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인문/사회/역사 전체
인문
정치/사회
예술/문화
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인문/사회/역사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문제 자료집Ⅲ-전시체제기 유언비어 통제 관계
      동북아역사재단 외 1명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이 책은 동북아역사재단에서 기획, 발간하고 있는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 ‘위안부’ 문제 자료집』 시리즈 중 하나다. 이 책은 한국과 일본, 중국, 미국 등지에서 나온 일본군‘위안부’ 관계 자료 이해를 수렴한 위에 식민주의와 조선인 ‘위안부’ 피해 문제를 교차해서 살펴보고 있다. Ⅱ권은 제국 외 이송 유괴 사건 관계에 대한 관계 문서를 연구하한 결과물이고, Ⅲ권은 전시체제기 유언비어 통제 관계를 연구, 분석하였다. 이 책이 일본의 전쟁 범죄와 식

      소장 14,400원

      •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 문제 자료집1-중일전쟁 이후 일제의 도항 통제(번역, 해제 편)
        동북아역사재단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식민지 조선과 일본군'위안부'문제 자료집. 1(번역해제편)』은 〈조선총독부 경무국 보안과, 『고등외사월보』, 1939.7.~1940.9.〉, 〈조선총독부 외무과 편철, 「1938~1939년 여권예규(동양)」〉등을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소장 14,400원

        • 전쟁범죄, 일본군'위안부'피해실태 자료집-중국 침략 일본전범 자필진술서(1)
          동북아역사재단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전쟁범죄 일본군'위안부'피해실태 자료집』은 〈오노 타케츠구 자필진술서〉, 〈아즈마 이페이 자필진술서〉, 〈다케우치 유타카 자필진술서〉, 〈다카자와 겐지 자필진술서〉, 〈후루카와 유이치 자필진술서〉를 수록하고 있는 책이다.

          소장 13,200원

          • 일본군‘위안부’ 문제 자료집 ( 2 ) - 위안소 운영 실태와 범죄 처벌
            동북아역사재단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동북아역사재단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자료집. 2: 위안소 운영 실태와 범죄 처벌』은 〈위안소 운영〉, 〈'위안소' 범죄 처벌〉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 자료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장 25,800원

            • 『每日新報』로 본 강제동원
              김윤미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이 책은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매일신보』, 『경성일보』, 『The Seoul Press』를 기관지로 발행하여 식민통치를 위한 수단으로 언론을 통제하고 이용했던 사실을 잘 보여주는 책이다. 특히 그중에서도 「국가총동원법」제정과 시행 전후부터인 1938~1945년까지 8년 동안 생산된『매일신보』의 신문기사를 정리하여 대표적인 기사를 선별하고 편역하여 연도별로 장을 나누고 해제를 덧붙여 강제동원 현황을 중심으로 의미와 변화를 소개해 전체 맥락을

              소장 18,000원

              • 전시 노동력 동원 번역자료집(2)
                오일환 외 1명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이 책은 『전시 노동력 번역자료집』 제2권으로, 제1권에 이어 『반도노동자 근로상황에 관한 조사보고』, 『공장 광산산업보국회의 조직과 운영』 등 두 편의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일제 말기 노무 동원과 관련하여 일제 식민 당국과 기업들이 작성한 자료로 조선인 강제 동원의 구조, 방식, 실태는 물론 이들이 가진 조선인 동원에 대한 인식과 논리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을 통해 일제의 전시 노동력 동원 실태를 바로알고, 역사적

                소장 19,800원

                • 전시 노동력 동원 번역자료집(1)
                  오일환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이 책은 일제의 조선인 강제동원의 실태를 보여주는 객관적 자료인 『조선인 노무자의 관리에 대하여』, 『특수노무자의 노무관리』, 「복명서」, 「노동자원조사에 관한 건」 등 4건을 번역한 것이다. 일제의 강제동원을 역사적 사실로서 입증하는 데는 피해자의 체험과 증언, 구술뿐만 아니라 가해자인 일제가 직접 실행한 공적 기록물과 실무자들이 집계한 통계와 기술한 내용들도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 이 책에 번역된 기록물과 자료들은 그야말로 가해자들의 속내와

                  소장 18,000원

                  • 전시동원 기구와 제도(1) - 총동원체제 관련 주요 법령 및 각의결정 등
                    오일환 외 3명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이 책은 학계와 일반 대중에게 일제 식민 지배의 구조와 총동원체제의 관계, 그리고 총동원체제하에서 인적 동원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초사료로서 일제의 총동원체제와 강제동원 관련 법규, 제도 및 기구 등에 관한 자료를 번역하여 소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1931년 이후 1945년에 이르기까지 제정·공포된 총동원 관련 법령과 동원기구의 전반에 대한 개요와 특징 등을 살펴보고, 3개년 동안 총동원체제, 노무동원, 군인·군무원동원

                    소장 21,000원

                    • 재만조선인 통제(3) -'만주사변(9.18)' 시기 재만 조선인 정책
                      김주용 외 1명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이 자료집은 만주 지역의 일제침탈사 가운데 조선인과 관련된 부분을 집중적으로 정리하 였다. 1931년 9월 18일 제국주의 일본 관동군은 대륙침략을 위한 본격적인 전쟁을 개시하 였다. 이른바 ‘만주사변’의 서막이 시작된 것이다. ‘만주사변’은 동북아 지역의 정치 및 경 제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만주 지역 이주 한인 관련 정책도 그 기조가 변하기 시작하였 다. 뿐만 아니라 일제의 만주 침략이 본격화될수록 만주 이주 조선인 사회의 모순도 크게

                      소장 18,000원

                      • 전시체제기 여론통제(2) - 관련기구와 조사
                        변은진 외 1명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이 책은 『전시체제기 여론통제』 관계 자료집 시리즈 제2권으로 일제강점기에 조선인에 대한 여론통제를 담당했던 주요 관련 기구와 여론통제를 위한 주요 사업과 여론조사 관련 자료를 수록하였다. 이를 통해 전시체제기에 일제가 식민지 조선 사회 내 여론통제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했고, 그 주안점은 무엇이었으며, 실제 그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었는지를 이해해보고자 했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이 크게 다섯 부분으로 구성하고, 총 37개 종류의 자료를 번역

                        소장 22,800원

                        • 전시체제기 여론통제(1)-기본 구상과 방향
                          변은진 외 1명동북아역사재단역사
                          0(0)

                          발간사 04 편찬사 06 편역자 서문 11 I 중일전쟁기 사상 · 선전전과 외국의 논조 23 〈해제〉 24 〈자료 01〉 『일지사변에 대한 해외 논평』 제4집(1937) 28 〈자료 02〉 『지나사변에서 지나군의 모략·선전 문서』(1938) 42 〈자료 03〉 『전쟁과 사상선전전』 제5편(1939) 105 〈자료 04〉 『최근의 외국 신문·잡지에 나타난 대일 논조』(1941) 142 II 태평양전쟁기 사상 · 선전전의 강화와 유언비어 157 〈

                          소장 22,800원

                        • 사상통제(2) 사상통제의 실제, 사찰과 탄압 양상 (홍선영, 박미경, 동북아역사재단)
                        • 사상통제(1)-사상통제 관련 법규와 통제 주체 (홍선영, 박미경, 동북아역사재단)
                        • 교육정책(2)-일제강점기 교육 논설 (강명숙, 박영미, 동북아역사재단)
                        • 경제편/식민지 산업기반 침탈(2) - 조선 전력 정책의 수립과 운영 (이명학, 주동빈, 동북아역사재단)
                        • 식민지 산업기반 침탈(1) / 조선 철도 정책의 수립과 운영 (양지혜, 박우현, 동북아역사재단)
                        • 재정·금융정책(1) 대한제국기 일제의 재정 및 금융 침탈 (김명수, 조명근, 동북아역사재단)
                        • 수산업 - 어업(1) - 개항기 일제의 어업 침탈 (이영학, 동북아역사재단)
                        • 수산업-염업;일제의 염업 개발과 통제 (류창호, 동북아역사재단)
                        • 경제편/상업⋅무역 정책(1) - 일제의 한국 상권 침탈 (조재곤, 최재성, 동북아역사재단)
                        • 농업 임업 정책(2) : 일제 식민농정–토지소유 및 생산관계 (이송순, 노성룡, 동북아역사재단)
                        • 농업·임업정책(1)-일제 식민농정-식량 관련 생산 및 유통·공출 정책 (이송순, 노성룡, 동북아역사재단)
                        • 지방제도(1)-통감부 시기와 1910년대 (김윤정, 천지명, 동북아역사재단)
                        • 관습조사(2)-일제의 조선 관습조사와 식민지 법제 추진 (왕현종, 방광석, 동북아역사재단)
                        • 관습조사(1)-일제의 관습조사와 토지법제 (왕현종, 방광석, 동북아역사재단)
                        • 대한제국기 간도 자료집(2)-정부문서 (박장배, 문상명,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의 독도·울릉도 침탈 자료집(4)–신문기사(1897~1910)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의 독도․울릉도 침탈 자료집(3) - 조선과 일본 왕복 외교문서 (박범, 한성민,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의 독도 울릉도 침탈자료집(2)-대한제국 정부문서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의 독도 울릉도 침탈자료집(1)-통서일기(1883~1895)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현대 중국의 세계 전략 3 (차재복, 김한권, 동북아역사재단)
                        • 한말 일제 초기 토지조사와 소유권 분쟁 (최원규, 동북아역사재단)
                        • 조선통신사 (손승철,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의 재만 조선인 정책 (김주용, 김태국,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강점기 화폐제도와 금융 (조명근, 동북아역사재단)
                        • 일본 정부의 청구권 정책 전모 3 (조윤수, 김보라, 동북아역사재단)
                        • 일본 정부의 청구권 정책 전모 2 (조윤수, 김보라, 동북아역사재단)
                        • 일본 정부의 청구권 정책 전모 1 (조윤수, 김보라, 동북아역사재단)
                        •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와 강제병합 (김현숙, 한성민, 동북아역사재단)
                        • 역사화해의 이정표 3 (곽진오, 민원정, 동북아역사재단)
                        • 독도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 3 (도시환, 오시진, 동북아역사재단)
                        • 대동아공영권의 허상과 모순 (김영숙, 동북아역사재단)
                        • 전함 팔라다 (이반 알렉산드로비치 곤차로프, 문준임, 동북아역사재단)
                        • 헌법9조의 사상수맥 (야마무로 신이치, 박동성, 동북아역사재단)
                        • 일제시기 만주사·조선사 인식 (강성봉, 사쿠라자와 아이, 동북아역사재단)
                        • 엇갈린 국경, 길 잃은 민족들 (고가영, 박지배, 동북아역사재단)
                        • 한일회담 일본외교문서 상세목록집Ⅴ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한일회담 일본외교문서 상세목록집Ⅳ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한일회담 일본외교문서 상세목록집Ⅲ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한일회담 일본외교문서 상세목록집Ⅱ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한일회담 일본외교문서 상세목록집Ⅰ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재단)
                        • 조선총독부의 공업정책 (김인호, 동북아역사재단)
                        • 대한제국 국제관계사 연구 (최덕규, 동북아역사재단)
                        • 중국 애국주의와 고대사 만들기 (김인희, 동북아역사재단)
                        • 한국외교문서 대일배상요구조서 (조윤수, 김영미, 동북아역사재단)
                        • 일본인 이주정책과 재조선 일본인사회 (전성현, 하지영, 동북아역사재단)
                        • 중국 시진핑시대 교과서 국정화와 역사담론 (권은주, 동북아역사재단)
                        • 한중 역사 교과서 대화 (오병수, 동북아역사재단)
                        • 역사화해의 이정표 2 (이병택, 동북아역사재단)
                        • 독도 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 2 (도시환, 동북아역사재단)
                        이전 페이지
                        • 96페이지
                        • 97페이지
                        • 98페이지
                        • 99페이지
                        • 100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