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잠부론(潛夫論)
      임동석삼호재인문
      0(0)

      남들이 모두 비룡재천(飛龍在天)을 꿈꾸며 육신까지 괴롭힐 때, ‘잠룡물용(潛龍勿用)’으로 살겠다고 다짐하여 ‘여세부쟁(與世不爭)’한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혹 너무 소극적이라 할지 모르나, 실제 가장 적극적인 것은 남이 하찮다고 여기는 것을 굳이 실천하는 것이다. 그래서 노자(老子)도 ‘수유왈강(守柔曰强)’이라 하였다. 실제 이렇게 살면서 대산 자신의 세계관과 정치철학을 시원하게 토설(吐說)한 학자가 있었다. 바로 동한(東漢) 때의 왕부(王符:

      소장 45,000원

      • 오월춘추(吳越春秋)
        임동석삼호재인문
        0(0)

        ≪오월춘추≫는 춘추시기 끝 무렵 장강(長江) 남방의 오(吳)나라와 월(越)나라 역사를 서술한 것이며, 동시에 두 나라가 중원(中原)을 상대로 패자가 되고자 몸부림치던 내용을 생동감 있게 기록한 것이다. 오나라는 멀리 주(周)나라 초기 고공단보(古公亶甫)의 첫째 아들 태백(泰伯, 太伯)을 시조로 하며, 지금의 강소성(江蘇省)을 중심으로 오(지금의 蘇州)에 도읍을 두고 오왕(吳王) 요(僚), 합려(闔閭, 闔廬), 부차(夫差)로 이어지는 걸출한 지도

        소장 45,000원

        •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임동석삼호재인문
          0(0)

          옛날 어린 시절 ≪오언당음(五言唐音)≫과 ≪칠언당음(七言唐音)≫, ≪백련초해(百聯抄解)≫ 등을 읽으며, 중국 시인들은 참으로 아름다운 말을 많이 한다고 여겼었다. 그것이 시라는 독특한 형식의 그릇에 말을 담았기 때문이라는 것도 모르고 그저 짧은 말로 신기하게 표현하였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리고 다시 조선시대 고판본 ≪당시선(唐詩選)≫을 읽으며 가 볼 수도 없는 중국 대륙과 옛 화려했던 당나라 제국, 그리고 거짓말 같이 과장된 중국의 자연 풍경을

          소장 45,000원

          • 삼자경(三字經)
            임동석삼호재인문
            0(0)

            “3자씩으로 표현한 어린이를 위한 經”이라는 뜻의 ≪三字經≫! ‘經’이란 매우 무거운 느낌을 주는 말이건만 구태여 어린이에게 ‘經’이라는 말까지 넣어 교재 이름을 붙인 것은 그만큼 중요한 내용이 들어 있음을 말한 것이리라. 몽학(蒙學) 교재는 우선 ≪千字文≫이 있고, 곧이어 ≪百家姓≫을 더하여, 흔히 ‘三百千’이라 불리다가, 뒤에 다시 ≪千家詩≫를 넣어 ‘三百千千’이라 하여, 중국 民國 초 서양식 교육이 나타나기 전까지 입에 붙은 교재명이었다.

            소장 30,000원

            • 천자문(千字文)
              임동석삼호재인문
              0(0)

              이미 내었던 ≪천자문≫을 다시 수정하고 보완하여 출간한다니, 불유구(不踰矩)를 살고 있는 이 나이에 감회가 새롭다. 나를까만 어린 시절로 되돌려 주기 때문이다. 회고와 감회에 딱 맞는, 이러한 것이 바로 ‘지로환동’(止老還童)이리라. 어릴 때 무언지도 모르면서 그저 ‘하늘 천, 따 지, 가물 현, 누르 황, 집 우, 집 주, 넓을 홍, 거칠 황’하고 화전민 산골 소년으로서 외우던 ≪천자문≫! 벌써 60여 년이 훌쩍 넘은 옛날 아득한 산촌 고향에

              소장 40,000원

              • 안씨가훈(顔氏家訓)
                임동석삼호재인문
                0(0)

                “천지가 생긴 이래 땅이 있고 농토라는 재산이 있었으며, 이를 팔고 사고 주인이 바뀌기를 몇천 번에 몇 사람이나 되는지 모른다. 그 땅이 돌고 돌아 지금 나의 소유가 되었다. 게다가 자식이 똑똑하여 이를 능히 지켜낼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이 집안 세세토록 천년만년 잃지 않고 지켜 낼 수 있을까? 역시 팔고사고 하여 정해진 주인은 없을 것이다. 옛말이 맞도다. ‘천년 전지 8백 번 주인이 바뀌나니, 토지가 주인이요 사람은 객이로다’(千

                소장 40,000원

                웹소설 작가로 살아남기
                이은재도서출판 리채인문
                0(0)

                시중에 나와 있는 작법서는 정말 많습니다. 웹소설에 클리셰가 있듯, 웹소설 작법서에도 클리셰가 있습니다. 전반부에는 '웹소설 시장 커졌다. 웹소설 돈 잘 번다. 너도 부업으로 해봐라.' 이런 내용으로 시작됩니다. 무료연재와 투고, 공모전 등의 데뷔 방법이 있다고 설명하고, 각 플랫폼을 짧게 설명합니다. 정작 작법은 각 파트마다 짧게 끊어서 최소 두세줄에서 많아도 몇 페이지로 소개하고 넘어갑니다. 모두가 그렇다고 일반화할 수는 없겠지만, 상당수가

                소장 14,220원(10%)15,800원

                • 정관정요(貞觀政要)
                  임동석삼호재인문
                  0(0)

                  근래 중국에서는 82부작 ≪정관장가(貞觀長歌)≫라는 TV 드라마를 제작, 당태종 이세민(李世民)의 모습을 최고의 본받을 지도자로 대대적인 방영을 하였다. 그리하여 대당기상(大唐氣象)을 거울삼아 2007년을 신조어 “당나라 시대를 바라보는 해”(觀唐年)로 부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출판사들은 ≪대당제국(大唐帝國)≫, ≪정관정요≫, ≪대당정관(大唐貞觀)≫ 등 유행 판본을 만들어 서점의 진열대를 덮고 있으며, ≪정관지치(貞觀之治)≫(Control by

                  소장 40,000원

                  • 명심보감(明心寶鑑)
                    임동석삼호재인문
                    0(0)

                    “나는 본래 박복한 사람이니, 마땅히 덕을 후하게 베푸는 일을 실행해야 할 것이며, 나는 본래 박덕한 사람이니, 마땅히 나에게 주어진 복을 아껴 쓰며 살아야 하리라.”(吾本薄福人, 宜行厚德事; 吾本薄德人, 宜行惜福事.) 이는 명대(明代) 진계유(陳繼儒)라는 사람의 ≪미공십부집(眉公十部集)≫에 실려 있는 명구이다. 나는 불유구(不踰矩)의 나이에 내 자신 살아온 역정과 지금 내가 살로 있는 모습을 가만히 생각해 보았다. 정말 그렇게 살고 있는가?

                    소장 45,000원

                    • 채근담(菜根譚)
                      임동석삼호재인문
                      0(0)

                      육십 치발소(齒髮踈)의 나이를 넘어 칠십 불유구(不踰矩)의 삶에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이 나이의 내 친구들 모임에 가면 거의가 건강, 병원, 앓고 있는 병, 원만한 노년, 살아온 회고, 세상 변화의 급변함에 따라갈 수 없는 발걸음의 안타까움, 버림과 내려놓음 등이 주제이다. 그러한 대화는 결국 마음 달램이 아니겠는가? 세상에 그 “마음 달램의 글”로써 이 ≪채근담≫만한 것이 있을까? 또한 오늘 같은 세태에 “고통을 덜어주는 글”로서 이

                      소장 40,000원

                      • 도연명집(陶淵明集)
                        임동석삼호재인문
                        0(0)

                        이 “歸去來 歸去來되 말 이오 가 리 업싀, 田園이 將蕪니 아니 가고 엇지 고, 草堂에 淸風明月이 나명들명 기리니.” 조선 시대 聾巖 李賢輔의 <效嚬歌>이다. 그런가 하면 三洲 李鼎輔는 다시 이렇게 읊었다. “歸去來 歸去來들 물러간 이 긔 누구며, 功名이 浮雲인줄 사람마다 알 것만은, 世上에  이 업쓴이 그를 슬허 노라.” 도연명만큼 우리나라에 많이 읽혀오고 또 인구(人口)에 회자(膾炙)된 중국 시인도 그리 많지는 않을 것이다

                        소장 40,000원

                      • 설원(說苑) 파트2 (임동석, 삼호재)
                      • 설원(說苑) 파트1 (임동석, 삼호재)
                      • 우리는 작가를 출판합니다 (지크프리트 운젤트, 한미희, 유유)
                      • 각자의 세상 (아임코칭, 유페이퍼)
                      • 호기심의 힘 (박태관, 유페이퍼)
                      • 비워야 채워진다 (박태관, 유페이퍼)
                      • 같은 집, 다른 마음 (한기수,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앙드레 지드의 좁은 문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알프레드 아들러의 인간 이해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아비센나의 의학정전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스완네 집 쪽으로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 상처편집 (성정민, 작가와)
                      • 내가 나에게 던진 사직서 (박경준(진우), 작가와)
                      • 2025년 11월 출산택일 분석지 (최일조, 작가와)
                      • 용기론 (우치다 타츠루, 박동섭, 알에이치코리아(RHK))
                      • 로만 야콥슨의 러시아어와 슬라브어 문법 연구 1931-1981 (로만 야콥슨, 안혁, 한국문화사)
                      • 삼명통회 4권 (우신, e퍼플)
                      • <개소리에 대하여>에 관한 개소리 (문의현, e퍼플)
                      • 모험과 열정의 기록 : 즐거운 인생 (E. V. 루카스, 위즈덤커넥트)
                      • 평범한 독자 : 버지니아 울프의 문학 산책 (버지니아 울프, 위즈덤커넥트)
                      • 젠장! 이게 나라냐 : 미국을 향한 독설 (헨리 루이스 멘켄, 위즈덤커넥트)
                      • 마르셀 프루스트를 찾아서 (크리스토퍼 프렌더가스트, 박은영, 상상스퀘어)
                      • 충분히 괜찮은 삶 (대니얼 밀러, 박홍경, 상상스퀘어)
                      • 개정판 | 역사철학강의 (게오르그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 권기철, 동서문화사)
                      • 엘렌 식수 (이봉지, 커뮤니케이션북스)
                      • 개정판 | 쇼펜하우어 철학적 인생론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권기철, 동서문화사)
                      • 개정판 | 인구론 (토머스 맬서스, 이서행, 동서문화사)
                      • 개정판 | 로마제국쇠망사 (에드워드 기번, 강석승, 동서문화사)
                      • 개정판 | 리바이어던 (토마스 홉스, 최공웅, 동서문화사)
                      • 개정판 |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권기철, 동서문화사)
                      • 나는 왜 늘 참는가 (박경은, 지식과감성#)
                      • AI와 휴먼 인사이트 (한국생성형AI연구원, 커뮤니케이션북스)
                      • AI와 컬러 (김환, 커뮤니케이션북스)
                      • AI와 자의식 (손세훈, 커뮤니케이션북스)
                      • 은유 정보 처리와 AI (최원일, 커뮤니케이션북스)
                      • 장애의 사회문화적 구성 (조주희, 지식과감성#)
                      • 소중한 나의 몸과 마음을 위한 스트레스와 건강의 사회심리학 (이미숙, 지식과감성#)
                      • 어느 고대 경전(天符經)으로의 산책 (동네 아저씨, 지식과감성#)
                      • 개정판 | 전쟁론 2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허문순, 동서문화사)
                      • 개정판 | 전쟁론 1 (카를 폰 클라우제비츠, 허문순, 동서문화사)
                      • 어둠을 밝히는 지혜 (서동석, 에머슨하우스 교육연구소)
                      • 모두의 AI (김윤명, 커뮤니케이션북스)
                      • 디지털 감정 리터러시 (심대흠, 여흥, 작가와)
                      • 심리상담사가 전하는 감정조절의 비밀 (김예니, 작가와)
                      • 친근한 말이 불편할 때 (양해정, 작가와)
                      • 10분만에 읽는 마거릿 풀러의 여성의 교육 (숏북크리에이션스튜디오AI, 작가와)
                      이전 페이지
                      • 9페이지
                      • 10페이지
                      • 11페이지
                      • 12페이지
                      • 13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