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디 홈으로 이동
캐시충전
알림
카트
내 서재
마이리디
회원가입로그인
웹툰만화웹소설도서셀렉트
전체 카테고리캐시충전

소설
경영/경제
인문/사회/역사
자기계발
에세이/시
에세이/시 전체
에세이
시
여행
종교
외국어
과학
진로/교육/교재
컴퓨터/IT
건강/다이어트
가정/생활
어린이/청소년
해외도서
잡지
로맨스 e북
로맨스 웹소설
로판 e북
로판 웹소설
판타지 e북
판타지 웹소설
만화 e북
만화 연재
웹툰
라이트노벨
BL 소설 e북
BL 웹소설
BL 만화 e북
BL 웹툰

에세이/시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베스트
  • 신간
  • 무료
  • 전체
  • 인기순
  • 최신순
  • 평점순
  • 리뷰 많은 순
    • 박은식 수필선집
      박은식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한국수필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수필을 대표하는 주요 수필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박은식은 정통 주자학을 배웠지만 시대적 현실 변화를 직시함으로써 ‘이용후생의 새로운 학문’을 받아들여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진정한 학자의 길을 실천했다. 또한, 그는 학자로서 스스로 올바른

      소장 14,400원

      • 김교신 수필선집
        김교신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한국수필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수필을 대표하는 주요 수필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김교신의 수필을 논하기 위해서는 ≪성서조선≫을 빼놓을 수 없다. ≪성서조선≫이 곧 김교신이요, 김교신이 곧 ≪성서조선≫이기 때문이다. ≪성서조선≫은 1927년에 창간되어 1942년 폐간될

        소장 16,000원

        • 신자하 시선
          신위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경수당집(警修堂集)≫은 시·서·화 3절(三絶)로 조선조 500년의 문예를 집대성한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의 시전집이다. 이는 목판이나 활판으로 간행된 바 없는 필사본(筆寫本)인데다가 후손들이 보관하고 있는 별도의 원본이 확인되지 않아 정본(定本)이라 단정할 수 없는 채 몇 종의 이본이 전해질 뿐이다. ≪경수당집≫은 마에마 교사쿠(前間恭作)가 지적한 대로 자하의 차자(次子) 명연(命衍)이 수집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서울대학

          소장 14,400원

          • 문화수려집
            나카오 오 외 2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의 제명을 보면, “문화(文華)”는 문장이 아름답고 화려하다는 뜻이다. “수려(秀麗)”는 뛰어나고 아름답다는 뜻으로, 일반적으로는 지형의 모양 등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문화수려집(文華秀麗集)”이라는 명칭은 ≪문선≫ 서문의 “그 찬론에 아름다운 문체가 모여 있고, 서술에 화려한 문사가 아로새겨져 있는 것들은 그 내용이 깊은 사색에서 나왔고, 그 의미는 고운 수사로 귀속된다(若其讚論之綜緝辭采, 序述之錯比文華, 事出於沈思

            소장 20,000원

            • 유장경 시선
              유장경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유장경(劉長卿, 714?∼790)은 자(字)가 문방(文房)이며, 중국 성당(盛唐)과 중당(中唐)에 걸쳐 활약한 시인으로, 특히 대종(代宗) 대력(大曆) 시기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이 시기는 정치 사회적 격변기일 뿐만 아니라 중국 고전시에서도 전환점에 해당하는 시기다. 유장경은 대력 시기의 대표적 시인으로 성당과 중당을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청(淸) 교억(喬億)은 ≪대력시략(大曆詩略)≫에 “유장경의 시는 대력 시기의 선두주자다(文房詩爲大曆前茅)

              소장 14,400원

              • 고적 시선
                고적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고적(高適, 701?∼765)은 당(唐)나라 개원(開元), 천보(天寶) 연간의 이른바 성당(盛唐) 시기에 활동한 시인으로, 변새(邊塞)에서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장수들의 투지와 용맹함을 찬양하거나 병사들의 고통을 써내는 등 많은 변새시(邊塞詩)를 창작해 동시대의 잠삼(岑參)과 더불어 당대(唐代) 변새시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꼽힌다. 고적은 공업의 수립과 일신의 영달을 목표로 삶의 오랜 기간을 여러 곳을 유랑하며 떠도는 생활을 했으며, 실제 고관으

                소장 16,000원

                • 유종원 시선
                  유종원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유종원(柳宗元, 773∼819)은 이른바 ‘당송 팔대가(唐宋八大家)’라고 하는 중국의 가장 대표적인 문장가 여덟 명 가운데 한 사람이다. 유종원이 활동한 중당(中唐) 시기에는 육조(六朝) 시대에 성행한 문체로 내용을 경시하고 형식미를 중시하는 변려문(騈儷文)이 문단을 지배하고 있었는데 그는 이러한 형식주의의 문풍(文風)이 문단을 풍미하는 현상을 심히 우려해 한유(韓愈, 768∼824)와 더불어 고문운동(古文運動)을 전개했다. 유종원의 시는 당송

                  소장 14,400원

                  • 동남창수록
                    강세은 외 16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동남창수록≫은 경주, 울산, 밀양의 인사들이 무진년(1808) 가을에 15일간 밀양에서 동래, 양산, 울산, 경주 지역을 여행하면서 창수한 시를 모아서 펴낸 시집이다. 전체 17장(張)에 서문 1편과 시 19제 87수가 수록된 필사본으로, 몇 군데 오탈자가 있기는 하나 비교적 일관된 체재를 갖추고 있으며 글씨도 반듯하다. 무진년 가을, 오랜 지기인 죽리 손병로의 초청을 받은 경주의 치암 남경희가 조카 남봉양을 대동하고 밀양을 방문한다. 손병로

                    소장 14,400원

                    • 제기 시선
                      제기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제기(齊己)는 당대(唐代) 말기에서 오대(五代) 초기까지 활동했던 승려 시인이다. 당대에는 유교와 불교 및 도교가 성행해 사회에 폭넓게 뿌리를 내리면서 수많은 시인 묵객들의 시가 창작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아울러 승려나 도사 역시 일반 시인들과 왕래하게 되면서 시가를 창작했을 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성취를 이루었다. 특히, 당대 말기에 이르러 불교 종파 중에서 선종(禪宗)이 중국화된 불교로 자리 잡게 되면서 선종 계열의 시승이 대거 출현했는

                      소장 14,400원

                      • 천사에 관하여 / 나는 바보였고 내가 본 것이 나를 더 바보로 만들었다
                        라파엘 알베르티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라파엘 알베르티의 시 세계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보통 “그의 작품을 읽는 것은 마치 현대시의 발전 진화 단계를 연구하는 것과도 같다”고들 한다. 이 말은 아마도 그의 시가 다양한 시대적 조류에 발맞춰 왔으며 나아가 그 시대적 조류를 낳은 역사적 상황에 언제나 충실해 왔다는 의미일 것이다. 알베르티가 속하는 27세대 시인들 대부분은 1920년대 초기 순수시에서 출발했다. 이들은 이후 1927년 공고라 300주기를 계기로 27

                        소장 14,400원

                        • 두셴카
                          이폴리트 보그다노비치 외 1명지식을만드는지식시
                          0(0)

                          보그다노비치의 운문 소설 ≪두셴카(Душенька)≫는 푸시킨의 작품에 커다란 영향을 준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두셴카의 모험≫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는 이 장편 서사시는 1778년에 첫 번째 부분만 출판되었고, 5년 후인 1783년에 비로소 전체가 완성되었다. 완성된 작품은 간단하게 ≪두셴카≫라고 불렸고, ‘고대 설화에 대한 자유 형식의 시’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두셴카≫는 신화를 기초로 만들어진 유사 서사시(Mock Epic)라 할

                          소장 14,400원

                        • 능운집 (오노노 미네모리, 김승룡, 지식을만드는지식)
                        • 김시습 시선 (김시습, 이승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히로시마라고 말할 때 (구리하라 사다코, 이영화,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제현 사집 (이제현, 김하늬,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한직 시선 초판본 (이한직, 이훈, 지식을만드는지식)
                        • 혜강 시집 (혜강, 심우영, 지식을만드는지식)
                        • 잠삼 시선 (잠삼, 주기평, 지식을만드는지식)
                        • 한산 시선 (한산, 지식을만드는지식)
                        • 중관대사 시선 (해안, 배규범, 지식을만드는지식)
                        • 김숭겸 시선 (김숭겸, 전송열, 지식을만드는지식)
                        • 예술에 관한 판타지 (루드비히 틱, 빌헬름 바켄로더, 지식을만드는지식)
                        • 샌드크리크로부터 (사이먼 J. 오르티즈, 김성훈, 지식을만드는지식)
                        • 뮈세 시선 (알프레드 드 뮈세, 윤세홍, 지식을만드는지식)
                        • 중국 명기 시선 (녹주, 박정숙, 지식을만드는지식)
                        • 두순학 시선 (두순학, 임원빈, 지식을만드는지식)
                        • 가르실라소 시전집 (가르실라소 데 라 베가, 최낙원, 지식을만드는지식)
                        • 장승욱 시 (장승욱, 지식을만드는지식)
                        • 이찬 시선 초판본 (이찬, 이동순, 지식을만드는지식)
                        • 오상순 시선 초판본 (오상순, 지식을만드는지식)
                        • 남해찬가 초판본 (김용호, 지식을만드는지식)
                        • 읍취헌 문집 (박은, 홍순석, 지식을만드는지식)
                        • 허응당 시선 (보우, 배규범, 지식을만드는지식)
                        • 초의시고 (의순, 배규범, 지식을만드는지식)
                        • 김민부 시선 (초판본) (김민부, 지식을만드는지식)
                        • 박남수 시선 (박남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임학수 시선 (임학수, 지식을만드는지식)
                        • 아직도 꿈꾸는 여자 (하이, 바로북)
                        • 그리움도 쌓이면 짐이 된다 (심형준, 바로북)
                        이전 페이지
                        • 147페이지
                        • 148페이지
                        • 149페이지
                        • 150페이지
                        • 151페이지
                        다음 페이지

                        • 고객센터
                        • 공지사항
                        서비스
                        • 제휴카드
                        • 뷰어 다운로드
                        • CP사이트
                        • 리디바탕
                        기타 문의
                        • 콘텐츠 제공 문의
                        • 사업 제휴 문의
                        회사
                        • 회사 소개
                        • 인재채용
                        •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업자정보확인
                        ©RIDI Corp.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트위터
                        • 유튜브
                        • 틱톡