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화성의 풍경
      최찬식온이퍼브역사
      0(0)

      화홍문은 즉, 화천(華川)의 맑게 흐르는 물을 내보내는 수문(水門)이다. 문루 아래에는 칠간수(七間水)라고 부르는 일곱 개의 홍문(虹門)이 있어 울리는 물소리가 항상 끊이질 않는다. 강 언덕의 푸른 풀은 다분히 밥을 짓는 저녁연기를 포함하여 그 짙푸른 색깔의 봄빛을 눈 아래 가지런히 펼치니, 이것은 승경 가운데 승경이라고 하겠다.<본문 ‘화홍문’ 중에서>

      소장 1,000원

      • 개성의 고적
        이중화온이퍼브역사
        0(0)

        남문로종, 즉 연복사종은 고려 충목왕(忠穆王) 2년 원나라 지정(至正) 6년(1346)에 주조하였는데,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원나라 장인의 손에 의하여 원나라식으로 주조한 것이다. 기술이 정교하고 그 특징과 그 모습이 아름다워 실로 천하일품이라고 한 세상의 평가가 지나친 논리는 아니다. 박연(朴淵)은 모습이 돌로 만든 항아리(石甕)와 같고 반석이 중심에 용출하였다. 이름 하여 도암(島巖)이라 하였다. 견주기를 박 진사(進仕)라고 하는 사람이

        소장 4,000원

        • 조선사론
          신채호온이퍼브역사
          0(0)

          이 책은 『조선사론(朝鮮史論)』 ‘단재(丹齋) 신채호 선생 유고(遺稿)’ 제1집(1946) 발간본을 해제한 것입니다.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 시간으로부터 발표하며 공간으로부터 확대하는 심적(心的) 활동의 상태 기록이니, 세계라 하면 세계 인류의 그리되어온 상태의 기록이며 조선사(朝鮮史)라 하면 조선 민족이 그리되어온 상태의 기록이다. 무엇을 ‘아(我)’라 하며 무엇을 ‘비아(非我)’라 하느뇨? 깊이 팔

          소장 6,000원

          • 수원과 융릉
            김원근온이퍼브역사
            0(0)

            명소는 팔달문(八達門)이 수원의 남문이다. 팔달산 끝에 있으므로 이름을 ‘팔달문’이라고 하였다. 풍패루(豐沛樓)는 전에 수원 유수(留守)가 거처하던 관사 앞에 있던 2층 문루이다. 옛날 한 패공(沛公)(한고조 유방)이 황제가 된 이후에 신풍(新豐)을 짓고 그 부친을 봉양하던 의미를 취하여 패읍(沛邑)이라는 ‘패(沛)’ 글자와 풍읍(豐邑)이라는 ‘풍(豊)’ 글자로 그 문의 이름을 지었다.<본문 중에서>

            소장 2,000원

            • 동방민족과 신성관념
              최남선온이퍼브역사
              0(0)

              동방 세계에서의 지형 역사 및 실제 신앙 등 분야로 보면 가장 대표적인 영산(靈山)은 만주에서 말한 장백산(長白山), 조선에서 말하는 백두산(白頭山)일 것이다. 천하에 명산이 많다고 하나 장백산같이 천세일관(千歲一貫), 각 민족에 의하여 서로서로 절대 존중함을 모으고 있는 산악은 아마 유례를 보지 못했다고 할 것입니다.

              소장 3,000원

              • 서울 행정구역의 유래
                차상찬온이퍼브역사
                1.0(1)

                통인정은 통의동에 새로 고친 이름이다. 통의정은 이전 매동(梅洞), 서문골(西門洞), 띠골(대동帶洞), 북장동의 일부를 합한 것으로 통의는 방(坊) 이름, 의통(義通)을 바꾸어 통의라고 하였다. 또 하나의 이야기는 통(通)은 통동의 ‘통’과 그곳에 있는 어의궁(於義宮) 즉, 당시~ <본문 중에서>

                소장 5,000원

                • 흥천종의 유래
                  차상찬온이퍼브역사
                  0(0)

                  흥천종이 그렇게 케케묵은 헌 집에서 행랑살이를 하다가 말쑥하게 새로 지은 미술관 양옥집으로 이사를 하였다니까 세상 사람들은 아마 요새에 동철(銅鐵) 값이 폭등하는 바람에 몸값도 대폭등이 되어 마치 노다지 캐는 금광꾼 모양으로 별안간 큰 수가 나서 그렇게 된 것으로 알기 쉽지마는, 사실 알고 보면 별수도 없고 그저 몸만 괴로울 뿐이다.<본문 중에서>

                  소장 2,000원

                  • 조선의 폭포
                    편집부온이퍼브역사
                    0(0)

                    삼방(三防) 골짜기 물이 모두 이곳으로 모여와서는 바위에 부딪혀 여울이 되고 다시 떨어져 못이 되어 갈라지기 한 10리 채 못 가서 굽이굽이 구부러져 돌아간다. 이 맑고 깨끗한 시내는 차차 깊어지고 노송의 고풍이 암벽을 덥고 물이 맑고 찬 기운이 사람을 눅눅하게 다가온다.<‘삼방폭포’ 중에서>

                    소장 3,000원

                    • 종루와 보신각종
                      이중화온이퍼브역사
                      0(0)

                      서울 한복판 종루(鐘樓)와 보신각종은 어떠한 역사적 발단이 있었나? 이 책은 《조선의 궁술(弓術)》의 저자인 국어학자 이중화의 단편 기고문으로 1934년 창간 이래 ‘진단학보(震檀學報)’ 6호 <종루와 보신각종>을 해제한 것이다. 종루(鐘樓)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화재 등 뜻밖의 온갖 수난을 겪은 역사적으로 가치 있는 문화재로 현재 보신각 건물은 1979년 지었으며 동서 5칸의 2층 누각으로 만들어졌다. 보물 제2호인 보신각종은 이 글 본문에

                      소장 5,000원

                      • 우리나라 꽃의 기원
                        유자후온이퍼브역사
                        0(0)

                        우리나라의 국화(國花)는 어떠한 꽃이며 어떤 기원에서 시작되었는가? 이 책의 시작은 본질에서 고대 단군 조선의 탄생에서부터 그 발원을 가지고 있다. 국화(國花)라는 것은 민족의 나라꽃이며, 국가를 대표하는 꽃이며, 나라의 전통 꽃을 말한다. 고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많은 아름다운 꽃들이 많으나, 그 가운데 가장 훌륭한 것으로 생각되고 가장 좋은 것으로 소중히 으뜸으로 삼는 꽃이다. 이 글은 저자의 《국화보(國花譜)》에 대한 기고 글로 고전에 나

                        소장 5,000원

                        • 조선의 고인돌
                          손진태온이퍼브역사
                          0(0)

                          《조선의 고인돌》은 1934년 우리나라 초기 거석문화 ‘Dolmen(고인돌)’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기술한 글이다. 조선 민속자료에 관련하여 고인돌에 대한 우리나라 처음이라 할 수 있는 소론이다. 1934년 『조선 돌멘(Dolmen) 고(考)』라는 주제로〈개벽〉에 기고한 것으로 일제강점기 조선(특히 북한지역)에서 발견된 초기 고인돌의 실증적 채집 관련 자료와 몸소 경험한 것 등, 외국인들이 기술한 조선 관련 거석문화 자료의 실례를 들어 정리하였다

                          소장 4,000원

                        • 경기도 향토문화유적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상식문답(회화편)8 (최남선, 온이퍼브)
                        • 조선상식문답(서학편)7 (최남선, 온이퍼브)
                        • 조선상식문답(연극편)6 (최남선, 온이퍼브)
                        • 조선상식문답(음악편)5 (최남선, 온이퍼브)
                        • 조선상식문답(도서편)3 (최남선, 온이퍼브)
                        • 조선상식문답(과학편)1 (최남선, 온이퍼브)
                        • 난중일기초 (설의식, 온이퍼브)
                        • 우리나라 태극기의 역사와 유래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헨드릭 하멜 조선 일기 (헨드릭 하멜,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진상 (고바야카와 히데오, 온이퍼브)
                        • 오천년 조선 사화집 (왕명(王明), 온이퍼브)
                        • 세계문화발달사 (허버트 조지 웰즈, 오장환, 온이퍼브)
                        • 조선민주사상사 (유자후, 온이퍼브)
                        • 일본전범재판기 (김철우,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독립혈투사 (강흥수,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기미년 학생운동의 전모 (소석학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영웅명인전 (함돈익,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경주에 전해오는 옛 전설 60가지 (박관수,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여성독본 (최화성,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우리 민족이 걸어온 길 (손진태,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고쳐쓴 조선역사 (김성칠,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구휼국사 (신정언,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조선독립순국열사전 (박태원, 온이퍼브)
                        • 돌이켜보는 옛날 유물 유적 경주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되돌아보는 역사 경주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백두산 근참기 (최남선, 온이퍼브)
                        • 동해유기 (문일평, 온이퍼브)
                        • My voyage in Korea (Eissler, Manuel, 온이퍼브)
                        • 한국 우편절수첩 (체신청 통신국, 온이퍼브)
                        • Corea or Cho-sen (Savage Landor, 온이퍼브)
                        • 오천 년 역사 에피소드 (온이퍼브 편집부, 온이퍼브)
                        • 유럽, 이성의 몰락 (조지프 콘래드, 오경희, 새로운제안)
                        • 일제강점기의 부정의 법제와 식민지 조선의 사회상 (이종길, 스토리비전)
                        • 침묵하는 산 (안치운, 한길사)
                        • 일본의 한국경제 침략사 (김석원, 한길사)
                        • 조선의 의인들 (박석무, 황헌만, 한길사)
                        • 개화기의 주거생활사 (최영준, 한길사)
                        • 사람의 산 우리 산의 인문학 (최원석, 한길사)
                        • 박원순이 걷는 길 (임대식, 한길사)
                        • 우리나라의 사상과 역사 (나종혁, 도서출판 DRM연구원)
                        • 고려사 악지 (정인지, 김종서, 도서출판 DRM연구원)
                        • 팔효집 (나한명, 도서출판 DRM연구원)
                        • 삼국유사―흑백 영인본 권5 (일연, 나종혁, 도서출판 DRM연구원)
                        • 삼국유사―흑백 영인본 권4 (일연, 라종혁, 도서출판 DRM연구원)
                        • 삼국유사―흑백 영인본 권3 (일연, 나종혁, 도서출판 DRM연구원)
                        • 삼국유사―흑백 영인본 권2 (일연, 나종혁, 도서출판 DRM연구원)
                        • 삼국유사―흑백 영인본 권1 (일연, 라종혁, 도서출판 DRM연구원)
                        • 한국문학사 (나종혁, 도서출판 DRM연구원)
                        이전 페이지
                        • 156페이지
                        • 157페이지
                        • 158페이지
                        • 159페이지
                        • 160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