 에느젤, 억압받던 여성과 시니어의 사랑을 이야기하다 사랑을 갈구하는 욕망과 성의 즐거움. 육체적인 내밀한 소통에서 비롯한 친밀한 관계 맺기는 성별이나 나이 제한이 없다. 성에 대한 욕구는 근원적으로 행복한 삶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기 때문이다. 이제부터 사랑의 세계를 경험하게 될 젊은이든, 문화적 편견과 억압에 의해 욕구를 누르고 있는 여성들이든, 육신의 노화를 조금씩 경험하고 있는 시니어들이든, 이제 우리는 누구나 ‘내 삶의 주체’

            소장 9,660원

            세상의 거짓말에 웃으면서 답하다
            정규재베가북스정치/사회
            5.0(4)

            2015 정규재의 뉴스읽기 - 진실의 힘으로! 혼란스런 현실을 날카롭고, 통쾌하고, 재미있게 풀어주다! ‘30여 년 기자 생활’의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 정규재가 2014~2015 주요 현안을 명쾌하게 해석한다. 보통사람들이 일상에서 피부로 느끼는 정치-사회-경제 분야는 말할 것도 없거니와, 글로버 이슈에다 인문-예술까지 넘나드는 그의 해박한 지식과 합리적인 맥락 찾기에 탄성을 금할 수 없다. 눈앞에 나타난 현상만 보고 아우성치며 들끓는 ‘앵무새

            소장 8,400원

            아이의 미래 초등교육이 전부다
            박용재베가북스정치/사회
            0(0)

            15년차 현직 교사의 아이 교육 노하우 공개 한글 떼기, 사교육 없이 국영수 가르치기, 똑부러지는 학교 적응법 등 내 아이의 당당한 학교생활을 위한 2014년 교육 필독서 이 책은 이런 의문에서 시작한다. 15년차 현직 교사로 재직하는 저자는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의 발달 과정을 지켜보며 그에 맞는 교육이 무엇인지 연구해 왔다. 그리고 아이에게 딱 맞는 교육법을 소개하며 자녀 입학을 앞둔 부모의 고민을 함께 나눈다. 더불어 한글 떼

            소장 10,500원

            흔들리는 세계의 축
            파리드 자카리아 외 3명베가북스정치/사회
            3.0(1)

            Fareed Zakaria 주간 뉴스위크 국제판 편집장으로 이 잡지 첫머리에 고정칼럼을 집필하고 있으며 CNN이 미국과 전 세계로 송출하는 국제문제 토론 프로 「Fareed Zakaria GPS」의 진행자로 활약하면서, 세계화의 현장과 국제분쟁 등 글로벌 핫이슈에 대한 예리한 분석과 전망으로 주목받고 있다. 예일을 거쳐 하버드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새뮤얼 헌팅턴의 추천으로 국제정치 전문지 포린 어페어즈 역사상 최연소 편집장에 취임, 일찍이

            소장 14,000원

            • 교육도 경제행위다
              전용덕프리이코노미스쿨정치/사회
              0(0)

              『교육도 경제행위다』는 대한민국 교육의 문제점들과 그 원인을 지적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한국교육 위기의 근본 원인이 대한민국의 ‘획일과 평등을 지향하는 교육정책’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원래 교육은 저마다 다른 개인에게 적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학생과 학교는 각각 학교선택권과 학생선발권의 자유가 매우 부족하다. 수요자인 학생과 공급자인 학교 모두가 만족하는 다양한 교육은 ‘자유’를

              소장 9,000원

            • 희망한국 이야기 (박동운, FKI미디어(에프케이아이미디어)
            • 좋은 정책이 좋은 나라를 만든다! (박동운, FKI미디어(에프케이아이미디어)
            • 가압류 가처분 지식쌓기 (김기웅, 미래와경영)
            • 북중 변경 르포, 1300 (신창섭, 책밭)
            • 2015년 김정은 급변 터질것인가 (김진, 늘품플러스 )
            • 포스트 김정일 (김영환, 도서출판 시대정신)
            • 내 마음의 정한수 (최홍재, 도서출판 시대정신)
            • 우리에게 중국은 무엇인가 1992-2012 (곽대중, 도서출판 시대정신)
            • 고백 그리고 고발 (안천식, 옹두리)
            • 나는 민주주의 세상에서 살고 있을까? (김세연, ㈜봄풀출판)
            • 이등병의 아빠 (고상만, 고충열, 내일을여는책)
            • 십 대, 인권의 주인공이 되다 (김광민, 팜파스)
            • Challenges and Policy Responses to Population Aging (Heung-Seek Cho, 지식공감)
            • 정당은 바이러스다 (최인호, 지식공감)
            • 노무현 정치사상 (조해경, 지식공감)
            • 4차 산업혁명시대 지식재산권 무엇이 바뀌는가? (강충인, 지식공감)
            • 우리 안의 나쁜 여자 (권오숙, 김소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기억의 기록으로 쓰는 구술사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문화로 읽는 페미니즘 (여성문화연구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 (김경모, 김지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자살 예방과 헬스 커뮤니케이션 (안순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 소비자 불매운동사 (천혜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전후 중일관계 70년 (최은봉, 오승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다문화 사회의 다층성 (원숙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리시아스와 안티스테네스 (양승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형 저널리즘 모델 (이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지금, 여기, 여성적 삶과 문화 (유선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우리들의 목소리 2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우리들의 목소리 1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한국형 공공외교 평가 모델 (이화여자대학교 공공외교센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Women’s Experiences and Feminist Practices in South Korea (Edited by Chang , Edited by Kim Eu, Ewha Womans Univ)
            • Some Contemporary Contours: Women’s Studies in India (dited by Pooja J, Edited by the Fa, Ewha Womans Univ)
            • Power, Knowledge and Justice: Women's Studies in Thailand (Edited by Suwann, Ewha Womans Univ)
            • Mapping the Social, Economic and Policy Changes in Chinese Women (Edited by Du Fan, Edited by Zheng , Ewha Womans Univ)
            • Indonesian Women in a Changing Society (Edited by Kristi, Ewha Womans Univ)
            • Gender, Culture and Society: Women’s Studies in Taiwan (Hsiao-Chin Hsieh, Wei-hung Lin, Ewha Womans Univ)
            • 노동법의 회생 (도재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Asian Feminisms and Transnational Activism (노지은, 이명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젠더 중립성의 신화 (원숙연,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아규멘테이션 (박성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소통을 위한 인문적 상상 (이화인문과학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경계짓기와 젠더 의식의 형성 (이화인문과학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인터-미디어와 탈경계 문화 (이화인문과학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지구지역 시대의 문화경계 (이화인문과학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선군 시대 북한 여성의 삶 (이화여자대학교 통일학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한국의 일상 문화와 몸 (김말복, 함인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이민자 문화를 통해 본 한국 문화 (이미숙, 송영빈,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채식하는 이유 (황윤, 최훈, 나무를 심는 사람들)
            • 강대국만 핵무기를 가져야 할까? (조홍식, 백두리, 나무를 심는 사람들)
            이전 페이지
            • 326페이지
            • 327페이지
            • 328페이지
            • 329페이지
            • 330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