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에세이/시 전체
에세이
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에세이/시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서천 시문선집
      조정규 외 1명지만지한국문학시
      0(0)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나라 잃은 유학자의 고뇌 서천(西川) 조정규(趙貞奎, 1853∼1920)의 자(字)는 태문(泰文)이고, 본관

      소장 15,040원

      • 목재 시선
        홍여하 외 1명지만지한국문학시
        0(0)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영남에서 문장으로 빛나다 ≪목재 시집≫은 목재(木齋) 홍여하(洪汝河, 1620∼1674)의 문집인 ≪목재집≫

        소장 15,040원

        • 금강산 관상록
          구하 외 1명지만지한국문학시
          0(0)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선승, 금강산을 기록하다 이 글은 구하 스님이 1932년 4월 7일에 통도사를 출발해 8월 28일 다시 통도

          소장 18,240원

          • 관복암 시고
            김숭겸지만지한국문학시
            0(0)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13세에서 19세, 조선 시사에 족적을 남기다 ≪관복암 시고(觀復菴詩稿)≫는 관복암 김숭겸이 13세부터 19

            소장 29,440원

            • 가암 시집
              전익구 외 2명지만지한국문학시
              0(0)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평생을 학문으로 보내다 가암 전익구(全翼耈, 1615∼1683)는 본관은 용궁(龍宮), 자는 명수(明叟),

              소장 15,040원

              • 고석규 시선 초판본
                고석규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 근현대시 초판본 100종’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

                소장 12,800원

                • 이백 시전집 8
                  이백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시선 이백은 당대 시단 나아가 중국 역대 시단을 통틀어 시성(詩聖) 두보와 쌍벽을 이루는 시인으로 평가받아 왔다. 그러나 이백에 대한 높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이태백시집≫을 제외하고는 그의 시에 대한 완역이 없어 학자들이 많이 아쉬워하고 있다. 이러한 반성에 기초해 몇몇 사람들이 뜻을 모아 ≪이백 전집≫을 역주하고 해설해 출판하려는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 민간의 노래, 악부(樂府) 악부시라는 명칭은 원래 한대(漢代) 악부시에서 유래한

                  소장 19,040원

                  • 데르자빈 시선
                    가브릴라 데르자빈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러시아 문학사에서 데르자빈의 바로크적 세계관과 토포이는 낭만주의나 상징주의(신낭만주의)로 전승되면서 새로운 시의 시대를 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는 독창적인 미적 사유 형식으로 러시아 시의 황금시대와 은시대를 예고해 준 미적 계몽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초는 예술사적으로뿐만 아니라 창작 분야에서도 바로크 문학이 부활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바로크의 부활은 곧 현대 예술의 출발을 의미한다. 서구 현대시의 시조로 간주되는 보들레르와 베를렌

                    소장 14,400원

                    • 육구몽 시선
                      육구몽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육구몽은 첫 과거에서 낙제한 이후 잠시 하급 관리를 하는 중에 혼란한 사회에 만연했던 불합리한 측면을 체험했다. 과거에 합격하기 위해 고위 관리를 찾아다니며 추천을 부탁해야 하는 과정이나 과거 자체의 부패를 알게 되었고, 또한 하급 관리 생활을 하면서 현실 사회의 수많은 불합리성을 느꼈다. 그러므로 관리 생활을 벗어나 평생 은일 생활을 하며 현실 사회와 거리를 두었다. 그는 은일 생활을 하면서 농사를 짓고 자신의 취미 생활을 했지만, 다른 한편

                      소장 14,400원

                      • 히메네스 시선
                        후안 라몬 히메네스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히메네스의 시가 우리에게 쉽게 다가오는 것은 아니다. 과격하게 문법적 구조를 파괴하고, 은유와 이미지 구성이 전혀 논리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노벨상 수상 기준 중의 하나가 대중성이라는 것을 생각할 때, 히메네스가 195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그 시절에는 이런 난해한 시도 대중적으로 읽혔던 것일까? 아니면 우리가 너무 감상적인 시에 길들여져 있는 것일까? 같은 맥락에서,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시인이지만 우리말

                        소장 14,400원

                        • 육유 시선
                          육유지식을만드는지식동양 고전문학
                          0(0)

                          육유(陸游, 1125∼1209)가 생존했던 시기는 정치적으로는 북송 정권이 멸망하고, 임안에 도읍을 정한 남송 정권이 금(金)과 대치하며 불안정한 평안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시기였다. 또한 문학적으로는 북송 중기 황정견(黃庭堅)을 중심으로 형성된 강서시파(江西詩派)의 시풍이 여전히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며 당시 시단의 주된 흐름을 형성하고 있던 시기였다. 육유는 이러한 격변의 시대 상황 속에서, 강서시파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이고 개성적이며

                          소장 9,600원

                        • 헤르만과 도로테아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식을만드는지식)
                        • 원대 산곡선집 (관한경, 지식을만드는지식)
                        • 라마르틴 시선 (알퐁스 드 라마르틴, 지식을만드는지식)
                        • 최남선/방정환 동시선집 (최남선, 방정환, 지식을만드는지식)
                        • 목일신/김일로 동시선집 (목일신, 김일로, 지식을만드는지식)
                        • 강승한 동시선집 (강승한, 장정희,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백 시전집 6 (이백,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백 시전집 5 (이백, 지식을만드는지식)
                        • 쉬즈모 시선 (쉬즈모, 지식을만드는지식)
                        • 박인환 시선 초판본 (박인환, 지식을만드는지식)
                        • 고원 시선 초판본 (고원, 이석, 지식을만드는지식)
                        • 구자운 시전집 초판본 (구자운, 박성준, 지식을만드는지식)
                        • 한흑구 시선 초판본 (한흑구, 지식을만드는지식)
                        • 오일도 시선 초판본 (오일도, 지식을만드는지식)
                        • 오민석 첫시집(기차는 오늘 밤 멈추어 있는 것이 아니다) (오민석, 지식을만드는지식)
                        • 김상훈 시선 초판본 (김상훈, 남승원, 지식을만드는지식)
                        • 박노춘/함윤수 시선 초판본 (박노춘, 지식을만드는지식)
                        • 임포 시선 (임포, 임원빈, 지식을만드는지식)
                        • 오장환 시선 초판본 (오장환, 최호영, 지식을만드는지식)
                        • 왕창령 시선 (왕창령, 주기평, 지식을만드는지식)
                        • 미친 사랑과 전쟁 속에서 (조이 하조, 김성훈, 지식을만드는지식)
                        • 도연명 전집 2 (도연명, 지식을만드는지식)
                        • 도연명 전집 1 (도연명, 지식을만드는지식)
                        • 괴테 시선 4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식을만드는지식)
                        • 괴테 시선 3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식을만드는지식)
                        • 르베르디 시선 (피에르 르베르디 (Pierre, 정선아,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백 시전집 4 (이백,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은상 사집 (이은상 (李殷相), 김지현, 지식을만드는지식)
                        • 5월 (카렐 히네크 마하 (Karel, 권재일, 지식을만드는지식)
                        • 후습유와카집(140수 정선) (미상, 최충희 외, 지식을만드는지식)
                        • 우지 습유 모노가타리(60편 정선) (미상, 일본고전명저독회, 지식을만드는지식)
                        • 호찌민 시집 (호찌민, 지식을만드는지식)
                        • 습유와카집 (후지와라노 긴토, 지식을만드는지식)
                        • 개정판 | 육유 사선 (육유,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백 시전집 3 (이백,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백 시전집 2 (이백, 지식을만드는지식)
                        • 후찬와카집 천줄읽기 (오나카토미노 요시노부, 이상민, 지식을만드는지식)
                        • 왕유 시전집 6 (왕유, 박삼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왕유 시전집 5 (왕유, 박삼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왕유 시전집 4 (왕유, 박삼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왕유 시전집 3 (왕유, 박삼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왕유 시전집 2 (왕유, 박삼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왕유 시전집 1 (왕유, 박삼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양만리 시선 (양만리, 이치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홍난파 수필선집 (홍난파, 김나영, 지식을만드는지식)
                        • 신채호 수필선집 (신채호, 하상일, 지식을만드는지식)
                        • 방정환 수필선집 (방정환, 김용희, 지식을만드는지식)
                        • 박은식 수필선집 (박은식, 남승원, 지식을만드는지식)
                        • 김교신 수필선집 (김교신, 김학균, 지식을만드는지식)
                        이전 페이지
                        • 147페이지
                        • 148페이지
                        • 149페이지
                        • 150페이지
                        • 151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